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이수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고영건(고려대학교) pp.1-26 https://doi.org/10.20406/kjcs.2019.2.25.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의 개인별 덕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와 부부 덕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개인별 덕목이란 개인이 지닌 가치 있고 바람직한 핵심 특성을 의미한다. 부부 덕목이란 부부가 함께 공유하는 덕목을 의미한다. 한국인 부부 107쌍(남 107명, 여 10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축약판 개인 덕목 척도(Values in Action-Inventory of Strengths: VIA-IS), 개인 덕목 척도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문항을 재기술한 부부 덕목 척도, 부부의 전반적인 결혼 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 중 전반적 불만족 척도(K-MSI, General Dissatisfaction Scale: GDS)를 역채점한 척도가 사용되었다. 부부의 자료가 상호의존적인 특수한 관계임을 감안, APIM(Actor-Parter Interdependence Model) (Cook & Kenny, 2005; Kenny, Kashy, Cook, & Simpson, 2006)을 적용하였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 덕목 대비 더 다양한 부부 덕목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부부가 덕목을 개인적으로 지니기보다는 함께 공유하는 것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virtues and couple’s virtues on marital satisfaction. Virtues are the core characteristics valued by moral philosophers and religious thinkers: wisdom, courage, humanity, justice, temperance, and transcendence. Couple’s virtues are the virtues being shared by husband and wife. In the current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07 married couples living in Seoul and local areas in Korea. Each member of the couples was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short version of Values in Action-Inventory of Strengths(VIA-IS), couple’s VIA-IS which is made out of VIA-IS to suit couples, and General Dissatisfaction Scale(GDS).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couple variables that are inter-dependent by n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couple’s virtues had greater effects upon marital satisfaction than individual virtues did. The significance of possessing couple’s virtues rather than individual virtues was discussed.

강새하늘(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정현선(고려대학교) pp.27-53 https://doi.org/10.20406/kjcs.2019.2.25.1.0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테크노 스트레스의 유발요인 중 테크노 과중과 테크노 침해가 심리적 계약 위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심리적 계약 위반이 정서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또한 테크노 과중 및 테크노 침해와 심리적 계약 위반 간의 관계에서 발언행동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40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현재 조직에서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96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테크노 과중 및 테크노 침해를 높게 지각하는 구성원일수록 심리적 계약 위반을 더 경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테크노 과중과 테크노 침해가 심리적 계약 위반을 매개하여 정서적 소진을 높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발언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테크노 과중 및 테크노 침해와 심리적 계약 위반 간의 정의 관계가 감소하는 조절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chno-overload and techno-invasion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voic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overload, techno-invasion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The results from 296 participants provided evidence that (1) techno-overload and techno-invas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2)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i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exhaustion, (3)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overload, techno-inva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4) voice behavior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overload, techno-invasion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general discussion.

설진희(연세대학교) ; 박수현(연세대학교) pp.55-77 https://doi.org/10.20406/kjcs.2019.2.25.1.055
초록보기
초록

미취학 자녀가 있는 직장인 여성들은 일-가정 다중역할을 수행하면서 높은 스트레스를 보고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가진 전일제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미취학 자녀가 있는 직장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 척도, 내재화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성인용 행동평가 척도 자기보고용(ASR), 사회지향성 성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성격 유형 척도(PSI-I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였고, 사회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사회지향성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취학 자녀를 가진 전일제 직장여성들이 다중역할을 수행하면서 겪는 부정적 경험이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관계를 통해 자기가치감을 확인 받고 사회적 관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인지적 특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Negative experience related to work-family multiple roles has been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problems in mothers. In particular, 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report high degree of stress. As such, the need to examine potential factors that may explain and alleviate such difficulties has been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u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otrop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work-family multiple roles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The Negative Experience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Scale, Adult Self Report (ASR) Scale, and Personal Style Inventory-Ⅱ (PSI-Ⅱ), were completed by 208 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rect effect of negative experience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on internalizing problem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sociotropy in this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otropy in employed mothers may indirectly explain internalizing problems related to multiple roles. The implications of sociotropy in negative experience of work-family multiple roles and internalizing problems are discussed.

김현정(충북대학교) ; 박상희(충북대학교) pp.79-99 https://doi.org/10.20406/kjcs.2019.02.25.1.07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pologies are used with increasing frequency for mending damaged relations between groups after intergroup conflict. Past research revealed that members of a perpetrator group may engage in (animalistic) dehumanization of victim group members to cope with guilt and responsibility associated with the ingroup’s past wrongdoing. We hypothesized that ingroup’s apology would relieve perpetrator group members of the moral threat, and therefore would make them perceive more humanness in the victim group member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s alleged atrocities against Vietnamese civilians during its military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Korean participants read an article on the incidents with Korean government’s issuance of an official apology manipulated, and reported their thoughts on the incidents and perceptions of Vietnamese people including their humanness. Contrary to our prediction, apology further enhanced dehumanization of Vietnamese people, even while it also decreased dehumanization through heightened feelings of relief. This study documents a seemingly ironic effect of intergroup apology, and calls for a more careful examination of the consequences of apology before recommending it as a viable strategy for alleviating intergroup tension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