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예진(성균관대학교) ; 남슬기(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정다송(성균관대학교) ; 이동훈(성균관대학교) pp.87-112 https://doi.org/10.21193/kjspp.2022.36.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대유행 이후 한국인이 경험하는 외로움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계층(Latent class)을 도출하고,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생물학적 요인(성별, 연령, 감염 취약성), 심리적 요인(우울, 불안, 무망감), 사회적 요인(사회적지지, 개인 및 공적일정 차질, 경제수준, 가구형태)을 살펴보고, 이러한 잠재계층에 따른 PTSD와 자살사고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 대유행을 선언한지 1년이 지난 2021년 2월~3월까지 성인 1,434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다. 외로움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 분석을 통해 집단 모형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5계층(낮은 고립감/중간 유대감(집단1), 중간 고립감/중간 유대감(집단2), 높은 고립감/높은 유대감(집단3), 높은 유대감/ 낮은 고립감(집단4), 낮은 유대감/ 높은 고립감(집단5))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로움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 심리, 사회적 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우울, 불안, 무망감, 사회적지지, 개인 및 공적일정 차질, 가구형태’가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로움 잠재집단에 따른 PTSD와 자살사고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가장 높은 수준의 PTSD를 보인 집단은 집단3으로 나타났으며 집단5, 집단2, 집단1, 집단4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자살사고의 경우에도, 집단3, 집단5, 집단2, 집단1, 집단4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ype of loneliness among Koreans Since the Onset of COVID-19, the influence of biological(gender, age, chronic disease), psychological(depression, anxiety, hopelessness), social(social support, constraint,s of routine, economic level, household type) factors on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classes, and the difference in PTSD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classes. To this end, the online survery was conducted among Korean(n= 1,434) between Feb 19, 2021 and Mar 3, when it’s been one year since WHO had declared the pandemic. Latent profile analysis(LPA) was used to identified subclasses and suggested that the 5-class(low-isolated/medium-connectedness(group1), medium-isolated/medium-connectedness(group2), high-isolated/ high-connectedness(group3), high-connectedness/low-isolated(group4), low-connectedness/high-isolated(group5)) model fit the best. Class mempership was predicted by ‘gender, depression, anxiety, ignorance, social support, constraint,s of routine, household type’. Classes also differed with respect to PTSD and suicidal ideation. The highest level of PTSD was group3, followed by group5, group2, group1, and group4. In the case of suicidal ideation, it was also high in the order of group3, group5, group2, group1, and group4.

김예지(숙명여자대학교) ; 최지연(숙명여자대학교) pp.113-131 https://doi.org/10.21193/kjspp.2022.36.2.002
초록보기
초록

미디어 폭력물의 부정적인 파급효과에 대해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다. 선행 연구에서는 폭력의 빈도, 수위와 같은 양적 요인보다 가해자 유형 및 폭력 동기와 같은 맥락 요인이 시청자에게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폭력물의 맥락 요인을 주인공과 배경음악으로 한정하고, 이를 달리하였을 때 등장인물과 영화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주인공은 시나리오를 통해 피해자 주인공과 가해자 주인공으로 조작하고, 배경음악은 폭력 영상과 정서적으로 일치하는 조건 및 불일치하는 조건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시나리오를 읽고, 영상과 정서적으로 일치 또는 불일치하는 음악이 삽입된 폭력 영상을 시청한 후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 영화의 주인공이 피해자인 조건에서 가해자인 조건에 비해 가해자를 더 비난하였고, 가해자가 주인공인 조건에서 피해자가 주인공인 조건에 비해 피해자를 더욱 비난하였다. 둘째, 폭력 영상과 배경음악이 유발하는 정서가 일치하지 않을 때보다 일치할 때에 영화 폭력성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피해자 주인공 조건에서 영상과 배경음악의 정서가 일치할 때 영화를 더 폭력적으로 지각하였고, 가해자 주인공 조건에서 영상과 배경음악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영화를 더 흥미롭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폭력 영화의 맥락에 따라 영화의 폭력성에 대한 시청자의 지각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demonstrating that media violence may be harmful to viewers of violent media. It has been shown that contextual factors (e.g., perpetrator types and motivation for violence) may have a greater influence than quantitative factors (e.g., violence frequency and level of violence) on the viewers.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examine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contextual factors, such as background music and film protagonist, may affect the viewers’ evaluation of characters and film in the violent media. In this study, participants first read a scenario where either a perpetrator or victim of violence was a protagonist, watched a violent film about the perpetrator and victim, in which either a mood-congruent or mood-incongruent background music was inserted, and then completed surveys about the two characters and film. Our results showed first that a level of criticism to the perpetrator was higher in the victim scenario condition than in the perpetrator scenario condition while a level of criticism to the victim was higher in the perpetrator than in the victim condition. Second, a level of perceived violence in the film was rated higher for the mood-congruent background music than for the mood-incongruent music. Finally, the level of perceived violence was rated higher in the victim condition than in the perpetrator condition when the background music was mood-congruent, whereas a level of interest in the film was higher in the perpetrator than victim condition when the background music was mood-incongruent. Taken together,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ontextual factors of violent film can influence how viewers perceive the violence in the film.

신원교(부산대학교) ; 정민화(서울대학교) ; 최인철(서울대학교) ; 설선혜(부산대학교) pp.133-144 https://doi.org/10.21193/kjspp.2022.36.2.003
초록보기
초록

긍정적 대인관계 경험은 긍정 정서 경험의 주요한 원천인 동시에 신체적, 정신적 안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긍정 사건에 대한 정서 반응의 개인차가 매일의 행복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경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대학생 연구 참가자들로부터 일주일 간 하루 다섯 번에 걸쳐 일상생활 사건과 기분, 행복을 측정하여 사회적 긍정 사건, 비사회적 긍정 사건, 부정적 사건 발생 이후 정서 변화의 정도가 개인의 평균 행복 수준을 예측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사회적 긍정 사건에 대해서 긍정 정서를 더 크게 경험하는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사회적 긍정 사건이나 부정 사건에 대한 정서 반응의 개인차는 행복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의 다양한 경험들 중에서도 특히 대인관계와 관련된 긍정 사건을 음미(savor)하는 것이 행복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Positive social experiences are a major source of positive emotions, which are tightly associat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present study,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we examined whether and how emotional reactions toward social positive events that individuals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re related to happiness. Participants reported their moment-to-moment experiences including the occurrences of positive or negative events, mood, and happiness, five times a day for a week. We examined whether each participant’s emotional reactions toward social positive events, non-social positive events, and negative events, respectively, predict their average daily happiness. We found that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greater positive emotion after the occurrence of social positive events reported greater happiness, while emotional reactions to non-social positive events or negative events did not influence happi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avoring positive events in the social domain in particular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happiness.

도은별(성균관대학교) ; 최훈석(성균관대학교) pp.145-163 https://doi.org/10.21193/kjspp.2022.36.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지위 집단 구성원이 저지위 외집단 구성원의 관점을 취하는 과정에서 대상의 정서에 초점을 두는 것(정서-초점 관점취하기)과 생각에 초점을 두는 것(인지-초점 관점취하기)이 동맹행동 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성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 장면에서 차별을 받는 또래 여성 대학생의 관점을 취하게 하였다. 연구 1(N = 80)과 연구 2(N = 81)를 통해 정서-초점 관점취하기가 인지-초점 관점취하기보다 성차별 해소를 위한 동맹행동 의도를 높이며, 이 효과를 성차별 문제에 관한 개인적 관련성 지각이 매개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집단 간 공감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role of perspective-taking foci (i.e., feeling-focus vs. thinking-focus) in an intergroup context involving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i.e., males vs. females). Building on previous research on intergroup empathy, we stipulated that, compared to those who take the perspective of an outgroup target (i.e., a female) with a feeling-focus, males taking the perspective of the target with a thinking-focus would experience stronger intergroup perceptions about the target. This heightened awareness of ingroup/outgroup distinction engendered by a thinking-focus in perspective-taking was expected to lower the perceived personal relevance of gender inequality on the part of a male perspective-taker, leading to weak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allyship behavior for females. In Study 1 (N = 80) and Study 2 (N = 81), we asked 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to take the perspective of a female target experiencing gender discrimination at work either by focusing on what she might be thinking or how she might be feeling in such a situation. We then asked the participants to indicate the perceived personal relevance of gender discrimination in Korea and their intention to engage in allyship for females. Results indicated, as expected, that allyship intention was weaker in the thinking-focus condition than in the feeling-focus condition, and this effect was mediated by the perceived personal relevance of the issu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