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해자, 피해자, 일반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s of School Violenc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n Adolescents: Comparisons of Bullies and Victim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1999, v.5 no.2, pp.91-104
양계민(Kye-Min Yang)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정현희(HyunHee Chung) (삼성사회정신건강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내의 중ㆍ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2,565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경험 양상이 청소년들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군집분석을 통해 전체 집단을 피해, 가해 및 일반집단으로 분류한 후, 이 세 집단의 심리사회적, 행동적 특성과 적응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분석결과, 가해집단과 피해집단은 대부분 남자 중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나 청소년의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조기개입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학교폭력의 피해집단은 세 집단 중 스트레스, 우울증, 외로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으며, 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성적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가해집단은 비행행동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성적도 낮은 편이었으나, 친구스트레스, 우울증, 생활만족 등에 있어서는 피해집단 보다 낮은 점수를 보여 이들의 적응이 피해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폭력을 경험하는 입장에 따라 학생들이 나타내는 적응양상이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해 주는 결과로, 앞으로 학교폭력 문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전체적 예방프로그램과 아울러 피해 및 가해학생들의 문제 특성과 정도에 따른 보다 전문화된 개입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n Korean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1,226 middle school students and 1,339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our subgroups of adolescents who showed distinct patterns of school violence. These clusters were then compared on various measur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nalyses revealed that students in the victim group showed higher schores in stress(academic, teacher-related, and peer-related), depression, loneliness and lower scores i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 the bully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from normal students, except that they showed the highest score in delinquency. These results confirm that adolescents show various pattern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nd suggest that these different pattern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should be reflected in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school violenc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