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외국인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인식:6개 외국인 집단을 대상으로

Cogni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r Six Foreigner Group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1, v.25 no.1, pp.1-23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1.001
김동수 (중앙대학교)
김도환 (중앙대학교)
정태연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6개 외국인 집단(미국인, 일본인, 중국인, 동남아인, 조선족과 새터민)에 대하여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82명의 대학생들에게 개방형질문을 하고 이들의 응답을 내용분석한 결과,한국 대학생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경험은 외모 및 신체적 매력, 성격, 생활습관, 한국인과의 관계, 유능성, 국가배경 및 환경조건 등 6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6개 범주에 해당하는 문항을 그 내용에 기초하여 구성한 다음, 300명으로부터 6개 집단에 대한 평가자료를 수집하였다, 그것을 요인분석한 결과, 외국인의 외모 및 신체적 매력에 대한 인식은 매력적 외모, 아담한 외모, 부정적 외모의 요인구조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성격에 대한 인식은 남성성과 이기주의 및 여성성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생활습관에 대한 인식은 세속적 태도, 성실한 태도, 소극적 태도 및 집단주의로 요인구조가 나타났으며. 외국인과 한국인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는 우월감, 거리감, 열등감, 우호감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에 대한 유능성에 대한 인식에서 특기 및 재능과 경제적 능력으로 요인구조가 나타났고, 외국인의 국가적 배경 및 환경조건에 대한 인식에서는 국가적 조건과 사회문제로 나타나, 외국인에 대한 인식의 요인들을 총 18가지로 파악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모든 요인들의 점수에서 국가 간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 외국인 집단의 특징적 양상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외국인에 대한 인식, 고정관념, 편견, 미국인, 동남아인, 일본인, 중국인, 조선족, 새터민, Stereotype attitudes, Recognition on Foreigners, Prejudice, Americans, Southeast Asians, Japanese, Chinese, Ethnic Koreans in China, North Korean Defectors.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cogni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r six foreigner groups(American, Southeast Asian, Japanese, Chinese, Ethnic Koreans in China, and North Korean Defector). To pursue this aim, 82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se to several open-ended questions. The content of their responses were analysed. it indicated that cognition of Korean undergraduates for foreigners consisted of 6 categories such as appeara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character, lifestyle, relations with Koreans, competence, country background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Given these findings, 158 items were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o 300 undergraduates to rate the six foreigner groups. Factor analyses showed that factor structure of appearance and physical attractiveness consists of charming appearance, neat appearance and negative appearance. Factor structure of character consists of fluid trait, fixed trait, selfishness and braveness. Factor structure of lifestyle consists of secular attitude, honest attitude, passive attitude and collectivism. Factor structure of relations with Koreans consists of superiority, sense of distance, inferiority and sense of friendship. Factor structure of competence consists of speciality & ability and economic capacity. Factor structure of country background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onsists of country condition and social problem. So we found 19 cognition factors for foreigner groups. Firnally, it was found tha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significant for each factor score.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historial and cultural contexts.

keywords
외국인에 대한 인식, 고정관념, 편견, 미국인, 동남아인, 일본인, 중국인, 조선족, 새터민, Stereotype attitudes, Recognition on Foreigners, Prejudice, Americans, Southeast Asians, Japanese, Chinese, Ethnic Koreans in China, North Korean Defectors.

참고문헌

1.

강원택, 김병국, 김민전, 김장수, 이내영, 이현우, 이재열, 정원칠, 정한울, 한준 (2007).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정치. 동아시아연구원. 32-36.

2.

곽준혁 (2007). 다문화 공존과 사회적 통합. 대한정치학회보, 15(2), 23-41.

3.

김상학 (2002).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사회연구 5(1), 169-206.

4.

김진희 (2007). 서울 시민의 다문화 사회로 가기 위한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 연구. 사회복지학생연구논총 2, 1-32.

5.

김혜숙 (2007).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91-104.

6.

김희자 (2008). 외국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한국사회, 9(1), 255-282.

7.

김희자 (2009). 영상매체를 통해 지각된 청소년의 외국인인식과 사회적 거리감. 동서언론, 12(2), 137-164.

8.

박영숙, 제롬글랜, 테드 고든 (2008), 유엔미래보고서:미리가본 2018년, 교보문고.

9.

양계민 (2009).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3(2), 59-79.

10.

엄한진 (2006). 전지구적 맥락에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 이민논의. 한국사회학회 동북아 다문화시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통합 자료집.

11.

유명기 (1997).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문화. 노동문제논집. 13, 69-98.

12.

유승무, 이태정 (2006).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 척도와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담론 201, 9(2),275-311.

13.

윤인진 (2008).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한국사회학, 42(2), 72-103.

14.

이혜경 (2007).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동북아시대 위원회.

15.

인태정 (2009). 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국제지역연구,13(2), 339-370.

16.

임성택 (2003).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의 외국인에 대한 한국학생들의 고정관념분석. 교육학연구, 41(3),275-301.

17.

장승진 (2010). 다문화주의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경제적 이해관계와 국가 정체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4(3), 97-119.

18.

정진경, 양계민 (2004).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1), 101-136.

19.

조혜영, 이창호, 권순희, 서덕희, 이은하 (2007).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 학생의 수용성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7-19-05.

20.

행정안전부 (2009).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현황.

21.

황미애 (2009). 외국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생들의 차별적 태도 연구. 시민교육연구, 41(3),205-226.

22.

황정미, 김이선, 이명진, 최현, 이동주 (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9(2).

23.

Babbie, E. R. (2006).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11 ed.): Wadsworth Publishing.

24.

Bilig, M. (1976). Social psychology and intergrouprelations. London Academic Press.

25.

Brown, R. (1988). Group processes: Dynamics withinand between groups. New York: Ball Blackwell.

26.

Hamilton, D. L. (1979). A cognitive-attributionalanalysis of stereotyping. Advances inExperiential Social psychology, 2, 53-81.

27.

Hilton, J. L., & von Hippel, W. (1996). Stereotypes.Annual review of psychology, 47, 237-271.

28.

Jones, J. M. (1997). Prejudice and racism(2nd ed.).New York: Mcgraw-Hill.

29.

Laumann, E. O. (1956). Subjective Social Distanceand Urban Occupational Stratification. AmericanJournal of Sociology 71, 26-36.

30.

Mayring, P. (2000).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Forum Qualitative Sozialforschung․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1(2), 64-87.

31.

Taylor, S. E. (1981). A categorization approach tostereotyping. In D. L. Hamilton(Ed.). Cognitiveprocesses in stereotyping and intergroupbehavior, Hillsdale, NJ: Erlbaum.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