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국가투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들과 대인 간 신뢰 : 61개국의 자료 2차분석

Cultural Dimensions and Interpersonal Trust Explaining National Transparency : A Secondary Analysis of 61 Countries' Common Data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1, v.7 no.2, pp.65-90
나은영(Eun-Yeong Na)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국가투명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화차원들(개인주의-집단주의, 권력거리, 남성성-여성성, 및 불확실성 회피)과 대인 간 신뢰가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지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Hofstede(1991)의 53개국 문화차원 조사결과, Inglehart(1997)의 43개국 대인 간 신뢰 조사결과, 및 Transparency International (1998)의 85개국 부패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 조사결과 중 공통되는 국가들의 지수를 함께 놓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가투명성 변량의 66%와 대인 간 신뢰 변량의 57%가 4개의 문화차원으로 설명이 되었으며, 국가투명성 변량의 45%가 대인 간 신뢰로 설명이 되었다. 국가투명성을 가장 잘 예언하는 문화차원은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이었고, 대인 간 신뢰를 가장 잘 예언하는 문화차원은 권력거리(권위주의) 차원이었다. 한 국가가 더 개인주의적일수록, 권력거리가 작을수록, 불확실성 수용 경향이 클수록, 그리고 더 여성적일수록 국가투명성이 높았다. "대인 간 신뢰"의 매개 역할은 국가투명성에 미치는 개인주의와 불확실성 회피 성향의 효과에서 뚜렷하게 드러났으며, 권력거리는 국가투명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컸다. 집단주의와 권위주의가 합해진 문화권에서는 겉으로 표현된 내용 이면의 의중이나 내막을 유추해야 하는 고맥락(high context) 커뮤니케이션이 습관화되어 국가 투명성의 저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투명성, 부패, 신뢰, 문화, 고맥락 커뮤니케이션

Abstract

A secondary analysis was performed on 61 countries' data commonly obtained from (a) Transparency International's 1998 corruption perceptions indices for 85 countries, (b) Inglehart's (1997) interpersonal trust percentages for 43 countries, and (c) Hofstede's (1991) indices for four dimensions of culture (power distance, individualism-collectivism, masculinity-femininity, and uncertainty avoidance) for 53 countries. Main findings are (a) that 66% of variances in national transparency and 57% of variances in interpersonal trust were explained by the four dimensions of culture, and (b) that 45% of variances in national transparency were explained by interpersonal trust. Individualism was the most powerful dimension of culture in predicting national transparency, and power distance was the most efficient in predicting interpersonal trust.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trust score, the higher the transparency index. In addition, in was also found that interpersonal trust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ism and uncertainty avoidance on national transparency, while the effect of power distance was mostly direct on national transparency with little mediation of interpersonal trust. It was suggested that the habituation of high context communication style (which includes more guessing than accepting the expressed communication as it is), based on collectivism and authoritarianism, may work as an important factor interfering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arency.

keywords
transparency, corruption, trust, culture, high context communic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11-08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