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해외거주 후 국내대학에 진학한 귀국 대학생의 문화적응양상과 심리사회적 적응

Accultura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of Returnees: A Study of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Extended Experience of Living aborad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0, v.16 no.2, pp.125-146
오경자 (연세대학교)
박규리 (연세대학교)
오서진 (연세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성장기를 보내고 귀국한 대학생의 한국 사회에의 재적응과정에서 문화정체감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귀국대학생 181명(남 61명, 여 121명)과 일반대학생 185명(남 92명, 여 93명)에게 문화적응양상, 정체감, 대학생활적응, 외로움 및 우울을 자기보고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해외에서 5년 이상 거주한 경험이 있는 귀국대학생들은 일반대학생들에 비하여 학업 등 대학생활적응 및 우울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외로움을 더 많이 보고하였다. 귀국대학생들을 한국 및 거주했던 외국문화에의 적응을 기준으로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의 네 가지 적응유형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통합과 동화 유형이 주변화 유형에 비하여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높았고 우울과 외로움의 수준도 낮았다. 한국과 해외거주국의 문화에서 모두 소외된 주변화 유형은 적응의 전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는 취약집단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turnee college student, cultural adjustment, identity, psycho-social adjustment, 귀국 대학생, 문화 적응, 정체감, 심리사회적 적응

Abstract

A total of 181 college students(61 males 121 females) with at least 5 years of living abroad (Returnee Group) and another group of 181 students (92 males and 93 females) without extended period of living abroad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by complet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cculturation Index, Multidimensional Acculturation Scal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ES-D, and WHOQO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turnee Group,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reported as good adjustment toward college life in Korea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Korean identity, but a higher level of loneliness. When the Returnee Group were divided into 4 different groups on the basis of acculturation pattern, the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Type reported a better adjustment to college life, lower depression and loneliness and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e Marginalization Type. The Mariginalization Type appears to be the most vulnerable group,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ll areas of adjustment, and is clearly in need of intervention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returnee college student, cultural adjustment, identity, psycho-social adjustment, 귀국 대학생, 문화 적응, 정체감, 심리사회적 적응

참고문헌

1.

권선미 (1997). 해외 귀국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경 (1999). 해외 귀국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옥수 (1997). 한국어로 번역된 UCLA 외로움 사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한국간호과학회지, 27(4), 871-879.

4.

김종남, 최윤경, 채정민 (2008). CES-D와 로샤검사를 통해본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2), 41-61.

5.

김충희 (1996). 해외 귀국 청소년의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3), 571-579.

7.

법무부 (2008).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8.

송원영, 리난 (2008).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에 따른 유학 초기 심리적 적응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2), 159-173.

9.

신행우, 이종한, 한성열, 허태균, 채정민 (2004). 이(異)문화권내 적응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북한이탈주민 남한문화 적응의 관점에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1), 147-163.

10.

양현정 (2002).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재창, 김영만 (2005). 탈북자들의 심리적 특성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탈북자들과 남한주민들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3), 41-66.

12.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13.

정재옥, 주은선 (2003). 해외 귀국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329-351.

14.

정진경, 조정아 (2008).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위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487-518.

15.

정진경, 양계민 (2004).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1), 101-136.

16.

정태연, 김영만 (2004). 남한사회에서의 생활경험이 탈북자에게 미치는 영향: 남한과 자신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61-81.

17.

채정민, 김종남 (2008). 사람중심의 통일교육 모델의 제안: 통일 단계에 따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519-544.

18.

채정민, 한성열 (2003). 북한이탈주민의 자기고양 편파가 남한 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2), 101- 126.

19.

최훈석, 양애경, 이선주 (2008).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 수용성: 안산과 영암의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39-69.

20.

현진원 (1992). 완벽주의 성향과 평가수준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Adler, P. S. (1975). The transitional experience: An alternative of the culture shock.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15(4), 13-23.

22.

Bennet, M. J. (1993). Toward ethnorelativism: A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R. M. Paige(Ed), Education for the intercultural experience(2nd Ed., pp.21-71). Yarmouth, M. E.: Intercultural Press.

23.

Baker, R. W., & Siryk, B. (1989). SACQ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4.

Berry, J. W. (1980). Acculturation as varieties of adaptation. In A. M. Padilla(Ed.), Acculturation: Theories, models and findings (pp.9-25). Boulder, CO: Westview.

25.

Berry, J. W. (1990). Psychology of acculturation: Understading individuals moving between culture. In R. Brislin(Ed.), Applied cross-cultural psychology(pp.232-253). Newsbury Park, CA: Sage.

26.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27.

Fail, H., Thompson, J., & Walker, G. (2004). Belonging, identity and Third Culture Kids: Life histories of former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International Education, 3(3), 319-338.

28.

Fry, R. (2007). Perspective shifts and a theoretical model relating to kaigaishijo and kikokushijo, or third culture kids in a Japanese context. Journal of Research in International Education, 6(2), 131-150.

29.

Ghaffarian, S. (1987). The acculturation of Iranians in United State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27, 565-571.

30.

Goodman, R. (1990). Deconstructing an anthropological text: a ‘moving’ account of returnee schoolchildren in contemporary Japan. In Ben-Ari, E., Moeran, B., & Valentine, J(Eds)., Unwrapping Japan: Society and Culture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pp.163-187).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1.

Hwang, W., & Ting, J. Y. (2008). Disaggregating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Asian Americans. Cultural diversity & ethnic minority psychology, 14(2), 147-154.

32.

McLachlan, D. A. (2007). Global nomads in an international school: Families in transition. Journal of Research in International Education, 6(2), 233-249.

33.

Marin, G., Sabogal, F., Martin, B., Otero-Sabogal, R., & Perez-Stable, E. J. (1987). Development of a short acculturation scale for Hispanic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2, 21-34.

34.

Pollock, D. C., & Van Reken, R. E. (2009). The thirds culture kids: The experience of growing up among the worlds. Nicholas Brealey International.

35.

Radloff, L. (1977). The CES-D: A self-report symptom scale to detect depress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social Measurement, 1, 385-401.

36.

Russel, D., Pelau, L. A., & Cut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280.

37.

Sam, D. L., & Berry, J. W. (1995). Acculturative stress and young immigrants in Norway.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36, 10-24.

38.

Suinn, R. M., Ahuna, C., & Khoo, G. (1992). The Suinn-Lew Asian Self-Identity Acculturation Scale: Concurrent and factorial valid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 1041-1046.

39.

The WHOQOL Group (1998).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 -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ogical Medicine, 28, 551-558.

40.

Useem, R. H. & Downie, R. D. (1976). Third culture kids. Today's Education, 65(3), 103-105.

41.

Ward, C., & Kennedy, A. (1994). Acculturation strategie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ociocultural competence during cross-cultural trans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8(3), 329-343.

42.

Ward, C., & Kennedy, A. (1996). Crossing cult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of cross-cultural dimensions. In J. Pandey, D. Shinha, & D. P. S. Bhawuk(Ed.), Asian Contributions to Cross-cultural Psychology (pp.289 -306). New Delhi: Sage.

43.

Ward, C., & Rana-Deuba, A. (1999).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revisited. Journal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30(4), 422-442.

44.

Westermeyer, J., Neider, J., & Callies, A. (1989). Psychosocial adjustment of Amongrefugees during their first decade in the United State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77, 132-139.

45.

Zheng, X., Sang, D., & Wang, L. (2004). Accultur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hinese students in Australia.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5(1), 57-72.

46.

Zea, Asner-Self, Birman, & Buki (2003). The Abbreviated Multidimensional Acculturation Scale: Empirical Validation With Two Latino/Latina Sample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9(2), 107-126.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