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A program for enhancing the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terpersonal abilities and accultural abiliti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7, v.13 no.2, pp.33-54
한성열 (고려대학교)
이종한 (대구대학교)
채정민 (고려대학교)
이영이 (고려대학교)
금명자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상호 간의 문화와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여 좀 더 원활한 대인관계 능력을 획득하고, 상대방 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구성과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 연구들에서 실제 검증되지 못한 프로그램들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반영하여 양측 주민들이 동등한 입장에서 상호의존적 협동 작업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인관계 능력을 획득하고, 상대방 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각 회기는 1.5시간씩이고, 총 4회기로 1주일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조사에 의해 검증되었고, 통제군도 설정되어 있는데, 통제군에 비해 본 프로그램 참가군이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단, 북한이탈주민 중 5명이 중도에 이탈하여 프로그램 효과 중 남한 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신뢰감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keywords
문화, 심리적 적응, 북한이탈주민, 집단상담, 통일, culture, psychological adaptation, North Korean Defector, group counseling, reunific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South Koreans 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to identify mutu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traits, and to acquire adaptation capacity for the other's cult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n we validated the effect of this group program. This program was based on the existing program even if that was not validated through research work. Actually this program was for encouraging the South Koreans 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to acquire interpersonal ability through mutually dependent and cooperative work based on the equal status naturally and to adjust themselves to corresponding culture. Each session continued for 1.5 hour per week. And the sessions were done for 4 weeks. This research was analys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positive outcomes than control group. But, five participants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were dropped out in the course. So North Korean defectors' credibility got lowered.

keywords
문화, 심리적 적응, 북한이탈주민, 집단상담, 통일, culture, psychological adaptation, North Korean Defector, group counseling, reunification

참고문헌

1.

(2002) 독일통일에 대한 성찰,

2.

(2002) 통일과 문화 정책, 햇볕 정책을 중심으로,

3.

(2003)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4.

(2004) 갈등을 넘어 통일로-화해와 조화의 공동체를 위하여, 통일부 통일교육원

5.

(2002) 독일의 학교 및 사회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실태 분석, 통일부 용역과제

6.

(2000) 북한이탈주민(탈북이주자)의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7.

(2002) 통일 이후 동서독 주민들의 갈등과 사회통합: 통일교육에의 시사점, 서울: 통일교육원

8.

독고순, (2001) 탈북주민의 가치정향에 대한 비교 연구,

9.

(1996)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민족통일연구원

10.

성미영, (2002) 청소년의 북한이탈주민 수용정도에 대한 연구,

11.

(2002) 동독주민의 "2등 국민" 의식의 원인에 관한 일고 :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12.

심진섭, (1995) 남북통일과 남,북한 주민들에 대한 이미지-대학생, 실향민, 귀순자, 배우자를 중심으로,

13.

양계민 ; 정진경, (2005)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

(1999) 소수자 연구 시각에서 본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과정,

15.

이금순, (2005)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 프로그램 연구, 통일연구원

16.

이금순, (2005)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프로그램 연구,

17.

이금순, (2004)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실태, 통일연구원

18.

(2001) 북한문화의 수용실태 조사, 통일연구원

19.

(2001) 애착에 따른 이성 간 지지 행동의 차이 연구,

20.

(1997)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문화적 갈등 해소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1.

이정우, (1996) 탈북이주자 사회정착지원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이종한, (2005) 오늘의 마음으로 읽는 내일의 통일: 지지, 반대, 무관심의 스펙트럼,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총서 11

23.

(2000) 독일은 통일되지 않았다, 서울: 푸른숲

24.

(2000) 북한에 대한 고정관념과 통일에 대한 거리감,

25.

(2000) 남북한간 문화이해지,

26.

정진경, (2002)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 탈북자 자료,

27.

(2005) 문화성향에 따른 유사성 판단의 비대칭성,

28.

조영아 ; 전우택 ; 유정자 ;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

조정아, (2006) 새터민의 문화갈등과 문화적 통합 방안, 한국여성개발원/통일연구원

30.

채정민,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31.

(2002) 독일통일과 작가의 역할,

32.

Arends-Toth, J, (2002) Multiculturalism and acculturation: Views of Dutch and Turkish-Dutch,

33.

(1988) Towards the elimination of racism profiles in controversy, Plenum Press

34.

Bourhis, R. Y, (1997) Towards an interactive acculturation model: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35.

(1993) 습관을 알면 문화가 보인다, 청림출판

36.

Mattausch, J, (1996) A penury of bookes: The printing press and social change, in an Indian setting,

37.

(2001) Majority acculturation orientations toward valued and devalued immigran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