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 조직의 성차별 문화로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cent Work of Women Employess: The mediation effet of career adaptability moderated by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gender prejudice on career adaptabilit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2, v.28 no.3, pp.353-372
https://doi.org/10.20406/kjcs.2022.8.28.3.353
전소영 (충남대학교)
심예린 (충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일의 심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국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변인인 진로적응성과 맥락적 변인인 조직의 성차별 문화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 여성 직장인 2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와 조직의 성차별 문화에 의해 조절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Mplus 7.0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는 조직의 성차별 문화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여성 직장인, 일의 심리학 이론, 직장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 진로적응성, 괜찮은 일, 조직의 성차별 문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gender microaggress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nd their percieved level of decent work based o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PWT) among South Korean women employees. Specifically, we focused on testing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adaptability, an intrapersonal variable in PWT, an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gender prejudice, a contextual variable in PWT, on career adaptability.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9 South Korean women employees and Mplus 7.0 was used to test the simple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 in the workplace and decent work, however,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was found by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gender prejudice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women employees,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gender microaggression, career adaptability, decent work, organizational culture of gender prejudice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5-31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7-1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