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학교상담자의 경험에 기반한 중·고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행동: 정서홍수모델을 중심으로

The Non-suicidal Self-injur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chool Counselor’s Experience: Focusing on the Emotional Cascade Model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4, v.30 no.2, pp.193-220
https://doi.org/10.20406/kjcs.2024.5.30.2.193
김성연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박효은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이보라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중․고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현상을 Selby와 Joiner (2009)의 정서홍수모델(Emotional Cascade Model)에 비추어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비자살적 자해 중․고등학생을 상담한 경험이 있는 학교상담자 5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Braun과 Clarke (2012)가 제안한 주제분석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상담자가 경험한 중․고등학생의 비자살적 자해경험은 정서홍수모델에 따라 ‘부정정서 경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정서홍수상태 경험’, ‘정서홍수상태의 심화’, ‘일시적인 심리적 고통 해소’, ‘자해행동에서 비롯된 정서적 고통’, ‘자해의 악순환’, ‘자해와 공발하는 조절곤란행동’으로 분류되어 8개 범주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고등학생의 여러 체계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 학교상담자의 관점을 통해 중․고등학생 자해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수행되어야 할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학교상담자, 중·고등학생, 비자살적 자해, 정서홍수모델, 주제분석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Selby and Joiner (2009)’s Emotional Cascade Model to the phenomenon of non-suicidal self-injury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school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ith 56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 in counseling self-injured adolescents, and this study applied Braun and Clake’s thematic analysis(2012). As a result, 8 categories and 16 subtopics were derive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dysregulation strategy’, ‘experience of emotional cascade’, ‘temporary relief of psychological pain’, ‘aggravation of the emotional cascade state’, ‘emotional pain from nonsuicidal self-injury’, ‘vicious cycle of nonsuicidal self-injury’ and ‘difficulty in controlling behavior that co-occurs with nonsuicidal self-injury’.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understanding regard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of adolescents through the perspective of school counselors who are in a position to consider the various systems surrounding adolescents in an integrated mann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School counsel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on-suicidal self-injury, Emotional Cascade Model, Thematic analysi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12-08
수정일Revised Date
2024-02-0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4-1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