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장수지(경성대학교) ; 김수영(경성대학교) ; Erika Kobayashi(Tokyo Metropolitan Institute of Gerontology) pp.1-24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1
초록보기
초록

개인주의-집단주의 개념적 틀은 문화적 맥락에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개인이소속 집단에 대해 갖는 태도인 공동체의식과 연속적인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성향과 세 가지 유형의 공동체(지역사회, 활동모임, 가상공동체)에 대한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특히 연령집단이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에 주목하여,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그리고 그 영향관계에서의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거주 지역의 성비,연령대 비율을 고려하여 할당 표집된 20~50대의 성인 남녀 932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유형의 공동체에서의 활동 수준과 각 유형에 대한 공동체의식, 집단주의 성향에서 연령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세 가지 유형의 공동체의식에 대해공통적으로 강한 정적 관련성을 보인 문화성향은 수평적 집단주의(HC)이었다. 셋째, HC의 공통된 효과에도 불구하고, 공동체의 속성에 따라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는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동시에 이 관계에 있어서의 연령대에 따른 차이도 나타났다. 특히 20대의 경우 전반적으로 다른 연령대와는 크게 차별되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40, 50대의 가상공동체의식에 대한 수직적 개인주의(VI)의 효과도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공동체 차원에 따른 공동체 내 사회적 관계망 등 중심적 속성의 차이, 코호트 내지는 생애주기의 차이로 인한 가치관과 행동양상의 차이, 이로 인한 선호 공동체 및 활동수준의 차이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core groups in a cultural context. Therefore, individualism-collectivism is related with sense of community (SOC), which refers to an individual’s personal attitude to the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al disposition and SOC toward three types of community, namely, territorial, activity-based, and cyber community,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is work paid attention to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age groups, differences in cultural disposition due to membership in a particular age group, SOC, and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SOC. A survey was conducted on 932 men and women aged 20 to 50 yea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community activity level, SOC, and collectivism tendencies in all three types of community brought about by membership in an age group. Second, horizontal collectivism (HC) commonly had a strong positive effect on all three types of SOC. Third, in spite of the common effect of HC, distinct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SOC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community type and age group. In the case of participants in their 20s, overall results showed different trends compared with other age groups. Meanwhile, the positive effect of vertical individualism (VC) toward SOC for cyber community was notable in people in their 40s and 50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rought by the nature of particular communities, including core group social networks, differences in values and behavior aspect per age group, and differences in community preference and activity level per cohort or life cycle group.

이지혜(경기대학교) ; 박우현(경기대) ; 이수정(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pp.25-40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사건의 법적판단에 필요한 법률적 요인 외에 피해자의 특성 등 법률 외적 요인이 배심원의 양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 이로써 피해자 혹은 피고인에게 사법절차상의 불공정한 처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살필 수 있는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심원은 성폭력피해자가 성폭력사건의 고소취하 이력이 있다는 것을 제시받은 후 피고인의 양형을 평균적으로 절반가까이 감경하였다. 둘째, 성폭력피해자의 유사성매매 경력을 제시받은 배심원은 제시받기 전보다 피고인의 양형을 감경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성폭력피해자의 진정서를 제시한 경우 제시 전에 비하여 피고인에 대한 양형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세 가지 피해자 요인들 중 양형판단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은 고소취하 이력 제시조건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유사성매매 경력, 피해자의 진정서 제시 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처치된 조건이 처지 된 그룹의 양형판단에 미친 영향력을 살펴 볼 수 있었지만 개인 간 처치요건에 따른 영향력의 편차가 크다는 점 또한 시사되었으며, 추후 질적 분석을 통해 배심원의 양형판단 근거로써 피해자요인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알기위해 배심원의 평결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법률 외 피해자요인이 법정으로 유입된다면 배심원의 법적판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이 드러났다. 앞으로 국민참여재판의 점차적 확대시행을 앞두고 법률 외적 요인을 배재할 수 있는 절차적인 기준을 마련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an effect of extralegal factors such as victim's characteristics, etc. except for legal factors necessary for sentencing judgement of sexual violence on jury verdict. Thus, it intended to prepare empirical base to examine possibilities of unfair treatment of justice procedure for victims or the accused. the contents showed by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jury reduced determination of punishment of the accused by about the half averagely after they knew that victims of sexual violence have a career of charge withdrawal for previous sexual violence. Second, jury who was suggested by victims' previous work in similar prostitution tended to reduce determination of punishment of the accused in comparison with the time before the suggestion. Fourth, if suggesting a petition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determination of punishment of the accuse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time before the suggestion. Among the three factors of victims, what makes the most effects on determination of punishment was a condition of charge withdrawal. Next, there were working in similar prostitution and suggestion of victim's petition in order. However, general influence was existing by treatment, but it implies that strength of influence was different by treatment condition among them. It should be necessary to examine verdict of jury for the utilization of victim factors as a ground of jury's determination of punishment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in the future.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ill be possibilities to make an effect on jury's legal judgement if extralegal victim factors are introduced to the court. In the future, we should make an effort to prepare procedural standard which can exclude extralegal factors before the gradually expanded execution of civic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신지은(연세대학교) ; 서은국(연세대학교) ; 손미나(연세대학교) pp.41-58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3
초록보기
초록

목소리로 성격을 유추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여성이 목소리만으로 남성의 외향성을 타당하게 판단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1의 여성 참가자들은 파트너와 함께 연극 대사를 읽는 약 15초의 남성의 목소리를 통해 외향성을 판단하였다. 예상한대로 목소리를 통해 지각된 외향성은 남성이 보고한 외향성 점수, 행동 활성화 체계, 그리고 친구의 수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어서 연구 2의 여성 참가자들은 혼자서 신문 기사를 읽는 약 3초의 남성의 목소리를 듣고 외향성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외향성은 동일 시기의 외향성 점수뿐 아니라 8개월 후 사회적 활동에서 경험하는 즐거움의 정도, 성취 및 쾌락적 가치관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몇 초에 불과한 짧은 목소리가 개인의 성격을 추론하는 타당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Can people make valid personality judgments from a person’s voic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women could judge men’s extraversion level based solely on their voices. In Study 1, 51 females rated the extraversion level of male participants after hearing their voices recorded during a scripted dialogue with a confederate. The raters’ extraversion ratings correlated with the target person’s self-reported extraversion,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number of reported friends. In Study 2, 47 females rated the extraversion level of males after hearing a 3-second recording of a news article they read alone. Again, extraversion judged from the voice clips correlated with the target’s self-reported extraversion level, and 8 months later, with the amount of pleasure experienced in social activities and importance attached to achievement and hedonic values. Our research suggests that a person’s voice, disclosed merely a few seconds, can serve as a reliable cue for inferring his/her personality.

허청라(연세대학교) ; 구재선(중앙대학교) ; 서은국(연세대학교) pp.59-75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4
초록보기
초록

기존 연구들은 의식주와 같은 기본적 욕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되면 돈은 더 이상 행복을 증가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생존을 위한 기본적 욕구들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경제 수준에 이르게 된 이후에 사회적 욕구가 행복을 예측하는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 1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행복의 상관이 경제 수준이 낮은 개인보다 높은 개인에게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를 지지한다. 연구 2에서는 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대학교 구내식당에서 가설을 검증하였다. 예상했던 대로 사회적 관계의 질에 대한 조작은 참가자들이 식사를 하기 전보다 식사를 한 후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행복에 더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충분한 경제 수준(연구 1) 또는 식사 후(연구 2)와 같이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행복에 사회적 욕구의 중요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fter basic needs (e.g., food) are fulfilled, money no longer plays a notable role in increasing happiness. We hypothesized that, after the basic needs are satiated, social needs will emerge as a more potent predictor of happiness. In support of this idea,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correlated more strongly among individuals with high than low income (Study 1). In Study 2, this idea was tested at a University cafeteria setting to increase the external validity of this phenomenon. As expected, manipulating one’s social relationship quality had a more visible impact on happiness after rather than before one’s meal. Findings from these two studies collectively suggest that after basic needs are fulfilled (sufficient income, Study 1; after a meal, Study 2), the importance of social needs in happiness increases.

안유진(한양대학교) ; 장형심(한양대학교) pp.77-103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과 희망이론에 근거하여, 인간의 심리적 기본욕구인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만족이 희망적 사고를 매개로 하여 학습관여를 예측한다는 연구모형을 상정하고, 이들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는 중학생 513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학습상황에서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만족과 희망적 사고, 학습관여 수준을 자기보고식으로 평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가지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성) 만족이 학습관여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고려했음에도, 학습자의 희망적 사고는 자율성 욕구의 만족과 학습관여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고, 유능성 욕구 만족과 학습관여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만족과 학습관여 간의 관계를 파악할 때 희망적사고와 같은 심리적 변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결정이론과 희망이론을 연계하는 이론적 시사점을 지니며 교육현장에서의 자율성 및 유능성 욕구 만족과 희망적 사고의 중요성을 재조명해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utonomy need satisfaction,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hopeful thinking and academic engagement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foundation to promote hopeful thinking and why autonomy need satisfaction and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support academic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ctivities. Using both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hope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hopeful thinking mediates the otherwise direct effects that both autonomy need satisfaction and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have on classroom engagement. Five hundred thirteen students self-reported their class-specific autonomy need satisfaction,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academic engagement and hopeful think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even considering the direct effects of two need satisfactions (autonomy, competence) on academic engagement, hopeful think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utonomy need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Also, hopeful think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These finding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to integrate hope theory into the existing self-determination theory literature and shed light on importa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utonomy, competence) and hopeful thinking in educational settings.

김현정(고려대학교) ; 고영건(고려대학교) pp.105-117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장애와 자살생각 간 관계에서 특성 메타기분의 중재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19명(남자 147명, 여자 73명)에게 자살생각 척도(SIQ: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한국형 정신장애 척도(K-MDI: Korean Mental Disorder Inventory), 특성 메타기분 척도(TMMS: Trait Meta-Mood Scale)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정신장애와 자살생각 간 관계에서 특성 메타기분의 중재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살생각에 대한 정신장애와 특성 메타기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즉, 특성 메타기분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정신장애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자살생각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특성 메타기분이 높은 경우에는 정신장애 수준이 높은 조건과 낮은 조건 모두에서 자살생각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 정신장애와 자살 간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보호요인의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it meta-moo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disorder and suicidal ideation. The participants were 219 college students (147 males, 73 females). They completed the Korean Mental Disorder Inventory (K-MDI), the Trait Meta-Mood Scale (TMMS), and the Suicidal Ideation Scale (SIQ).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trait meta-mood and mental disorder on suicidal ideation. The effect of mental disorder on suicidal ide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rait meta-mood. As for the group with low level of trait meta-mood, suicidal ideation was more likely to be reported at increasing level of mental disorder. On the contrary, as for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trait meta-mood,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was low regardless of severity of mental disorder. Based on the findings, the possibility that emotional intelligence may work as a potential protective factor in the relationship of mental disorder to suicidal ideation was discussed.

박혜숙(호남대학교) ; 김양곤(대구보호관찰소) pp.119-140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위비행, 중비행, 사이버비행의 유발요인과 관련하여 세 가지 비행이 일반비행의 하위요인으로 본 모형과 세 가지 유형을 독립적으로 보는 두 개의 모형을 설정하고 어느 모형이 더 적절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자료의 중학생 코호트를 사용하였다. 21개의 독립변수가 다수의 0을 가진 세 가지 비행을 예측하는 Zero-inflated poisson 모형을 만들었고, 분석 시 Mplus 6.12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세 유형의 비행을 일반비행(General Delinquency)의 하위요인으로 간주하는 모형이 개별 유형의 비행요인을 독립적이라고 가정하는 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Zero inflated poisson 모형은 두 가지 결과를 보여준다. 1) 비행 유무와 관련하여 비행을 전혀 하지 않을 그룹(비위험집단)에 관한 로짓모형 결과이며, 이 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낮은 경우는 공격성이 높은 경우, 지위비행 친구가 있는 경우, 그리고 그 효과는 작지만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경우로 나타났다. 2) 비행 빈도가 있는 그룹(위험그룹)을 대상으로 한 possion모형 분석 결과, 비행의 유형에 따라 성별, 정서/성격, 가정환경, 또래환경이 개별 비행유형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였다. 세 유형의 비행 발생 빈도와 관련하여 공통점은 남학생인 경우와 폭력 피해의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비행 발생이 더 높았다. 그러나 비행을 전혀 하지 않을 그룹(비위험집단)과 그렇지 않을 그룹(위험집단)을 분류하는 정확도가 높지 않기에 해석에 있어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With regard to investigating the cause of deviant/delinquent behaviors, this study tested the two models: 1) three types of deviant behaviors, such as status, severe, and cyber delinquency as the constituents of general deviance and 2) the three delinquencies are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using hybri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ata used are from the middle school student cohort of Korean Children-Youth Panel Survey(KCYP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Mplus (V.6.12). Since the three delinquencies with many zeroes were predicted by 21 independent variables, zero-inflated poisson models were construc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with the three delinquencies as constituents of general deviances fit better. The poisson model shows two outputs: First, the logit model outcome shows tha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structurally zero group (non risk group)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gression, having friends with status deviances, and high family income, but associated positively with parental abuse. Second, with the possion model,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predicting the frequency of committing deviant behavior depends on types of deviances. The effects of emotion/affect, personality, family/parenting styles, school environment (teacher, peer relations) varied. However, male students and those who were recipient of violence were associated positively with the probability of committing the three types of delinquencies. However, caution is needed interpreting the log-odds of belong to a non-risk group since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is not so high. Suggestions were made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ies.

김남희(충남대학교) ; 전우영(충남대학교) pp.141-156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의식적으로 자각할 수 없는 수준에서 제시된 도시와 시골 지역에 대한 개념과 관련된 정보가 인상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주변시 경계 과제(parafoveal vigilance task)를 이용해서 도시 또는 시골 지역에 대한 개념과 관련된 단어들을 식역하로 제시하였다. 실험참여자들은 두 번째 과제에서 애매모호한 행동을 한 자극인물의 행동기술문을 읽고, 그를 다양한 성격 특성상에서 평가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도시 개념이 점화된 참여자들이 시골 개념이 점화된 참여자들보다 자극인물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 개념의 점화는 평가대상을 더 유능한 사람으로 보이도록 만들었다. 논의에서는 도시와 시골 지역에 대한 고정관념과 점화효과의 무의식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information relevant to the concepts of city and rural areas presented outside of conscious awareness can influence impression formation. Participants initially performed a parafoveal vigilance task in which some were exposed subliminally to words related to the concept of city area while others were exposed to the rural area concept. In an ostensibly unrelated second task, participants read a behavioral description of a stimulus person whose behavior was ambiguous, and then rated him on several personality trai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hose concept of city area was primed formed more positive impressions of the stimulus person, especially on an ability dimension, than those primed with the concept of rural area.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stereotypes of city versus rural areas and the unconsciousness of priming effects are discussed.

성상희(김원묵기념 봉생병원) ; 홍창희(부산대학교) ; 김귀애(김원묵기념 봉생병원) pp.157-175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조절능력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다.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고, 충동성, 공격성 및 비행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Gottfredson과 Hirschi의 자기통제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것이다. 부산 소재의 청소년폭력예방재단에 대안교육으로 의뢰된 30명의 남학생들 중 15명이 치료집단에 할당되어 5일 동안 자기조절능력향상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15명이 비교집단에서 기존의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또한, 같은 도시의 P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대안교육에 의뢰될 예정인 15명의 학생이 무처치 통제 집단에 할당되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비행청소년들의 심리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자기통제력, 충동성, 공격성, 공격 신념 및 비행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치료집단의 학생들은 6주 후의 추수연구에도 참여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반복측정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비행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충동성과 공격성은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6주 후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regulation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and evaluate its effects.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juveniles' self-control and to decrease their impulsiveness, aggression, and delinquency behavior. This study was expected to decrease juvenile delinquents' recidivism and help their adaptation to a real life. Students in Adolescent Violence Prevention Center in Pusan Metropolitan C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n=15) and a comparison group(n=15). A non-treatment group(n=15) was also composed juvenile delinquents in P high school at the same city. The treatment group took a self-regulation program, the comparison group was with previous program for the center, and the non- treatment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program. One or two group leaders participated in the treatment group for each session twice a day during 5 da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elf-control in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comparison and control groups. Second, the level of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in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other groups. Third, the effects of improved self-control, and decreased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remained after 6 weeks.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study were discussed.

노혜경(숙명여자대학교) pp.177-199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1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정보처리 과정의 편파가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개인의 정보처리와 집단의 정보처리를 하나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하고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정보처리 편파가 궁극적으로 집단의 의사결정의 질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지 조사하였다. 개인적 정보처리의 편파로는 정보표집, 정보평가, 정보통합의 문제를 그리고 집단 단위에서는 정보교환과 의사결정의 문제들을 살펴보고 이들이 결과적으로 집단의 의사결정에 어떻게 연관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개인은 주어진 모든 정보를 다 이용하지 않고 주관적으로 중요한 소수의 정보를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하며, 체계적 정보처리보다 직관적 정보처리가 더 우수한 의사결정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의사결정에서도 정보처리의 편파가 나타나 집단토론 시에 모든 정보가 동등하게 교환되지 않고, 공유정보를 비공유정보보다 더 빈번히 언급하고 더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며, 또한 초기 의사결정을 고수하려는 확증편파도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 및 집단의 의사결정의 과정의 문제들을 개관하였으며 이를 통해 집단의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처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Abstract

Although groups have potentials of superior decision making than individuals on the basis of diverse sources and therefore a more complete information base, they do not always make better decisions than individuals. The present study examined influence of biased information processing on decision making. We regarded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of individuals and of groups as a single continuous process. It was assumed that at each stage of decision making, the biased information processing would eventually impact on the quality of decision negatively. As factors which affect the quality of decision making, are included such as bias in information sampling, evaluating, integrating up to choosing the correct option, and bias in information exchanging and integrating in group decision making. Result suggested that individuals focus on a small number of subjective important informations for decision rather than use all given informations; moreover intuitive information processing enables better decision than systematic processing. Furthermore, not all informations are exchanged equivalent in group discussion, instead, shared informations are mentioned more frequently and deemed more important than unshared. It showed also confirmatory bias for the informa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initial deci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above study, some ways to improve group decision making are discussed.

이민우(고려대학교) ; 설선혜(고려대학교) ; 김학진(고려대학교) pp.201-223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11
초록보기
초록

도덕성은 이타성의 잠재적인 지표로서 타인에 대한 긍정적 인상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상형성 대상이 지닌 도덕적 판단 경향성(moral decision style)이 인상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아직 시도된 바 없다. 본 연구는 도덕적 딜레마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공리주의적(utilitarian) 성향과 의무론적(deontological) 성향을 지닌 서로 다른 두 인물이 지각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공리주의자와 의무론자의 인상이 따뜻함 차원과 유능함 차원 및 성격5요인, 호감도의 측면에서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다. 참가자들은 의무론자를 상대적으로 더 따뜻한 사람으로 지각하는 반면 공리주의자는 더 유능할 것이라고 평가하였으며, 의무론자가 공리주의자보다 더 선호되는 패턴이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피험자-간 설계를 적용하여 연구 1의 결과를 재확인하는 한편, 도덕적 판단경향성과 호감도의 관계에서 따뜻함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두 변인에 대한 따뜻함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3에서는 공리주의자와 의무론자가 서로 다른 의사결정 영역에서 차별적인 선호도를 지니는지 알아보기 위해 참가자로 하여금 사회적 갈등상황과 비사회적 갈등상황 하에서 조언을 받고 싶은 대상을 고르도록 하는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의무론자는 사회적 갈등상황에서, 공리주의자는 비사회적 갈등상황에서 조언을 구할 대상으로 각각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상이 지닌 도덕적 판단경향성에 의해 인상형성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대인지각에서 도덕성에 대한 보다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Mor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ession formation by signaling a target's prosociality and resulting in a positive evaluation of the targe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how moral principles that a target endorses on impression for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argets with different moral decision styles, namely utilitarian and deontologist, are perceived differently.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an utilitarian target and a deontological target on warmth-competence domain and big-five personality traits. Results showed that the deontological target scored higher in warmth than the utilitarian target, while the opposite was true in competence rating. In addition,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deontological target was more likeable than the utilitarian target. In study 2, we replicated the findings of study 1 with between-subject design.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vorable attitude toward a deontological target was mainly mediated by warmth rating. In study 3, we tested whether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are favored in different decision domains.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behavioral vignettes depicting various daily problems in social or nonsocial domains and asked to indicate which target they would like to ask for advice. We found that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were preferred in social and non-social problems, resp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impression formation process can be influenced not only by how moral a target is but also by what specific moral principle a target follows when making moral decis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