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진란이(광주과학기술원) ; 이효선(광주과학기술원) ; 최원일(광주과학기술원) pp.211-223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글 시각 단어재인 과정에서 이웃 단어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단어재인 과정에 단어의 빈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목표 단어와 철자 혹은 음운 정보가 유사한 이웃 단어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으로 알려져 있다. 한글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첫 음절을 공유하는 단어를 이웃 단어로 정의하고, 이웃 빈도는 크게 이웃 단어들의 수를 의미하는 타입 빈도와 이웃 단어들의 누적 빈도 합을 의미하는 토큰 빈도로 분류한다. 기존의 한글 단어재인 연구에서 단어 빈도 효과의 존재는 잘 알려져 있으나, 요인설계를 통해 두 종류의 음절 이웃 빈도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한글 단어재인 과정에 이웃 단어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1에서는 타입 빈도를 조작하였고, 실험 2에서는 토큰 빈도를 조작하였다. 어휘 판단 과제를 실시한 결과 음절 이웃의 타입 빈도와 토큰 빈도는 어휘 판단의 반응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글 단어재인 과정에서 음절 기반 이웃 단어 효과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how neighbor words affect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word frequency has a crucial role in word recognition. In addition, some researchers argue that neighbor words that are orthographically or phonologically similar to a target word also affect word recognition. In Korean, neighbor words can be defined as a group of words that share the first syllable with the target word. The type frequency of the syllabic neighbor words refers to the number of neighbor words and the token frequency refers to the accumulated word frequency of the neighbor words. Although previous studies o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have shown that the word frequency effect emerges, there are few studies on effects of the type or the token frequency using a factorial design. To this end, we conducted a lexical decision task, in which the type frequency was manipulated in Experiment 1 and the token frequency was manipulated in Experiment 2. The results showed that neither the type nor the token frequency affect response times of the lexical decision task.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to further discuss the n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n the effect of syllabic neighbor words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문석현(성신여자대학교) ;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pp.225-240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불안장애 환자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는 행동 모니터링 특성이 불안장애 고위험군인 높은 특성불안을 가진 여자 대학생에서도 관찰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rait scale: STAI-Y trait)와 Welsh 불안 척도(Welsh Anxiety Scale: WAS) 점수에 근거하여 높은 특성 불안군(n=24)과 낮은 특성 불안군(n=23)을 선정하였다. 행동 모니터링의 측정에는 사이먼 과제를 사용하였고, 사이먼 과제의 수행 동안 사건관련전위를 측정하였다. 사이먼 과제는 자극 위치와 반응 위치 간의 연합을 기본으로 하여, 자극의 위치와 반응 버튼의 위치가 동일한 일치 조건, 자극의 위치와 반응 버튼의 위치가 서로 다른 불일치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참여자에게는 자극이 제시되는 위치와 상관없이 각 자극에 이미 할당된 반응 버튼을 빠르고 정확하게 누르는 것이 요구되었다. 행동 자료 분석 결과, 반응 오류율과 반응 시간에서 높은 특성 불안군과 낮은 특성 불안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사건관련전위 분석 결과, 낮은 특성 불안군에 비해 높은 특성 불안군이 중앙 전극영역(Cz)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오류관련 부적전위(error-related negativity: ERN) 진폭과 정반응 부적전위(correct response negativity: CRN) 진폭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우울과 과제 수행 전 상태불안을 통제한 경우에도 관찰되었다. 또한, Cz에서의 ERN과 CRN 진폭이 특성 불안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ERN과 CRN은 행동 모니터링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특성 불안군이 낮은 특성 불안군과 다른 행동 모니터링 특성을 가지고, 이러한 특성이 불안장애의 특성지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ction monitor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trait anxiety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EPRs) and Simon task. Based on the scores of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Y version trait scale and Welsh Anxiety Scale, high trait anxiety (n=24) and low trait anxiety (n=23) groups were determined. The Simon task consists of two conditions-congruent and incongruent conditions. The locations of stimulus and response were the same in the congruent condition, whereas the locations of stimulus and response were different in the incongruent condition.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ress one of four buttons assigned to the location of a stimulus. High and low trait anxiety groups showed comparable behavioral performance. In terms of ERPs, high trait anxiety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arger amplitude of error-related negativity (ERN) and correct response negativity (CRN) on Cz electrode site than low trait anxiety group.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RN/CRN amplitudes on Cz and trait anxiet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trait anxiety have a different action monitoring pattern from that of low anxiety group and ERN/CRN amplitudes could be used as trait markers of anxiety disorder.

엄진섭(충북대학교) ; 전하정(충남대학교) ; 손진훈(충남대학교) pp.241-259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3
초록보기
초록

P300 숨긴정보검사(P300 CIT)는 무죄조건에서 목표자극을 제외한 나머지 자극들이 모두 동일한 P300을 유발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P300 이론에 따르면 자극의 동질성 가정이 충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P300 CIT의 오류 긍정률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단일관련자극 프로토콜에서 자극의 동질성 가정이 파기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모의범죄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전체 사례의 약 30%에서 자극의 동질성 가정이 파기되었으며, 기억상실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자극의 동질성 가정이 대부분 유지되었다. 연구 2에서는 중다관련자극 프로토콜에서 자극의 동질성 가정이 파기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사례의 약 25%에서 자극의 동질성 가정이 파기되었다. 연구 3에서는 자극의 비동질성 수준(0, 1, 2, 3, 4, 5)과 관련자극의 개수(1, 3, 6), 시행 수(30, 48, 66), 유의수준(.10, .05)에 따른 오류 긍정률을 추정하기 위하여 몬테 카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극의 비동질성 수준이 0인 경우에는 관련자극의 개수와 시행 수, 유의수준에 관계없이 오류 긍정률이 적절하게 통제되었다. 그러나 자극의 비동질성 수준이 1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조건에서 오류 긍정률이 증가하였으며, 자극의 비동질성 수준이 증가할수록, 관련자극의 개수가 적을수록, 시행 수가 증가할수록 오류 긍정률이 증가하였다. 유의수준 .10에서 비동질성 수준이 2인 경우에는 오류 긍정률이 12%~25%의 범위를 보였으며, 비동질성 수준이 5인 경우에는 18%~38%의 범위를 보였다. 논의에서 자극이 비동질적인 경우에 오류 긍정률을 통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P300 concealed information test (P300 CIT) assumes that all stimuli except the target stimuli show the same P300 amplitudes in innocent participants. However, according to the P300 theory, the assumption of the equality of stimuli can be easily violated, thus false positive rate of P300 CIT can be increased. A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is possibility. In study 1, we identified how much the assumption of the equality of stimuli was violated in single-probe protocol. This assumption was invalidated in about 30%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using a mock crime, but it was almost met in the study using autobiographical information. In study 2, we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the assumption of equality of stimuli in multiple-probe protocol. It turned out that the assumption was not met in about 25% of participants. In study 3, a Monte Carlo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false positive rates by the level of non-equality of stimuli (0, 1, 2, 3, 4, and 5), the number of probes (1, 3, and 6), the number of trials (30, 48, and 66), and the significance levels (.10 and .05). When the level of non-equality of stimuli was set to 0, the false positive rates were properly controll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robes, the number of trials, and the significance levels. However, the false positive rates was increased in all conditions when the level of non-equality of stimuli was 1 or higher. The false-positive rates got higher when the level of non-equality of stimuli got higher, the number of probes got smaller, and the number of trials got higher. When the level of non-equality of stimuli was 2, the false positive rates ranged from 12% to 25% at the significance level .10. While the level of non-equality of stimuli was 5, it fell within the ranged of 18% to 38%. In the discussion, we proposed methods to control false positive rates in the presence of non-equality of stimuli.

김제홍(고려대학교) ; 이창환(서강대학교) ; 남기춘(고려대학교) pp.261-268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4
초록보기
초록

The transposition effect was used to describes the early stage of word recognition and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morphological information is being processed at the early stage (see Lee & Lee 2014, for a comprehensive review). Transposition effect has been carried out mainly through the manipulation of letter units in the Indo-European languages. In contrast, in this study, syllables were used as manipulation uni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xperimental stimuli were manipulated by exchanging the middle two syllables in a four-syllable morphologically complex Korean noun. Within variables were composed of the across morpheme boundary condition (아지버가-아버지가) and the across morpheme boundary condition (자에리서-자리에서). Between variables were composed of the stimulus presentation times which were 50 ms, 100 ms, and 200 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ansposed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pseudo nonword condition regardless of the stimulus presentation time. The response time of the within morpheme boundary condition wa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across morpheme boundary condition only at the 200 ms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llable in morphologically complex Korean noun is treated as an independent processing unit, not limited to specific positions. At the same tim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morphological variable tends to modulate the transposition effect of syllable. This means that the processing of morphological variables is in the early stage of morphologically complex Korea noun recognition.

Abstract

곽유나(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채연(고려대학교) pp.269-275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Our brain tends to associate stimulus features across the senses in a non-random manner. For example, people show consistency in labelling a rounded shape ‘maluma’/‘bouba’ and a spiky shape ‘takete’/‘kiki’. Previous studies have attributed this phenomenon to the correspondence between sound and shape, but without controlling for other potential factors (i.e., linguistic/orthographical factor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role of acoustic aspect per se by manipulating articulatory gestures to generate synthetic speech sounds not confined to a specific languag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either a rounded or spiky shape to indicate the shape that better matched each synthetic speech soun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shape choice was systematically mapped on to the dimensions manipulated to generate the soun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oustic features indeed drive the association between sound and visual shape.

권유안(대구가톨릭대학교) ; 이선경(영남대학교) ; 이윤형(영남대학교) pp.277-283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단어재인 과정에서 음운부호가 하위 어휘 수준(sublexical level)에서부터 활성화 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규칙 단어(예, 결백)와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불규칙 단어(예, 잡무)를 재인할 때 발생하는 사건관련 뇌전위(이하, ERP)를 비교하였다. 만약 어휘접근 이전에 음운부호가 활성화된다면 표기-음운 변환을 반영하는 N320에서 규칙 단어와 불규칙 단어의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21명의 어휘판단 과제 수행 시 수집된 ERP를 비교한 결과 예상한 바와 같이 불규칙 단어의 N320이 규칙 단어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시각적 단어재인 시에 음운부호가 하위 어휘 수준에서부터 활성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honological information of the visually presented word is activated before lexical access. To do so, the present study compared ERPs of the irregular words and regular words. Since N320 component has been known as an ERP component reflecting grapheme to phoneme conversion, we would expect different N320 waves between irregular and regular words if phonological information is activated before lexical access. As expected, the results showed larger N320 for irregular words than regular words. The present study supported the idea that phonological information is activated from the sublexical level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ing.

권나연(덕성여자대학교) ; 김제중(덕성여자대학교) ; 김소연(덕성여자대학교) pp.285-291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7
초록보기
초록

대략적 수 민감도(Approximate Number Sense; ANS)는 대략적으로 수량이 많은 지, 적은 지를 파악하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21명의 만 4-6세 아동을 대상으로 비-상징적 곱셈 추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검증하고, 아동의 ANS와 지능, 그리고 비-상징적 곱셈 추론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1) 만 4-6세 아동들이 비-상징적으로 제시되는 곱셈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2) 아동의 지능을 통제하고도 ANS가 초기 산술 능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 4-6세 아동들은 비-상징적으로 제시되는 곱하기 2 조건과 곱하기 4 조건 모두에서 우연 수준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률을 보였으며, 이는 곱셈에 대한 정규 교육을 받지 않은 어린 아동의 경우에도 비-상징적인 곱셈의 추론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또한, 비-상징적 곱셈 추론 정확도, 대략적 수 민감도의 정확도와 반응시간, 그리고 전체지능(FSIQ)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곱하기 2 추론 정확도는 ANS 과제에서의 반응시간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지능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유의하였다. 즉, 곱하기 2 추론의 경우, 만 4-6세 아동이 ANS 과제에서 더 빠르게 반응할수록 비-상징적 곱셈 추론의 정확도가 높았으며, 이러한 관계는 아동의 지능과 관계없이 나타났다. 그러나 곱하기 4 추론 정확도와 ANS, 그리고 지능 간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상징적 곱셈 추론 능력이 최소 만 4세 연령에서도 가능함을 시사하며, 아동의 ANS가 비-상징적 곱셈 추론 능력을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pproximate Number Sense (ANS) is an intrinsic intuition and innate cognitive function. It helps children to roughly determine if a quantity is larger or smaller than another. In the current study, we examined relative roles of ANS and intelligence on early arithmetic development in children aged 4-6. Our purpose was 1) to examine whether children aged 4-6 can solve non-symbolic multiplication problems and 2) to examine effects of ANS on early arithmetic development after controlling out effects of intellectual ability. Twenty one young children (4-6 years old) performed non-symbolic multiplication tasks (i..e, multiplication 2 and 4) and a ANS task.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as young as 4 years old can solve both non-symbolic multiplication problems above chance level. Also, we found that the efficiency of ANS measured by ANS RTs played a critical role for non-symbolic multiplication 2 task performance even after controlling out effects of IQ. Overall, we conclude that preschoolers as young as 4 years old who don't have prior learning experience of multiplication problems can solve non-symbolic multiplication problems, which might be explained by children's ANS functions.

이하영(중앙대학교) ; 조수현(중앙대학교) pp.293-299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8
초록보기
초록

역 거리 효과란, 비교 과제에서 자극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 좋은 수행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숫자, 한글 자음/모음, 영어 알파벳을 사용한 순서 판단 시 역 거리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각 과제의 수행과 수학, 국어, 영어 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순서 판단 과제에서 역 거리 효과가 나타나 숫자와 글자의 순서 정보가 유사하게 처리됨을 확인하였다. 참가자들은 숫자 과제를 한글 과제보다, 한글 과제를 영어 과제보다 더 우수하게 수행하였다. 이는 숫자와 비교할 때 글자 순서 판단은 상대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과제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를 통해 외국어와 비교할 때 모국어 글자 판단이 더 수월하였음을 알 수 있다. 회귀분석 결과, 숫자, 한글, 알파벳 순서 판단 과제의 수행이 수학, 국어, 영어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숫자와 글자 순서 판단 과제의 수행이 수학만이 아닌 언어 영역의 학업 성취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순서 판단 과제의 수행과 언어 영역 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최초의 연구로서, 순서 판단 능력이 수학 및 수학 외 언어 영역의 성취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a reverse distance effect (RDE) is consistently observed for ordinality judgment using numbers, Korean letters and the alphabet. RDE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better performance is observed for judgment on stimuli that are closer to each other. We examined whether performance on these tasks are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math, Korean and English domains. Indeed, RDEs were observed from all three tasks. This result reveals that the order of numbers and letters are similarly processed and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porting RDE. Performance was better for order judgment of numbers compared to Korean letters, and for Korean letters compared to the alphabet. This reveals that ordinality judgment of letters are less efficient compared to numbers and that ordinality judgment in the native language is more efficient compared to a foreign languag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ordinality judgment performance using numbers and Korean letters significantly predicted math achievement. All three ordinality judgment performance predicted achievement in Korean and English doma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dinality judgment of numbers and letters is related to achievement in not only math but also languag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dinality judgment performance and language achievement. We hereby propose that ordinal representations may be more domain-general than previously conceived, going beyond their presupposed numerical nature.

배성봉(영남대학교) pp.301-307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3.009
초록보기
초록

비단어 시행은 어휘판단 과제에서 필수적인 부분이지만, 그 구성이 단어 시행에 주는 영향에 대한 검토는 많지 않다. 한글 단어 재인에서 비단어 시행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자극 목록에 포함된 비단어의 유형과 비율을 조작하였다. 자극 단어는 2음절 한자어였으며 비단어는 한자어 음절, 비한자어 음절, 비사용 음절 중 한 유형으로 고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단어 유형에 따라 단어 빈도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비단어가 한자어 음절을 포함하는 조건에서 단어 빈도 효과가 가장 컸고 이어서 비한자어 음절 조건, 비사용 음절 조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단어 유형의 영향은 고빈도어보다 저빈도어에서 더 두드러졌다. 또한 자극 목록에 포함된 비단어의 비율도 단어에 대한 어휘판단에 영향을 주었다. 비단어 비율이 20%일 때 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이 가장 짧았고 이어서 60%, 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단어 비율은 빈도와 상호작용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글 단어 재인 연구에서 비단어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촉구한다.

Abstract

Nonword trials are a necessary part of the lexical decision task and their composition can affect the responses to experimental words in the task. To investigate the role of nonwords in visual recognition of Korean words, the nonword type and its proportion in a list were manip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effects of bisyllabic Sino-Korean (SK) words were smaller when they appeared among nonwords made of SK syllables than among nonwords with non-SK syllables or non-used syllables. The effect of nonword type was also stronger for low-frequency word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nonwords included in a list influenced lexical decisions to words. The smaller the proportion of nonwords in a list, the faster decisions were made to words. The proportion of nonwords did not interact with word frequency. The present results call for more attention to nonwords in Hangul word recogni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