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한국 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

Discrepancies Between Formal/Explicit and Informal/Implicit Norms in Korea and Generational Gaps: Theoretical Points and Evidence from Existing Survey Data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1998, v.4 no.1, pp.75-93
나은영(Eun-Yeong Na)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민경환(Kyung-Hwan Min)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한국 문화의 이중성, 즉 명시적/공식적 규범과 암묵적/비공식적 행동원리 간 불일치의 저변에는 근대적 규범과 유교적 관행 간의 불일치, 비공식적 대인관계망(즉, 연고주의와 연줄망)의 발달, 의사소통 구조의 이중성, 및 가족이기주의가 자리잡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내집단 신뢰는 높지만 사회 전체의 신뢰는 낮아지는 결과가 생긴다. 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큰 세대차도 이러한 이중성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 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을 문헌연구를 통해 개념적ㆍ이론적으로 정리해 보고, 기존 조사자료들에서 경험적 증거를 찾아 제시하였다. 21세기 한국 문화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사연구의 필요성도 언급하였다.

keywords

Abstract

Formal/Explicit norms in Korea have been significantly changed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in Korea, but informal/implicit norms are still firmly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rules. Interpersonal networks and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s centering around one's own ingroups have reinforced such a tendency. Overall social trust is low in Korea, because people are strongly identified with their ingroups and exclude outgroup members. Besides, Inglehart(1997) revealed that generational gaps in Korea are the largest among the surveyed 43 countries, based on his study on postmaterialism. After a short review of theoretical and traditional foundations of the Korean culture's dual standards, existing survey data were readdressed to illustrate empirical evidence for the discrepancies between formal/explicit and informal/implicit norms of Korea as well as Korean generational gaps. A system- atic survey plan for the late 1990's was finally suggested to examine younger and older Koreans' values, norms, and practices, as a directional guide for the coming 21st centur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