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鄭良殷(서울大學校 心理學科) pp.153-178
초록보기
초록

社會化 (socialization) 란 개념이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된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그러나 育兒法이나 社會發達의 문제와 관련시켜 社會化가 지칭하는 문제영역에 대한 관심은 인간사회가 시작할 때부터 있었다고 생각된다. Goslin (1969)은 최근 30년간에 있었던 心理學과 社會學의 發達이 비로소 社會化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였다고 지적했다. 歷史的으로 보면 20세기에 들어와 人類學者들이 인간의 文化的 特性과 異質社會의 文化比較硏究에서 社會化가 구체적으로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었다. 처음 이들은 社會化를 文化의 傳達過程으로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原始社會들 상호간의 문화적 차이의 원인을 社會化의 차이에서 찾으려 했다. 그러나 한 社會의 文化가 계승 전달되는 것은 그 사회를 이루는 個人들을 媒介로 한다. 따라서 社會化의 機制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文化라는 환경조건과 관련되어 영향을 받는 인간심리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그리하여 人類學者들은 性格心理學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대표적인 性格理論으로서 Freud의 精神分析學의 성격이론을 원용하여 社會化過程을 이해하려 하였다. 社會化에 관한 연구경향을 요약하여 Child(1954)는 社會化를 文化傳達過程으로 취급하는 방향과 性格形成過程으로 연구하는 방향으로 兩分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社會化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역사가 짧아 연구자의 관심과 연구대상에 따라 定義나 見解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여기서는 우선 社會化에 관한 여러 定義들을 정리하고 社會心理學의 側面에서 社會化가 갖는 意義를 검토하고 다음 社會化의 心理的 機制를 고찰할 것이다.

Abstract

李秀達(漢陽大學校 敎育學科) pp.179-203
윤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204-233
초록보기
초록

아동발달에서만 주로 다루어오던 의존동기문제를 한평생발달의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다. 의존동기의 정의, 본질, 내용, 발달단계에 따른 변화, 애착행동등 다른 개념들과의 비교등을 새로이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의존동기는 아동기까지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특히 사회적접촉 및 심리적 의존성의 측면에서는 한평생에 걸쳐 나타난다는 시사를 얻었다. 그리고 신체적ㆍ인지적 능력의 쇠퇴와 사회 경제적 지위의 하락이 일어나는 노년기에는 도구적 및 정서적 의존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하여 연령증가와 의존동기 변화와의 관계는 한평생을 토해 볼 때, 아동기의 높은 수준에서 성인기의 낮은 수준을 거쳐 노년기에 다시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는 U형 곡선을 그린다고 예비적으로 가정할 수 있겠다. 또한 유아나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보다 체계적인 의존동기의 연구가 요청된다.

Abstract

The literature on dependency motivation was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life-span development. The definition, nature, content and some controversial arguments on dependency were discussed. The traditional notion of dependency decrement and independency increment with maturation and development from infancy to adulthood was questioned. Especially, the reappearance and/or increment of instrumental and emotional dependency in aging is clearly suggested. Therefore, the U-shape curvilineal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the degree of dependency is proposed. However, the continuity of dependency through the life span as a personality trait or a habit is also discussed. It is also proposed that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tudies on the change process of dependency with the elderly, not with infants or young children, are needed.

洪大植(全北大學校 心埋學科) pp.234-27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社會的 知覺이나 態度에서 好感 要因보다 더 폭넓고 有意味한 개념은 單位關係라는 가정을 하였다. 이러한 가정에 기초하여 3개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첫 연구에서는 단위관계의 측정 문제를 다루었다. 單位關係 測定을 위한 예비적 척도로서 6個 척도가 理論的 根據에서 선정되었고, 총 131個의 單位關係들이 평정되었다. 각 평정치에 대해서는 平均 尺度價가 계산되었다. 6個 單位關係 測定尺度의 타당도는 문항-총점 相關이 .67에서 .81의 범위이었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單位關係 特性이 印象形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結果, 單位關係 特性이 印衆에 有義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印象形成에서의 中心特性의 성질이 논의되었다. 셋째 연구에서는 편견의 심리적 결정요인이 단위관계 지각요인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러한 가설에 따라 人種·職業 및 宗敎의 세 영역내의 거리를 크거나 작게 조작하였다. 그 結果 單位關係知覺 거리가 클수록 편견에 대한 영향이 더 컸다.

Abstract

It was assumed that the concept of unit relation has more broad and meaningful status than the concept of evaluation or liking in the area of social perception and attitude. Three studies were performed under this assumption. The first study concerned with the measurement of unit relation. Six preliminary scale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strength of unit relation under the theoretical basis. Total 131 unit relations were rated. The validity of the six scales were tested by the item-total score correlation. The range of correlation was 67-81. In the second study, the influence of the unit relation traits upon the impression formation was studied. The unit relation trait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impression formation. In the third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determinant prejudice will be perception of unit relation. According to this hypothesis, the distance of three areas (race, vocation and religion) were manipulated. It was found that a greater distance of unit relation has greater influences upon the prejudice.

趙兢鎬(全南大學校 心理學科) pp.279-296
초록보기
초록

필자의 선행연구(趙, 1979, 1982a)에서는 대상 인물에 대한 好惡次元 인상판단은 누가모형에 따라 이루어지고, 和親次元 인상 판단은 평균모형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사실과, 好惡次元 인상판단은 知的特性을, 그리고 和親次元 인상판단은 情的 特性을 주요 단서로 하여 인상평정을 하게 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대상인물을 知的 또는 情的 特性만으로 구성하여 조합의 크기를 달리하였을 때 정보가 통합되는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려 하였다. 그 결과 好惡判斷에서는 제시되는 정보특성에 관계없이 대체로 누가모형에 의한 정보통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和親判斷에서는 제시되는 특성의 情報優越性에 따라 정보가 통합되는 양상이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Abstract

The author (Cho, 1979) found that the favorableness(good-bad) impressions were evaluated extremely as the set-size of the stimulus person increased, but the likableness (like-dislike) impressions were not evaluated extremely as the set-size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case of the favorableness impression, traits of the stimulus person are integrated according to the adding model.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 likableness impression are integrated according to the averaging model. In his later experiment (Cho, 1982a), intellectual traits were more salient for judgments of favorableness, and affective traits were more salient for judgments of likablene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set-size effect and information salience effect, discovered in the previous studies, combining in one experimental setting. 2 (favorableness vs. likableness judgements)×2(positive vs. negative words)×2(intellectual vs. affective traits)×2(set-size 3vs. 5) factorial design was used in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college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favorableness judgement group, and the other was likableness judgement group. Thus, the later 3 variables stated above were repeated for each of the subjects. The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llectual traits had more information salience for the judgements of faborableness, and affective traits were more salient for the judgements of likableness. This is a consistent result with the author's previous finding (Cho, 1982a). Second, the set-size effects in the faborableness judgement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likableness judgements. That is, in judging the faborableness impression, set-size effects were found regardless of the evaluative dimension of the stimulus traits. On the other hand, in judging the likableness impression, set-size effects were found in affective traits word-set, but set-size did not take any effect in intellectual traits word-se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wo types of the trsits of the stimulus person give different effect and information is intergrated differently in forming impressions of favorableness and in those of likableness.

張敍甲(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鄭奉敎(영남대학교 심리학과) pp.297-317
초록보기
초록

이 실험은 A/J혈통의 생쥐 숫컷에서 어린 시절 고립성장이 성숙후의 군집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것이다. 실험에 앞서 생후 23일째 젖을 뗀 24마리의 생쥐를 90일간 고립으로 사육한 12마리 고립사육군과 4마리를 한 무리로 집단사육한 집단사육군 12마리가 피험동물로 사용되었다. 군집성은 Lafeyette사제품 (No 89004) 생쥐용 자동 선호도 측정기에서 6시간 동안 계측되었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고립성장 동물들은 집단성장 동물들에 비해 6시간 실험동안 군집시간을 더 많이 보여 주었다. 둘째로, 초기 1시간 동안 사육조건 차이는 군집성에 영향이 없었다. 이후 5시간 동안은 고립성장 생쥐가 집단성장 생쥐보다 계속적으로 군집행동을 더 많이 보여 주었다. 셋째로, 피험동물들은 자신과 동일한 사육경험을 가진 동물과 더 많이 군집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Abstract

The effect of rearing in isolation on later gregariousness was studied in A/J strain of albino mice. Twenty-four male mice were separated from their own litters on the 23rd day of life and reared in isolation (N=12) or in groups of 4(N=12) for 90 days. Gregariousness was tested in pairs for 6 hours in the automated preference chamber for mice (Lafayette model No. 89004).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ly, the isolation-reared animals showed significantly more gregariousness than those of group-reared animals for 6 hours' testing period. Secondly, in the first one hour duration in this chamber, housing had no effect on gregariousness. Over the first one hour of experiment, isolated mice continued to be more gregariousness than grouped mice. Lastly, the subjects preferred to affiliate with those of same housing experience rather than with those of different.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