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운전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의 변화

The Change of Traffic Accident Risk Degree by Driving Stress Coping Pattern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9, v.15 no.3, pp.431-446
이순열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이순철 (충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운전자들의 운전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교통사고 발생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전국 5개 지역의 372명의 운전자들에게 64개로 구성된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예비문항을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한 결과, 2개(순행적, 역행적)의 요인으로 구성된 총 24개 문항의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가 개발되었다. 이들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타당화 연구를 위해서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와 운전자 대처 질문지(DCQ), 그리고 운전자의 위험한 운전행동(음주운전, 과속운전, 법규위반, 피해사고, 가해사고)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S)는 운전자 대처 질문지(DCQ)와 운전자의 위험한 운전행동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DS-CBQ)의 순행적 요인과 역행적 요인이 교통사고 발생위험(아차사고, 주변평가 사고위험, 자기평가 사고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순행적 요인과 역행적 요인이 교통사고 발생위험으로 향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절한 적합도 지수를 보였다. 경로들의 영향관계에서 순행적 요인은 교통사고 발생위험을 유의하게 낮추지만, 역행적 요인은 교통사고 발생위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traffic accident, path analysis, 운전스트레스, 대처방식, 교통사고, 모형분석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validate and develop the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scale. I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literature studies on the driving stress and ope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and examined in four regions in Korea. As a result, 64 items driving stres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In the study, this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Scale(DS-CBS) was examined to 372 drivers located seven regions in Korea. The factors analysis revealed 2 meaningful factors[(Good Coping: GC), (Bad Coping: BC) with 24 items. When internal consistency for each 2 factor was calculated, all sub-scale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Cronbach's α. Also, correlations with Driver Coping Questionnaire(DCQ) and risk driving behaviors(speed driving, drunken driving, traffic violation, offence accident, defence accident) supported consistently validity of the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Scale(DS-CBS). Also,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Good Coping’, ‘Bad Coping’ consisting of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on traffic accidents risk. As a result, ‘Good Coping’ and ‘Bad Coping’ influenced traffic accidents risk. ‘Good Coping’ had decreased effects, the other side ‘Bad Coping’ had increased effects on traffic accidents risk(TARI).

keywords
driving stress, coping behavior, traffic accident, path analysis, 운전스트레스, 대처방식, 교통사고, 모형분석

참고문헌

1.

김계수 (2005).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SPSS 아카데미

2.

김렬, 성도경, 이환범, 송건섭, 조태경, 이수창 (2005). 통계분석의 이해 및 활용. 대명

3.

김원표 (2005). SPSS 통계분석강의. 사회와 통계

4.

김의철, 박영신 (1997).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적응 결과: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건강, 2(1), 96-126.

5.

유일영 (1994). 경로분석: 원인관계분석을 위한 통계방법. 간호학탐구, 3(1), 210-219.

6.

이순열, 이순철 (2008). 운전 스트레스 척도(Driving Stress Scale: DSS)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3), 21- 40.

7.

이은희 (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25-52.

8.

이은희, 이주희 (200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145-175.

9.

정영찬, 강주희, 전상현, 변동구 (2002). SPSS를 활용한 통계분석. 크라운.

10.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임상, 19(1), 161-177.

11.

Aldwin, C. M., & Revenson, T. A. (1987). Does coping helps?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p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337-348.

12.

Conway, V. J., & Terry, D. J. (1992). Appraised controllability as a moderator of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coping strategies: A test of the goodness of fit hypothesi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44(1), 1-7.

13.

Forsythe, C. J., & Compas, B. E. (1987). Interaction of cognitive appraisals of stressful events and coping: Testing the goodness of fit hypothesi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1, 473-485.

14.

Gulian, E., Matthews, G., Glendon, A. I., Davies, D. R., & Debney, L. M. (1989). Dimensions of driver stress, Ergonomics, 32(6), 585-602.

15.

Gulian, E., Debney, L. M., Glendon, A. I., & Davies, D. R. (1989). Coping with driver stress, in F. McGuigan, W. E. Sime and J. M. Wallace (Eds), Stress and tension Contral (Vol 3), New York, 173-186.

16.

Hennessy, D. A., & Wiesenthal, D. L.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congestion, driver stress and direct versus indirect coping behaviours. Ergonomics, 40(3), 348-361.

17.

Hoare, P. N. (2001). Stress Traits and Coping Styles as Predictors of Stress Symptoms in Bus Driver. University of Southern Queensland.

18.

Kontogiannis, T. (2006). Patterns of driver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a Greek sample and their relationship to aberrant behaviors and traffic acciden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8, 913-924.

19.

Lazarus, R., & Folkman, S. (1991). Coping and emotion. In A. Monat & Lazarus(Eds), Stress and coping; An anthology(pp.207-227).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20.

Lee, S. Y., Lee, S. C., & Song, H. W. (2009).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Traffic Accident Risk Index(TAR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 Pacific Psychology (ICAPP).

21.

Matthews, G., Desmond, P. A., Joyner, L., Carcacy, B., & Gilliland, K. (1996). Validation of the driver stress inventory and driver coping questionnair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ffic and Transport.

22.

Matthews, G., Dorn, L, & Glendon, A. I. (1991). Personality correlates of dirver str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 535-549.

23.

Richard, P. (2005). Driver Behaviour within the Ambulance Service: An Exploratory Study on Driver Behaviour, Collision Attribution & Driving-Related Stressors. Cranfield Universit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