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고재홍(경남대학교) pp.1-16
김정운(명지대학교) ; 이누미야요시유키(서정대학교) pp.17-32
박성현(가톨릭대학교) ; 윤호균(가톨릭대학교) ; 박영석(가톨릭대학교) pp.33-49
안상수(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김혜숙(아주대학교 심리학과) pp.51-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 편견적 태도에 대한 내ㆍ외집단간 규범정보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 실험연구에서는 인터넷 게시판 형식을 통해 내ㆍ외집단과 성 평등 및 차별 규범정보를 조작하였고, 160명의 남녀 대학생 참여자들에게 양성평등정책에 대한 외현적 태도와 '암묵적 연합 효과'에 의한 내현적 태도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중다회귀매개분석을 통해 편견표현 허용규범에 대한 지각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매개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내집단 평등규범조건의 참여자들이 내집단 차별규범조건에서 보다 양성평등정책을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내현적 태도에서, 남성참여자들의 경우 내집단 평등조건에서 내집단 차별조건에서 보다 유의하게 낮은 성편견 반응을 보였다. 중다회귀매개분석 결과에 따르면 내집단의 규범정보는 외집단 규범정보와 달리 편견표현 허용규범 지각을 변화시키는 매개과정을 거쳐 외현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편견표현 허용규범지각의 매개효과는 내현적 태도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의 방법론적 함의와 함께 편견 감소와 관련된 응용가능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 of information of the ingroup and the outgroup norms on sexism. Norms(a norm advocating the equal rights for women/a norm advocating in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group(ingroup/outgroup) of the participants were manipulated by presenting the arguments regarding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for women on the internet homepage board.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attitude regarding affirmative action policy and the IAT effect. The mean of control group was subtracted from the means obtained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o be used as the primary dependent measures. Participants in the ingroup-equal norm condition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regarding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than those in the ingroup-unequal norm condition.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AT effects suggested that male participants in the ingroup-equal norm condition showed significantly less prejudiced attitude than those in the ingroup-unequal norm condition.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the information of group norm of the ingroup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outgroup affected the explicit attitudes through the mediation process in which the perception of the ingroup norm led to the perception of the norm of the society regarding the expression of prejudice. However, this mediation effect was not found for the implicit attitude measure.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이옥주(철도경영연수원) pp.77-85
이장주() ; 최상진(중앙대학교) pp.87-104
최해연(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민경환(서울대학교) pp.105-118
김혜숙(아주대학교) ; 고재홍(경남대학교) ; 안미영(아주대학교) ; 안상수(아주대학교) ; 이선이(아주대학교) ; 최인철(서울대학교) pp.121-143
나은영(서강대학교) ; 한규석(전남대학교) ; 고재홍(경남대학교) pp.145-158
안미영(아주대학교) ; 김혜숙(아주대학교) pp.159-179
황상민(연세대학교) ; 김도환(중앙대학교) pp.181-19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