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기애와 성폭력 가해 행동의 관계: 특권분노/허용적 성태도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공감의 조절효과

Narcissism and sexual Agg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itlement Rage and Sociosexuality, and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ERS) and State Empath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5, v.21 no.3, pp.377-394
박다원 (강원대학교)
이인혜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자기애성 성격과 성폭력 가해 행동의 관계, 그리고 이 둘 간을 매개 또는 조절하는 심리적 변인들을 확인하여, 성폭력 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 개발과 교육 및 예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강원대학교 남학생 264명에게 자기애적 성격 검사(NPI), 병리적 자기애 검사(PNI), Hendrick 다차원적 성태도 질문지(MSAS),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CERQ), 아동성폭력범 공감척도(CMEM), 성폭력 가해 행동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특권분노와 허용적 성태도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상태공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특권분노의 매개효과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허용적 성태도의 매개효과와 상태공감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이는 허용적 성태도가 성폭력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고, 상태공감이 낮은 경우에 자기애가 높으면 성폭력이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자기애가 높은 경우에 상태공감이 낮을 때는 성폭력이 높게 나타났지만, 자기애가 높더라도 상태공감이 높다면 성폭력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낮은 상태공감이 성폭력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높은 상태공감은 성폭력에 대한 보호요인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폭력 가해 행동의 원인은 특권분노보다는 허용적인 성태도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성폭력에 대한 치료적 개입에는 정서조절 훈련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태공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훈련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논의에서 보다 자세한 결론과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narcissism, entitlement rage, sociosexualit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ate empathy, sexual aggression, 자기애, 성폭력, 특권분노, 허용적 성태도, 인지적 정서조절, 상태공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maladaptive social behaviors in order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a pragmatic inter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aggression. This was accomplished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ntitlement rage (K-PNI) or sociosexuality (K-MSAS) on sexual aggress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K-CERQ) or state empathy (K-CMEM) on sexual aggression in narcissistic men. Data were obtained from male college students (n = 264) who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K-NPI and K-CMEM,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these relationships. Both entitlement rag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unassociated with sexual aggression. Rather, sociosexuality was the mediating factor between narcissism and sexual aggression, Whereas state empathy was a moderating factor between narcissism and sexual agg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 a tendency for sociosexuality to increase sexual aggression in males. However, individuals with low state empathy are more likely to show sexual aggression than those with high state empathy, indicating that intervention for increased state empathy may be a more effective treatment tha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keywords
narcissism, entitlement rage, sociosexualit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ate empathy, sexual aggression, 자기애, 성폭력, 특권분노, 허용적 성태도, 인지적 정서조절, 상태공감

참고문헌

1.

고선영, 양종희, 이수정 (2004). 성폭력 범죄의 원인과 개입전략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특집호), 117- 146.

2.

국가법령정보센터 (2014). www.law.go.kr

3.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은희, 강승호 (2010).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 교정연구, (47), 119-143.

5.

김정아, 구해경, 현명호 (2013). 연구논문: 남자 대학생의 성희롱 통념과 공감능력 및 성추행 피해자에 대한 공감이 사회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6), 295-313.

6.

박갑제, 임성문 (2013). 자기애와 성폭력의 관계: 경로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1), 45-44.

7.

박상진, 신준섭 (2005). 외국의 성폭력 가해자 치료프로그램 연구. 형사정책, 17(1), 313- 336.

8.

박성희 (2004). 공감학: 어제와 오늘. 서울: 창지사.

9.

신현기, 이상열 (2006). 우리나라 성폭력범죄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16(1), 249-274.

10.

양병화 (2013). 심리학 및 사회과학을 위한 조사와 통계분석. 학지사.

11.

양진원 (2012). 병리적 자기애 성향자의 웅대성과 취약성에 따른 정서적 특성.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이형직 (2008).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성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간통념 수용의 매개효과와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최인숙 (2009). Hendrick 다차원적 성태도 척도의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최재희 (2012). 성장기 폭력 경험과 성태도가 대학생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분노조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한수정 (1999). 자기애적 성격지향자의 외현적․내현적 자기관련 인지특성.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Beverly Hills: Sage Publishing.

1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서울: 학지사.

1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19.

Baumeister, R. F., Catanese, K. R., & Wallace, H. M. (2002). Conquest by force: A narcissistic reactance theory of rape and sexual coerc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6(1), 92.

20.

Bushman, B. J., Bonacci, A. M., Van Dijk. M., & Baumeister, R. F. (2003). Narcissism, sexual refusal, and aggression: Testing a narcissistic reactance model of sexual coerc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5), 1027.

21.

Fernandez, Y. M., Marshall, W. L., Lightbody, S., & O'Sullivan, C. (1999). The child molester empathy measure: Description and examination of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Sexual Abuse: A Journal of Research and Treatment, 11(1), 17-31.

22.

Foster, J. D., Shrira, I., & Campbell, W. K. (2006). Theoretical models of narcissism, sexuality, and relationship commitmen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3(3), 367-386.

23.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 1311-1327.

24.

Hayes, A. F. (2013). http://www.afhayes.com/

25.

Hendrick, S., & Hendrick, C. (1987). Multidimensional-ity of sexual attitudes. Journal of Sex Research, 23(4), 502-526.

26.

Jonason, P. K., & Tost, J. (2010). I just cannot control myself: The dark triad and self-contro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6), 611-615.

27.

Mouilso, E. R., & Calhoun, K. S. (2012). A mediation model of the role of sociosexuality in the associations between narcissism, psychopathy, and sexual aggression. Psychology of Violence, 2(1), 16.

28.

Mouilso, E. R., & Calhoun, K. S. (2013). The role of rape myth acceptance and psychopathy in sexual assault perpetration.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22(2), 159-174.

29.

Mouilso, E. R., Calhoun, K. S., & Rosenbloom, T. G. (2013). Impulsivity and sexual assault in college men. Violence and Victims, 28(3), 429-442.

30.

Pincus, A. L., Ansell, E. B., Pimentel, C. A., Cain, N. M., Wright, A. G., & Levy, K. N. (2009). Initial construction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21(3), 365.

31.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 731.

32.

Raskin, R. N., & Hall, C. S. (1979). A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Psychological Reports, 45(2), 590-590.

33.

Raskin, R. N., & Hall, C. S. (1981).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lternative form reliability and further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5(2), 159-162.

34.

Raskin, R., & Terry, H. (1988). 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nd further evidence of its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5), 890.

35.

Reise, S. P., & Wright, T. M. (1996). Personality traits,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and sociosexu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0(1), 128-136.

36.

Steibe, S. C., Boulet, D. B., & Lee, D. C. (1979). Trainee trait empathy, age, trainer functioning, client age and training time as discriminators of successful empathy training. Canadian Counsellor.

37.

Widman, L., & McNulty, J. K. (2010). Sexual narcissism and the perpetration of sexual aggression.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9(4), 926-939.

38.

Wright, T. M., & Reise, S. P. (1997). Personality and unrestricted sexual behavior: Correlations of sociosexuality in caucasian and asi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2), 166-192.

39.

Zeigler-Hill, V., & Wallace, M. T. (2011). Racial differences in narcissistic tendenci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5(5), 456-467.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