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제공자와 유형을 중심으로

A Study of Korean Adolescents’ Stress and Social Support: Focusing on stress events, social supporters and types of social suppor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6, v.22 no.4, pp.487-522
https://doi.org/10.20406/kjcs.2016.11.22.4.487
박영신 (인하대학교)
전성숙 (인하대학교)
손주연 (인하대학교)
박영자 (인하대학교)
송옥란 (인하대학교)
쩜 (인하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련된 지각을 살펴보고,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사회적 지원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급별로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증상, 사회적 지원 제공자와 유형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청소년 952명(초 219, 중 280, 고 212, 대 241)이었다. 스트레스 증상의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 .88, 질적 분석에 대한 채점자간 신뢰도는 89.6%, Kappa계수가 .87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장 대표적인 스트레스 생활사건은 학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진로/취업, 가족관계, 친구관계, 역량부족, 경제적 어려움의 순서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는 고등학생이, 진로/취업 스트레스는 대학생이 가장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스트레스 증상은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고등학생이 가장 높고 초등학생이 가장 낮았다. 셋째, 사회적 지원 제공자로 친구가 가장 대표적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자기자신, 부모, 교사, 형제자매, 선후배의 순서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친구 및 선후배의 지원이 증가했으나, 부모의 지원은 감소했다. 넷째, 사회적 지원 유형으로 정서적 지원이 가장 대표적이었고, 그 다음으로 없음, 조언, 직접적 문제해결, 대화의 순서였다. 모든 학교급별에서 정서적 지원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초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조언은 증가했고, 직접적 문제해결은 감소했다.

keywords
청소년, 스트레스 생활사건, 스트레스 증상, 사회적 지원 제공자, 사회적 지원 유형, 학업 스트레스, 친구, 정서적 지원, Adolescent, Stress events, Stress symptoms, Social Supporters, Type of Social Support, Academic Stress, Friends, Emotional Support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Korean adolescents’ perception of stress experiences, and related social support. To this end, adolescents were asked about stress events, as well as stress symptoms, in their lives. Also, the adolescents were asked about the people that provided social support and the types of social support provided. The participants were 952 Korean adolescents (Primary 219; Middle 280; High 212; University 241). Among the four measures (stress events, stress symptoms, social supporters, and types of social support), the measure of stress symptoms yielded a reliability of Cronbach α=.88, while the remaining three measures yielded an inter-judger reliability of 89.6%, Kappa=.8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stress events, the most frequent responses were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followed by Career/Job, Family Relations, Friend Relations, Lack of Capacity, and Financial Difficulties. For high-school students the most frequent responses were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while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Job. Second, for stress sympto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at the high-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ymptoms, while primary school students the lowest. Third, for social supporters, the most frequent responses were related to Friends, followed by Myself, Parents, Teacher, Siblings, and Seniors/Juniors. As the groups aged (from primary to university), support from Friends and Seniors/ Juniors increased, while support from Parents decreased. Fourth, for the types of social support, the most frequent responses were related to Emotional Support, followed by None, Advice, Supporter Directly Solved Problem, and Talked with Me. The highest frequencies of responses were found for Emotional Support among all groups. As the groups aged (from primary to university), Advice increased while Supporter Directly Solved Problem decreased.

keywords
청소년, 스트레스 생활사건, 스트레스 증상, 사회적 지원 제공자, 사회적 지원 유형, 학업 스트레스, 친구, 정서적 지원, Adolescent, Stress events, Stress symptoms, Social Supporters, Type of Social Support, Academic Stress, Friends, Emotional Support

참고문헌

1.

김경욱, 조윤희 (2011).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8(4), 197-218.

2.

김경호, 차은진 (2014).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 중등생의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학업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학교급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1(2), 27-54.

3.

김명옥, 박영숙 (2012).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9 (11), 69-90.

4.

김의철, 박영신 (1997).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적응 결과: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96-126.

5.

김의철, 박영신 (1999a). IMF시대가 한국인의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4(1), 57-79.

6.

김의철, 박영신 (1999b).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7.

김의철, 박영신 (2001). IMF시대 한국 학생과 성인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77-105.

8.

김의철, 박영신, 곽금주 (1998).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3(1), 79-101.

9.

김의철, 박영신, 김의연, Tsuda, A., & Horiuchi, S. (2010).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 (2), 197-219.

10.

김의철, Tsuda, A., 박영신, 김의연, Horiuchi, S. (2009).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관리행동의 비교: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6(1), 139-164.

11.

김정모 (2004). 스트레스에 대한 정보처리 대처과정의 연령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3), 647-663.

12.

김정미 (2014).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지각된 부모 공감의 중재 효과. 청소년학연구, 21(4), 203-225.

13.

문양호, 김완일 (2006). 사관생도와 대학생의 스트레스 분석 및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85-501.

14.

박서연, 정영숙 (2010).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1), 17-32.

15.

박영신, 김의철 (2013). 한국인의 성취의식: 토착심리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16.

박영신, 김의철, 김묘성 (2002). IMF시대 이후 초, 중, 고, 대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105-135.

17.

박영신, Tsuda, A., 김의철, 한기혜, 김의연, Horiuchi, S. (2009).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분석: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28.

18.

박현선, 김정은, 박지명 (2014). 부모 유대감 변화가 청소년기 학업 스트레스 변화양상에 미치는 영향: 지도 감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9), 123-145.

19.

박현정 (2008). 곤란학급의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영향력 자원과 학교스트레스 지각 간의 관계: 학년별, 성별 비교 검토.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3), 351-370.

20.

서경현, 신현진, 양승애 (2013). 거부적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사회불안 간의 관계: 냉소적 적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837-851.

21.

성태제 (2010). 현대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22.

신현균, 장재윤 (2003). 대학 4학년생의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15-827.

23.

어유경, 정안숙, 박수현 (2015). 여자 대학생의 일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571-589.

24.

우채영, 정현희 (2013). 청소년이 지각하는 인간관계 스트레스와 우울, 비행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20(6), 147-168.

25.

이서언, 장용언 (2011). 학업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족응집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8(11), 111-136.

26.

이옥형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9-57.

27.

이지연, 위광휘 (2000). 사회적지지망에 관한 발달적 연구. 교육심리연구, 14(2), 5-28.

28.

이지은, 김은영 (2015). 대학생의 부정적 스트레스 지각과 우울: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2(11), 1-20.

29.

장경문 (2005).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자기통제력이 학교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2(1), 1-16.

30.

장미경 (2006). 아동의 사회적지지 망: 사회적지지 망의 발달과 스트레스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3(2), 27-41.

31.

정미경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내면화 외현화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6(1), 271-290.

32.

통계청 (2014). 2014년 사회조사 결과: 가족, 교육, 보건, 안전, 환경.

33.

통계청 (2015). 한국의 사회동향 2015.

34.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2). 2012 청소년 통계.

35.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4). 2014 청소년 통계.

36.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6). 2016 청소년 통계.

37.

현안나, 윤숙자 (2012).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2), 403-428.

38.

Anderson, S. F., Salk, R. H., & Hyde, J. S. (2015). Stress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9(3), 339-348.

39.

Auerbach, P., Bigda-Peyton, J. S., Eberhart, N. K., Webb, C. A., & Ho, M. R. (2011). Conceptualizing the Prospec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9(4), 475-487.

40.

Bakker, M. P., Ormel, J., Verhulst, F. C., & Oldehinkel, A. J. (2010). Peer Stressors and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Mental Health: The TRAILS Stud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6(5), 444-450.

41.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42.

Cawte, J. (1972). Cruel, poor and brutal nations.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43.

Cho, Y. B., & Haslam, N. (2010). Suicidal Ideation and Distress Among Immigrant Adolescents: The Role of Acculturation,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4), 370-379.

44.

Flack, T., Salmivalli, C., & Idsoe, T. (2011). Peer relations as a source of stress? Assessing affiliation- and status-related stress among adolescents.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8(4), 473-489.

45.

Frison, E., & Eggermont, S. (2015). The impact of daily stress on adolescents’ depressed mood: The role of social support seeking through 페이스북.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4, 315-325.

46.

Glozah, F. N., & Pevalin, D. J. (2014). Social support, stress, health, and academic success in Ghanaian adolescents: A path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37(4), 451-460.

47.

Guerra, C., Cumsille, P., & Martínez, M. L. (2014).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dolescents exposed to an earthquake: Association with self-efficacy, perceived magnitude, and fear.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14(3), 202-207.

48.

Hostinar, C. E., Johnson, A. E., & Gunnar, M. R. (2015). Parent support is less effective in buffering cortisol stress reactivity for adolescents compared to children. Developmental Science, 18(2), 281-297.

49.

Khan, A., Hamdan, A. R., Ahmad, R., Mustaffa, M. S., & Mahalle, S. (2016). Problem-Solving Coping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of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alaysian and Indian Adolescent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52(2), 245-250.

50.

Kim, U., & Park, Y. S. (2004). Indigenous psychologies. In C. Spielberger (Ed.), Encyclopedia of applied psychology, vol 2. 263-269. Oxford: Elsevier Academic Press.

51.

Kim, U., & Park, Y. S. (2008). Cognitive, relational and social basis of academic achievement in Confucian cultures: Psychological, Indigenous, cultural perspectives. R. Sorrentino & S. Yamaguchi (Eds.).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within and across Cultures. 491-515. San Diego, CA: Elsevier/Academic Press.

52.

Kim, U., Yang, K. S., & Hwang, K. K. (2006).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Understanding people in context. New York: Springer.

53.

Klassen, R. M., Usher, E. L., & Bong, M. (2010). Teachers’ Collective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ross-Cultural Context.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8(4), 464-486.

54.

Liu, X. C., Keyes, K. M., & Li, G. (2014). Work stress and alcohol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moderation by family and peer influences. BMC Public Health, 14(1303), 1-7.

55.

McKay, M. T., Dempster, M., & Byrne, D. G. (2014).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tress in adolescents: the role of gender and self-esteem. Journal of Youth Studies, 17(9), 1131-1151.

56.

Monaghan, B. P., & Sims, V. (2013).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Parents with Low Perceived Control and Adolescent Child Stres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2(6), 807-814.

57.

Persike, M., & Seiffge-Krenke, I. (2014). Is stress perceived differently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Inter- and intra-regional comparisons on adolescents from 21 nations. Journal of Adolescence, 37(4), 493-504.

58.

Persike, M., & Seiffge-Krenke, I. (2016). Stress with parents and peers: how adolescents from 18 nations cope with reltionship stress. Anxiety, Stress & Coping: An International Journal, 29(1), 38-59.

59.

Ponnet, K., Wouters, E., Goedemé, T., & Mortelmans, D. (2016). Family Financial Stress, Parenting and Problem Behavior in Adolescents: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Approach. Journal of Family Issues March, 37(4), 574-597.

60.

Seiffge-Krenke, I., Persike, M., Karaman, N. G., Cok, F., Herrera, D., Rohail, I., Macek. P., & Han, H. (2013). Stress With Parents and Peers: How Adolescents From Six Nations Cope With Relationship Stres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23(1), 103-117.

61.

Suna, J., Dunnea, M. P., Houa, X., & Xub, A. (2013). Educational stress among Chinese adolescents: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peer influences. Educational Review, 65(3), 284-302.

62.

Yang, J., Yao, S., Zhu, X., Zhang, C., Ling, Y., Abela, J. R. Z., Esseling, P. G., & McWhinnie, C. (2010). The impact of stress on depressive symptoms is moderated by social support in Chinese adolescents with subthreshold depression: A multi-wave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2, 113-121.

63.

Zhang, B., Yan, X., Zhao F., & Yuan, F.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dolescent Depression: The Roles of Social Support and Gender. Social Indicators Research, 123(2), 501-51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