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고현(성신여자대학교) ; 박혜경(성신여자대학교) pp.101-138 https://doi.org/10.21193/kjspp.2023.37.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소수자(lesbian, gay, & bisexual; LGB)에 대한 비성소수자의 태도가 성소수자의 성별과 성적 지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성소수자와의 접촉 경험, 비성소수자가 지닌 종교적 근본주의 및 본질주의적 믿음이 비성소수자의 성소수자에 대한 태도를 예측하는지 알아보았다. 만 19세에서 39세 비성소수자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가자들은 레즈비언과 게이에 대한 태도 척도, 양성애에 대한 태도 척도, 직접 및 간접 접촉 문항들, 다차원 근본주의 척도, 동성애에 대한 본질주의적 믿음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문항들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비성소수자의 성소수자에 대한 태도는 성소수자의 성별이 여성보다 남성일 때, 그리고 성소수자의 성적 지향이 동성애자보다 양성애자일 때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접 접촉 문항 중 준사회적 상호작용, 종교적 근본주의의 하위 요인 중 세속적 거부 대 지지, 동성애에 대한 본질주의적 믿음의 하위 요인 중 분별성, 불변성 및 보편성이 성소수자에 대한 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매체에 등장하는 성소수자를 사회적으로 매력적이지 않고 사실적이지 않다고 인지할수록, 세속적인 것보다 종교를 지지할수록, 동성애자와 이성애자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고 믿을수록, 성적 지향이 어린 시절에 결정되며 고정되는 범주가 아니라고 믿을수록, 동성애가 역사․문화적으로 보편적이지 않다고 믿을수록 성소수자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여성 및 양성애자 남성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각각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태도 예측 변인들이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비성소수자의 성소수자에 대한 태도와 그 예측 변인을 다방면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attitudes of cisgender heterosexuals toward lesbians, gays, and bisexuals (LGB) differ depending on their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and whether contact experience, religious fundamentalism, and essentialist beliefs are related to attitudes of cisgender heterosexuals toward LGB. To address these questions, we conducted an online study of cisgender heterosexuals aged from 19 to 39 years and analyzed data from 308 participants.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attitudes toward lesbians and gays scale, attitudes regarding bisexuality scale, direct/indirect contact experience questions, multi-dimensional fundamentalism inventory, essentialist beliefs about homosexuality scale, and other demographic questions. As a result, participants showed a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men sexual minorities compared with women sexual minorities and bisexuals compared with homosexuals. In addition, indirect contact experience-parasocial interaction, a subscale of religious fundamentalism-worldly rejection versus worldly affirmation, and subscales of essentialist beliefs about homosexuality-discreteness, immutability, and universal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ttitudes of cisgender heterosexuals toward LGB. Specifically, attitudes toward LGB were found to be more negative if participants perceived LGB characters in the media less socially attractive and realistic, if they supported religion over secularity, and if they believed that there was fundamental psychological difference between homosexuals and heterosexuals, that sexual orientation was a category that can be changed throughout a lifetime, and that homosexuality was historically and culturally limited. In addition, we conducted separat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n attitudes toward lesbian, gay, bisexual women, and bisexual men and found that attitude predictors were somewhat differ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cisgender heterosexuals toward LGB in various ways. Finally, the study’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하연(성균관대학교) ; 최훈석(성균관대학교) ; 노중현(성균관대학교) ; 도은별(성균관대학교) ; 한지민(성균관대학교) pp.139-158 https://doi.org/10.21193/kjspp.2023.37.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남북한 관계에서 공동 상위범주인 한민족의 범주복잡성이 낮거나 높다고 지각할 때 한민족동일시가 북한에 대한 관용과 남북한 통합지향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높은 한민족 범주복잡성은 한민족이 다양한 속성을 지닌 하위집단들로 구성되었다는 지각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 사람들이 한민족을 남북한뿐만 아니라 여러 하위집단(예: 한국계 외국인, 재외국민 등)으로 구성된다고 지각할 때 한민족동일시가 외집단인 북한에 대한 관용을 매개로 남북한 통합지향 행동의도를 정적으로 예측한다는 가설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에서는 남한 대학생(N = 124)을 대상으로 한민족동일시 수준을 측정하고 한민족의 범주복잡성(높음 vs. 낮음)을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한민족 범주복잡성이 높은 조건에서 참가자들의 한민족동일시 수준이 높을수록 북한에 대한 관용 수준이 높았다. 반면 한민족 범주복잡성이 낮은 조건에서는 한민족동일시가 북한에 대한 관용을 예측하지 못했다. 그리고 한민족 범주복잡성과 한민족동일시의 상호작용이 북한에 대한 관용을 매개로 남북한 통합지향 행동의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가 남북관계에 관한 심리학 연구에 시사하는 바와 장래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terplay between superordinate category (i. e., ‘Ethnic Han’) complexity and superordinate ingroup identification on outgroup (North Koreans) tolerance and support for intergroup integration amongst South Koreans. Category complexity reflects the extent to which the category contains distinctive and equally representative subgroups.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superordinate ingroup identification positively predicts outgroup tolerance when the superordinate category is perceived as complex rather than simple in its representational structure. In addition, we expected that this effect would positively predict outgroup tolerance,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s behavioral intentions for intergroup integration. In a laboratory experiment involving South Korean undergraduates (N = 124), we measured participants’ level of identification with the superordinate category and manipulated the superordinate category complexity (high vs. low). Results indicated, as expected, that in the high superordinate category complexity condition, superordinate ingroup identification positively predicted outgroup tolerance. When category complexity was low,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uperordinate ingroup identification and outgroup tolerance. Further, outgroup tolerance mediat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uperordinate category complexity and the ingroup identification on behavioral intentions for intergroup integration. We discussed the role of superordinate category complexity and superordinate ingroup identification in establishing harmonious and integrative subgroup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Koreas.

JINWEN JIE(충북대학교) ; 정지연(충북대학교) ; 한유화(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pp.159-187 https://doi.org/10.21193/kjspp.2023.37.2.003
초록보기
초록

성폭력 피해자의 피해자다움은 성폭력 사건과 피해자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 및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에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 175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다차원척도법 모형 중 개인차척도법과 다차원 펴기를 적용하여 사람들이 피해자다움 평가에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도출된 피해자다움 지각과 관련된 요인들(‘피해호소의 적극성’, ‘피해자 고통의 가시성’, ‘옷차림의 단정함’, ‘피해추정 시간’)을 조작하여 제작한 그림 자극을 사용하여 참가자들에게 피해자다움 차원에서의 유사성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피해자 고통의 가시성’을 피해자다움 평가에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할 수 있었다. 2차원 공간에 군집화된 그림 자극에 대한 참가자들의 지각을 비교한 결과, 참가자들은 이 군집들이 ‘거짓말하는’ 정도와 ‘차분한’ 정도에서 다르다고 지각하였다. ‘피해자 고통의 가시성’을 반영하는 차원의 중요도는 성별과 성폭력 통념 수준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피해자다움 평가에 고려되는 네 요인의 중요성 서열을 평정한 자료를 이용한 다차원 펴기 분석에서도 성별에 따른 중요성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성폭력 통념 수용도가 높은 사람들이 피해자의 옷차림과 밤늦은 외출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피해자다움의 평가가 성별과 성폭력 통념 수준에 상관없이 ‘피해자 고통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며, 이 차원이 피해자의 진실성 의심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lthough the perceived victim-likeness of sexual violence victims can affect people’s attitudes and judgments toward sexual assault cases and the victims, little systemat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Korea. This study applied the individual difference scaling (INDSCAL) and multi-dimensional unfolding, types of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models, to data collected from 175 college students to find out factors that people consider significantly in evaluating victim-likeness. Specifically, the authors derived the four factors related to the victim-likeness perception from previous studies (‘whether or not the victim appeal to the violence actively,’ ‘whether or not the victim’s suffering is visible,’ ‘whether or not the victim’s clothing is tidy,’ and ‘estimated time of the violence’) and produced pictures describing the victims by manipulated those factors. The participants rated the similarity of victims in terms of victim-likeness by comparing the two pictures presented in a pair. The result finds that the participants considered whether or not the victim’s suffering is visible to evaluate the victim-likenes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victims being clustered pictures in the two-dimensional space, the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depicting the victim as ‘lying’ and ‘calm.’ Individuals’ weights for the dimension of the visibility of the victim’s suffering did not differ in both gender and the acceptance level of sexual violence myth. The multi-dimensional unfolding analysis using ranking data of the four factors’ importance showed no gender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nts with a higher acceptance of the sexual violence myth showed to consider the clothing and late outing of the victim more significantl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und that, regardless of gender and the level of sexual violence myth, whether or not the victim’s suffering was visible contributed to the evaluation of victim-likeness, and the factor was related to assessing the victims’ credibility.

김가람(고려대학교) ; 정세원(고려대학교) ; 최인철(서울대학교) ; 최은수(고려대학교) pp.189-213 https://doi.org/10.21193/kjspp.2023.37.2.004
초록보기
초록

사람들은 누구나 다양한 상황에서 지루함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경험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인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지루함을 측정하였고, 지루함과 관련이 있는 개인적, 상황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한국인 성인 480명이 14일 동안 경험 표집에 참여하였으며, 총 15,838개의 경험 표집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다층 분석 결과, 나이가 어리고,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을수록, 그리고 소득이 낮은 개인일수록 지루함을 더 경험하였다. 또한 네 가지 상황적 요인, 1) 지루함 외의 다른 정서 경험, 2) 현재 하고 있는 활동, 3) 함께 있는 사람, 4) 응답한 요일 및 시간에 따라 한국인이 지루함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일상적 지루함에 대해 종합적으로 탐색한 첫 연구로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루함의 개인 간 차이를 보았을 뿐만 아니라, 상황과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개인 내 지루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연구가 주로 여가, 교육, 청소년 등의 제한적 영역에서 지루함을 연구했다는 한계를 극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지루함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Everyone experiences boredom from time to time in diverse situa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Koreans’ daily experience of boredom and the personal and situational correlates of boredom by conducting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480 South Korean adults participated in 14 days of experience sampling, and a total of 15,838 reports was collected. The multileve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boredom was more experienced by participants with younger age, lowe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lower income. Also, Koreans’ boredom experience depending on four situational correlates of boredom including 1) co-occurring emotions, 2) current activity, 3) social setting, and 4) day-of-week was examined.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captur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Koreans’ boredom, not only by exploring individual differences of boredom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t also by examining changes of boredom experienced within individuals depending on time and situation. Our findings hol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boredom literature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boredom research in Korea which has mainly focused on limited areas of leisure, adolescent, education, etc. Based on our findings, future directions of boredom research in Korea are discussed.

김유나(충북대학교) ; 안정광(충북대학교) pp.215-235 https://doi.org/10.21193/kjspp.2023.37.2.005
초록보기
초록

겸손(modesty)과 겸허(humility)는 대인관계적, 개인내적으로 구분되는 개념임에도 많은 연구에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겸손을 측정하는 척도 역시 두 개념을 제대로 구분하지 않은 채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겸손과 겸허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여 측정하려는 목적으로 Whetstone, Okun과 Cialdini(1992)가 개발한 겸손 반응 척도(Modest Responding Scale, MRS)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였다. 전체 661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320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교차 타당도 검증을 위해 무작위 추출된 자료의 절반은 탐색적 요인분석, 나머지 절반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 문항을 제외한 총 19문항이 3요인 구조(대인관계적 겸손성향, 사회적 바람직성, 겸허한 태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구조가 양호한 적합도와 신뢰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한국판 MRS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적 겸손성향과 사회적 바람직성 요인에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 분석 결과, 한국판 MRS는 HEXACO 겸손성 소척도와 작은 크기의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EXACO 정직성 점수와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판 MRS는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와 큰 크기의 상관을 보여 준거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겸손과 겸허를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한국판 MRS를 타당화하였으며, 겸손과 겸허의 관계 및 개념 차이점을 명확히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concepts of modesty and humility have been confusing in many studies. Measures developed to assess modesty have not distinguished between the two concepts.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odest Response Scale (MRS) developed by Whetstone, Okun, and Cialdini(1992). A total of 661 participants conducted the survey, and the data of 320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half of the randomly selected dat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remaining half for cross-validation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K-MRS had a 19-item three-factor structure (inclination toward interpersonal modesty, social desirability, and attitude of humility), excluding one item that did not attain the set factor load. According t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he three-factor model showed good model fit and had suitable reliability. The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riterion validity of K-MRS was confirm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HEXACO honesty/humility scale, the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The K-M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XACO Humility Scale,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with HEXACO Honesty score.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cepts of modesty and humility have different meanings.

박선웅(고려대학교) ; 김혜민(고려대학교) ; 이준배(고려대학교) ; 문현(고려대학교) pp.237-258 https://doi.org/10.21193/kjspp.2023.37.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Kaufman 등(2015)이 개발한 자기개념과 정체성 척도의 단축형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27문항으로 구성된 자기개념과 정체성 척도는 확고한 정체성, 교란된 정체성, 정체성 결여라는 세 가지 하위요인을 통해 정체성의 서로 다른 측면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본 척도는 심리측정적 속성 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이에 문제가 있는 문항들을 삭제하여 12문항의 단축형 척도를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연구를 통해 원본 척도와 단축형 척도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또, 임종민 등(2022)이 제시한 2요인 모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단축형 3요인 모형 간 모형 적합도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단축형 3요인 척도는 우수한 모형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또, 세 개의 하위요인은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 정체성 발달의 여러 차원, 우울, 성격 장애 등의 변인과 이론적으로 예측되는 방향으로 상관이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Self-Concept and Identity Measure (Kaufman et al., 2015). The 27-item Self-Concept and Identity Measure was developed to assess different aspects of identity through three subscales: Consolidated Identity, Disturbed Identity, and Lack of Identity. However, despite being used in many recent studies, the scale has been found to have problematic psychometric properties, and we decided to create a 12-item shortened scale by deleting problematic items. In three studies, we compared the model fit of the original scale and the shortened scale, and also compared the model fit between the two-factor model proposed by Lim et al. (2022) and the shortened three-factor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hortened three-factor scale had good model fit, and the three subscales correlated with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dimensions of identity development, depression, and personality disorders in the direction predicted by theor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