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사회적 현상 중 하나인 자살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한국인의 자살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았다. 자살이 자살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회적 행위라고 볼 때, 자살의 결행 여부, 자살의 방법 등에 대한 결정은 문화적 영향을 받는다. 왜냐하면 의사결정 과정에는 개인의 가치체계와 판단체계가 관여하는데, 이때 개인의 가치체계와 판단체계는 사회화 과정을 통해 습득되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동반 자살 중에 가족 동반 자살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 관한 한국인들의 독특한 인식 때문이다. 한국인들은 부모-자식 관계를 부모와 자식이라는 각기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존재로 인식하지 않으며 부모-자식을 하나로 여긴다. 둘째, 자살 촉발 사건에 대한 분석 결과,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대인 관계적 문제로 인한 자살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개인주의적인 성향보다는 관계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한국인의 대인 관계 형태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취약성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음주 문제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음주로 인한 문제를 가벼이 여기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다. 넷째, 남성의 경우 경제적인 문제로 인한 자살이 높게 나타난 반면, 여성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적 질환으로 인한 고통으로 자살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가족 부양에 대한 책임은 남성에게 그리고 가사 노동에 대한 책임은 여성에게 있다는 한국 문화의 독특한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 사회에서 자살을 유발하는 부정적인 정서는 서구 사회와는 달라서 서양 문화권에서는 불안과 우울이 자살을 유발하는 부정적인 정서가 되지만 우리 문화권에서는 화가 자살을 유발한다.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suicid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sychology. The result was that: First, the main reason to commit the familial suicide in korea is due to cultural characteristic. Korean people does not think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nd children is separate or independent. So, When they can not bring up their child, Korean parents commit the familial suicide. Second, many people commit suicide not individual problems but interpersonal problems. This result reveal that korean people think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is very important. Third, there art too many alcohol problem in korea. The reason is generous attitude about alcohol problem. Fourth, suicide of man due to economic problem on the other hand, women due to personal health problem. The reason of this i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e family responsibility rest with man and the household affairs responsibility rest with women. Also,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psychological researches must be performed in the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indigene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김의철, 박영신 (1997).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적응 결과: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 96-126.
김정운, 한성열 (1998). 문화심리학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7(1), 97 -114.
김충선 (1995). 자살론. 서울: 청아.
김효창 (2006). 성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5-33.
김효창, 손영미 (2006).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2), 1-19.
박상칠, 조용범 (1998). 자살, 예방할 수 있다. 서울: 학지사.
박경애 (1996). 성과 자살. 가족과 문화, 1, 149-171.
설영환 (1991). 생명을 존중하며 삶을 사랑하는 마음. 서울: 고려서원.
오대영(2007). 닛폰 리포트. 서울: 중앙북스.
원호택 (1997). 이상심리학. 서울:학지사.
유성경, 이은진, 서은경 (2009). 상담 및 임상 실무자를 위한 정신역동이론. 서울: 학지사.
이미숙 (2007). 가족동반자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탐색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20, 153-175.
정혜경, 안옥희, 김경희 (2003). 청소년의 자살 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청소년학연구, 10(2), 107-126.
장윤영, 차형수, 이정희 (1997). 부산지역 대학생의 자살 성향의 변인으로서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지지. 가정의학회지, 18(6), 657 -665.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통계청 (2010). 통계정보시스템. Http://kosis. nso.go.kr에서 2010, 5, 24일 인출.
투데이 코리아 (2006). http://todaykorea.co.kr에서 2010, 1, 12일 인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2). 청소년 자살의 원인 및 예방정책에 과한 국제비교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한국자살예방협회 (2009). 자살의 이해와 예방. 서울: 학지사.
한성열 (2005). 한국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및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특집호), 163-174.
홍나미, 정영순 (1999). 청소년자살생각 영향요인분석. 한국사회복지학, 37(4), 447-473.
Bruner. J.S. (1993). Do we “acquire” culture or vice versa?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6, 515-516.
Carcach C., Grabosky P. N. (1998). Murder-Suicide in Australia. Trends & Issues Crime and Criminal Justice Series, 82, 1-6.
Felner, R. D., & Silverman, M. M. (1995). Suicide Prevention Program: Issues of design, implementation, feasibility, and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In M. M. Silverman & R. W. Maris (Eds), In Suicide Prevention: Toward the Year 2000. New York: The Guilford Press.
Milroy C. M. (1995). The Epidemiology of Homicide-Suicide(Dyadic Death). Forensic Science Intermational, 71, 117-222.
Mosciki, E. K. (1995). Epidemiology of suicidal behavior. In M. M. Silverman & R. W. Maris (Eds), In Suicide Prevention: Toward the Year 2000. New York: The Guilford Press.
World Socialist Web Site. (2005). An Epidemic of Murder-Suicide in the US. http://www.wsws. org/articles/2005/mar2005/side-m16_pm.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