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설경옥(이화여자대학교) ; 박민경(이화여자대학교) ; 안은지(이화여자대학교) ; 김지영(이화여자대학교) ; 백상은(이화여자대학교) pp.1-18 https://doi.org/10.21193/kjspp.2019.33.1.0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개인이 물질주의를 추구하는 심리적 과정을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Donnelly 등(2016)이 도피이론을 적용하여 물질주의 과정을 설명한 6단계 중 1단계를 비현실적이고 과도하게 높은 삶의 기준을 갖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로, 2단계를 완벽한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지각 혹은 평가하게 하는 낮은 자존감으로 개념화하여 성인 초기 여성이 물질주의에 이르는 과정을 종단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초기값이 자존감 초기값과 변화율을 매개로 물질주의 초기값과 변화율을 예측하는지 검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성인 초기 여성 571명을 대상으로 1.5년 동안 네 번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초기값 간 매개 경로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은 여성은 낮은 자존감을 매개로 높은 물질주의를 보였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초기값이 자존감 변화율을 매개로 물질주의 변화율을 예측하는 종단적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존감 변화율이 물질주의 변화율을 유의하게 예측하여 자존감이 낮아질수록 물질주의 추구 경향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성인 초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신건강을 해치는 주요 변인인 물질주의가 강화되는 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psychological procedures that explain one’s pursuit of materialism. We employed Donnelly et al.’s (2016) application of the Escape Theory to Materialism. The first step is having unrealistic and overly high standards of life, as measured b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 second step is the development of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self for not meeting high standards, as measured by low self-esteem. We hypothesized that initial and decrease of self-esteem over time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itial and increase in materialism. A total of 571 young adult women completed surveys four times over one and a half years. Cross-sectionally, low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materialism at time 1. Longitudinally, we only found that as self-esteem lowered over time there was an increase of materialism. Materialism is an important variable to understand Korean young adult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These results provided understanding of how Korean young adult women reinforce materialism over time.

이승민(부산대학교) ; 설선혜(부산대학교) pp.19-52 https://doi.org/10.21193/kjspp.2019.33.1.002
초록보기
초록

사회 규범은 집단을 유지하고 집단 구성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규범의 준수와 위반에 대한 판단은 집단 정보와 맥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경쟁 맥락(연구 1)과 경쟁 맥락(연구 2)에서 집단 정보가 도덕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위반 주체의 소속집단(내집단 vs. 외집단)과 위반 장소(내집단 vs. 외집단)에 따라서 도덕 판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도덕 판단은 위반 규범의 분류와 위반 행위에 대한 평가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의 소속 대학교와 타 대학교를 사용하여 집단 정보를 제시하고 대학 생활에서 일어날 법한 규범 위반 사례들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외집단원이 내집단 장소에서 위반한 규범을 외집단 장소에서 위반한 규범에 비해서 도덕보다는 사회 인습으로 분류하는 반면, 내집단원이 위반한 규범에 대해서는 위반 장소와 무관하게 판단하였다. 위반 행위의 평가에서는 내집단원이 내집단 장소보다는 외집단 장소에서 규범을 위반할 때, 사회 인습보다 도덕 원칙 위반을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경쟁 관계에 있는 야구팀을 사용하여 집단 정보를 제시하고 야구 경기 관람 중 일어날 법한 규범 위반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연구 1과는 반대로 연구 2에서는 내집단 장소에서 외집단원이 위반한 규범을 내집단원이 위반한 규범에 비해 도덕 원칙으로 판단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위반 주체의 소속집단과 위반 장소가 도덕 판단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Abstract

Social norms play a fundamental role in the survival of a group and the well-being of the group members. Therefore, people consider group information important when they make judgment on norm viola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information in the moral judgment under non-competitive(Study 1) and competitive(Study 2) contexts.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transgressor’s group membership(ingroup vs. outgroup) and the physical location where the transgression has occurred(ingroup vs. outgroup). Moral judgment was measured using a moral-conventional task and moral evaluation task. In Study 1, we used participants’ affiliated university and a nearby university to manipulate the group information and asked participants to evaluate hypothetical norm violations that were assumed to happen in college life. We found that outgroup member’s transgression occurred in the ingroup territory than in the outgroup territory was regarded as conventional than moral, whereas the moral-conventional judgment of ingroup member’s transgression was not affected by the physical location. Participants evaluated ingroup member’s moral violation occurred in the outgroup territory more negatively than that occurred in the ingroup territory. In Study 2, we invited a group of baseball fans and manipulated the group information using the context of a game against a rival team, in order create a competitive context. Contrast to Study 1, Study 2 showed that outgroup member’s transgression in the ingroup’s territory was judged as moral than conventional, compared to ingroup member’s transgres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nsgressor’s group membership and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transgression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moral judgment under non-competitive and competitive context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