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ore의 현대애착이론과 Fonagy의 현대정신분석의 시사점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757-795
수퍼바이저가 성소수자 상담 진행에 대한 상담 교육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처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797-0
윤리적 민감성에 관한 상담자들의 인식: 개념도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831-872
상담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가 인식한 작업동맹의 균열: 수퍼비전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873-910
상담 수퍼비전의 국외 연구주제 동향 -2015년~2022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911-938
긍정 미래 심상 개입이 우울 경향군의 미래 심상, 행동,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과정 중심, 결과 중심, 중립 심상 개입의 비교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939-969
한국판 실수 반추 척도(K-MRS)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971-994
한국판 공격자 동일시 척도(K-IAS)의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997-1022
베르테르 효과와 파파게노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미디어의 자살관련 내용 노출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실재하는가?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023-1053
청소년 자살의 보호요인에 관한 델파이 연구: 생물심리사회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055-1078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079-1099
부정 정서성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관계에서 자기 정체성에 의해 조절된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101-1128
사회부과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129-1155
대학생의 부정적/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집단에 따른 심리적 적응의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157-1181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증상과 외상후 성장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183-1212
청년기 이전 유형별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213-1238
재한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문화 적응 및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장주도성의 조절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239-1259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35권 3호,
pp.1261-1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