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사회적 배제가 전위된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직접효과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Displaced Aggression: the Mediation Effect of Stress and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3, v.29 no.4, pp.455-476
https://doi.org/10.20406/kjcs.2023.11.29.4.455
노윤재 (대검찰청)
윤상연 (경상국립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묻지마 범죄가 주로 대인관계 문제에서 비롯되고 제3의 무고한 대상에 대한 보복행위라는 특징에 착안하여, 사회적 배제 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두 변인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등 관련 요인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49세 이하의 성인 남성 35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 경험이 전위된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조절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사회적 배제는 전위된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트레스는 사회적 배제와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사회적지지가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은 검증되지 않았으나, 매개모형에서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를 매개한 간접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회적 배제와 전위된 공격성 간의 직접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배제가 전위된 공격성을 예측하는 것은 사회적 지지 평균집단(mean)과 고집단(M+1SD)에서만 유의했으며 고집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에서 오히려 전위된 공격성을 스트레스 조절 전략으로 사용한다는 의미로, 사회적 지지가 공격성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선행 연구들과는 상이한 결과다. 사회적지지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사회적 배제 경험에도 불구하고 전위된 공격성의 사용빈도가 낮다는 의외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의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사회적 배제와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를 구체화할 추가적인 연구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keywords
사회적 배제, 전위된 공격성,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조건부 직접효과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tiveless crimes that mainly originated from interpersonal problems and were acts of revenge against innocent third parties.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we established and tested hypotheses about the mediation effect of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 on displaced aggression among 353 adult males aged between 19 and 49 years. The main results are that, first, social exclu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isplaced aggression. Second, str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Third, the hypothesis that social support would moderat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was not vaild, but the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confirmed in the mediation model.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did not affect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stress, but appeared to moderate the direct effect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Social exclusion’s prediction of displaced aggression was significant only in the average social support group (mean) and the high group (M+1SD), and appeared to increase as the group increased. This means that in groups with high social support, displaced aggression is used as a stress control strategy, which is a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studies that found that social support lowers aggression. People with low levels of social support showed unexpected results in that they used displaced aggression less frequently despite their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In the discussion,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and additional research ideas were proposed to spec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keywords
social exclusion, displaced aggression, stress, social support, conditional direct effect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7-26
수정일Revised Date
2023-08-0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0-05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