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21세기 한국의 이상적인 공동생활/활동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 년도 연구에서는 전국 표집을 대상으로 공동생활/활동의 실태조사를 하였다. 본 2차 연도 연구의 목표는 1차 년도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와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을 고려하여 우리 나라에서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집단들에 대하여 보다 깊이 있는 현장연구를 하는 것이다. 혈연과 직장에 의한 모임은 제외하고 모임의 특성에서 자발성, 비영리성, 비정치성, 미래지향성, 그리고 보편성을 조사대상모임의 선정 기준으로 삼았다. 이 기준에 의하여 9개의 공동생활/활동 집단(공동 육아모임, 동창회, 두레마을, 부녀회, 상조회, 평신도회, PC 통신모임, 한살림, 향우회)을 선정하였다. 심층면접은 각 집단의 사정을 잘 아는 핵심인물을 상대로 하였으며 면접에서는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면접은 연구원들이 나누어서 하였으나 결과에 대한 분석은 함께 토론하였다. 공동육아 모임, 한살림 그리고 두레마을은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을 집단의 설립취지로 하고 있었다. 이 모임들의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활동에 대하여 긍지를 가지고 있었으나, 자신들의 가치관 또는 행동과 자신들의 일상생활 또는 사회 현실과의 괴리로 인한 갈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를 주된 목적으로 형성된 집단인 평신도회와 부녀회는 자신들의 봉사활동이 보다 여러 사람들에게 보편화되기를 기대하였다. 컴퓨터 통신망으로 들어가 가상 공간에서 집단을 형성한 PC통신 모임은 미래 사회에 새로운 형태의 인간관계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우리 사회에서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동창회, 향우회 그리고 상조회의 회원들은 친목과 상부상조를 도모하는 것을 자신들의 가장 중요한 일로 간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of nine different groups in Korea. The nine groups were sampled by the criteria of voluntariness, non-politics, non-profit, future-orientation, and universality. Included among the groups sampled for this study are an alumni association of a high school, a hometown association, a rural coop, a neighborhood women's association, a voluntary group of a church which were more typical types of groups in Korea. The rest includes more atypical and novel types: a child-care coop, religion-based commune, an environment protection group, and a computer-mediated society.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key informant of each group with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a social-value orientation was the major issue for the members of the more atypical groups like the child-care coop, the environment protection group, and the religion- based commune. But they had some conflicts between their own purpose of their groups and the barriers in their daily life as well as the reality of the Korean society. The groups interested in voluntary service, the voluntary group of a church and the neighborhood women's association, showed some difficulties in disseminating their activities. The computer-mediated society suggested a new possibility to build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cyberspac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embers of the more typical groups such as the alumni association, the hometown association, the rural coop, were more interested in sharing their friendship and the spirit of mutual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