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이흥표(대구사이버대학교) ; 한성열(고려대학교) pp.1-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소집단에서 신뢰를 얻고 상호 협동의 대상이 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과제를 사회적 평판의 획득으로 보고, 진화적 측면에서 사회적 평판의 구성요소를 공감적 이타성, 책임감, 호혜적 신뢰성, 능력 유능감, 외모 유능감의 5가지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개인이 중요하다고 지각하는 사회적 평판의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언어적 보고 분석을 통해 탐색하고, 경험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사회적 평판의 주요 구성요소가 공감적 이타성, 책임감, 호혜적 신뢰성, 능력 유능감, 외모 유능감임이 확인되었다. 지각된 사회적 평판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90이었으며 사회적 지지 및 관계와 타협에 대한 신념과는 정적 상관, 자기중심성 및 적대감과는 부적 상관을 보여 수렴 타당도가 비교적 양호하였다.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평판의 구성요소와 그 의미에 대하여 논하였다.

Abstract

Acquirement an social reputation was fundamental task for taking trust and social cooperation in small group and society from a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his study, components of perceived social reputation which to great important to person were assumed as five elements which of sympathetic altruism, responsibility, reciprocal trust, ability competence, appearance competence from a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study result, our hypothesis was proved that main components of perceived social reputation are sympathetic altruism, responsibility, reciprocal trust, ability competence, appearance competence. Internal consistency of perceived social reputation scale was appropriate(.90). And it was showed that perceived social reputation scale is positively correlated to gratitude, social support and belief for trust and compromise, but negatively correlated to hostility, depression and ego-centrism, so convergent validity was relatively good. Implication of social reputation was discussed from a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이충원(대구가톨릭대학교) ; 김효창(중앙대학교) pp.17-3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verified psychological variables to have an effect on uncertainty avoidance focusing on Chemyon(Social face) sensitivity,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based on Hofstede's uncertainty avoidance. To inspect this study, first, by using a list of questions, measured them, which are Chemyon(Social face) sensitivity,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Second, by making uncertainty conditions experimentally, measured uncertainty avoid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in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 could catch the point that Chemyon(Social face)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are primary factors to expect uncertainty avoidance but self-esteem is not. These research results show current events. This study find more explicit psychological factors of Hofstede's uncertainty avoidance than before. Even though, Hofstede's study explained that the factors of uncertainty avoidance are caused by just influence on culture and anxiety, through this research found that Chemyon(Social face)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cause uncertainty avoidance as an important factor. Also, this study verified that prediction of the future on the uncertainty avoidance. In other hand, It is inspected through this study that self-esteem is not a factor of influencing on uncertainty avoidance. Key Words:uncertainty avoidance, chemyon, social face, self-esteem, social anxiety, culture dimension

김지경(한국교원대학교) pp.31-44
초록보기
초록

우리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은 개인의 단기적 이익과 사회공동체의 집단적 이익이 상충하는데서 비롯된다. 본 연구는 개인과 집단의 이익이 상충하는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협동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타인에 대한 신뢰와 사회적 가치 지향(social value orientation), 탐욕(greed)과 두려움(fear), 정의로운 세상에 대한 믿음(just world belief)이 협동행동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타인에 대한 신뢰가 강할수록, 또 친사회적 가치지향을 지닌 사람일수록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협동 행동 쪽으로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뢰와 사회적 가치지향의 형성에 애착(attachment)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여 애착유형별로 신뢰와 사회적가치지향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결과는 안정애착 유형일수록 타인에 대한 신뢰가 강하며 친사회적 가치지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 신뢰, 사회적 가치지향의 세변인간에도 관계가 있어서 타인에 대한 신뢰가 강한 사람일수록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정의롭다고 믿으며 친사회적 가치지향의 유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이후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딜레마 상황을 좀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것으로 조작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신뢰와 사회적 가치지향 형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해 좀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cooperative behavior by trust, social value orientation, fear, greed, and the belief in a just worl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for this goal, and answered by 185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data, following results are found; those people who trust other people cooperate. And those people who have a value orientation that is prosocial, also cooperate. Fear and greed have a negative effect on cooperative behavior. Trust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were rooted in attachment, they were found to develop better when one experienced secure attachment. And trust is related to the relational self and the belief in just world. Those people who empathy with other people and believe that the world is just have strong trust on other people. The future study need to examine variables influencing trust and social value orientation's development.

김수안(서울대학교) ; 민경환(서울대학교) pp.45-6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신의 감정에 압도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성격, 정서특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1 에서는 개인의 정서 경험 특성인 정서 명료성, 정서 강도 점수의 분포에 따라 개인들을 크게 네 집단(열정 집단, 압도 집단, 침착 집단, 냉담 집단)으로 구분하고, 정서 강도는 높지만 정서 명료성이 낮은 압도집단의 다양한 성격 및 정서 특성을 정서 강도와 명료성이 모두 높은 열정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압도 집단은 신경증 성향이 높고, 정서를 표현하더라도 이에 대한 양가감정을 많이 경험하였으며, 자신의 기분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지 못하였다. 또한 열정집단에 비해 자존감과 심리적 안녕감도 낮았다. 정서 일기(emotional diary)를 사용한 연구 2 에서, 압도 집단은 정서 유발 자극과 상관없이 다양한 부적 정서를 동시에 강하게 경험하였다. 연구 3에서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한 결과, 압도 집단은 공포, 슬픔 상황에서는 회피방략을, 분노 상황에서는 능동적 조절방략을 사용하여 정서를 조절하였다. 그리고 유발된 부적 정서의 종류와 상관없이 지지추구 방략을 사용했을 때 효과성 신념이 가장 높았다. 또한 압도 집단은 열정 집단에 비해 자신이 선택한 조절방략과 그 상황에서 효과적이라고 믿는 조절방략의 종류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personality,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individuals who are overwhelmed with their emotions. In the first study, four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average scores in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intensity. Each group was named “hot,” “overwhelmed,” “cerebral,” and “cool.” Various personality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overwhelmed” people who had high emotional intensity and low emotional clarity were compared to those of “hot” people who had high emotional intensity and high emotional clar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whelmed” people were neurotic, ambivalent about emotional expressions, and had difficulty in regulating their emotions actively. They were also low in both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the “hot” people. In the second study utilizing emotional diaries it was found that the “overwhelmed” people simultaneously experienced diverse negative emotions without focusing on the single negative emotion appropriate to the emotion inducing stimulus. In the third study utilizing emotion induction scenarios the “overwhelmed” people regulated their emotions through the avoidance strategy when they were sad or fearful, while they actively regulated the emotions when they were angry. The efficacy belief was highest when the “overwhelmed” people regulated their emotions through the social support strategy regardless of the kind of the negative emotions. Also, the degree of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used and the strategy that they thought would be effective in the real situation was greater for the “overwhelmed” people compared to the “hot” people.

주현덕(연세대학교) ; 박세니(연세대학교) pp.67-8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혈액형과 성격적 특성 요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본 이전 연구들에서 더 나아가, A. Lee의 사랑의 유형론을 척도화한 Hendrick과 Hendrick의 “사랑의 유형 척도(Love Style Scale)”와 연애태도를 알아보는 연인평가 척도인 MALPS를 사용하여 496명을 대상으로 혈액형별 유형론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람들의 사랑의 유형과, 애인으로서의 태도 (또는 평가) 기준에서 혈액형은 어떤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는 혈액형별 궁합이나 연애스타일처럼 애정과 관련된 영역에서 혈액형별 특성에 의한 설명의 타당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성별과 연애경험이 사랑유형과 연애태도에서의 일부 요인에서 혈액형별 집단차를 중재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이 혈액형 유형론을 믿게 되는 원인에 대해 설명하고, 혈액형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성별과 연애 경험 등의 변수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s(A, B, O, AB) and love style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types and love attitudes. Lee's “Love Style Scale” developed by Hendrick & Hendrick(1986), and Me as a Love Partner Scale(MALPS), which measures love partners' attitudes, were administered to 496 subjects. Consistent with past researches related to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types and personality(Big 5), no meaningful relationship emerged between love styles and blood types, nor between love attitudes and blood types as well. Pseudo-scientific personality typology based on blood types was proved to be invalid to account for the differences among people's love styles or love attitudes. But gender and experience of love relationships can moderate the differences in love attitudes and love styles among blood types. And the possible reasons why people hold the beliefs about the association blood types and personal traits we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