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차재호(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정지원(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1-9
초록보기
초록

친애욕구 척도(차, 1983)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기 위하여 동 척도를 사용한 4편의 학위논문 결과를 분석했다. 동 척도의 두가지 하위척도인 친애경향성과 배척민감성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각각 .87과 .91이었고, Cronbach 내적합치도는 각각 .77~.82, .76~.91이었다. 친애경향성 점수는 배척민감성, 성공욕구, 실패공포, 및 승인욕구 점수와 각각 독립적임이 드러났고, 배척민감성 점수는 성공욕구나 승인욕구 점수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실패공포 점수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친애경향성 점수는 상대가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 주는 상황에서 (1) 상대방으로부터의 칭찬이나 비난에 민감한 것, (2) 마음을 열고 감정을 표현하는 경향, 및 (3) 비난을 받을 때 의존적인 반응으로 상대의 호감을 얻으려하는 경향을 측정함이 밝혀졌다. 배척민감성의 구인타당성을 보여주는 자료는 없었다. 그리고 친애욕구 점수(친애경향성+배척민감성)는 (1) 타인과의 관계가 負的으로 되는 것을 싫어하는 경향, 그리고 (2) 두 사람간의 의견일치를 기대하는 경향을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reliability and of a validity need Affiliation scale (Cha, 1983)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3 master's and a doctoral dissertations.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affiliative tendency score and the sensitivity to rejection score, the two components of the scale, were, respectively, .87 and .91, and the Cronbach's α ranged .11~.82 and .76~.91, respectively, for the two subscales. The affiliative tendency scores were revealed to be independent of the scores of the sensitivity to rejection, the tendency to achieve, the fear of failure, and the approval need. A high affiliative tendency score was associated with (1) a sensitivity to the positivity of rewards, (2) a high tendency to open up and disclose the self, and (3) a tendency to adopt dependency behavior when criticized by other persons. A high need affiliation score (the affiliative tendency + the sensitivity to rejection) was related to (1) a dislike of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2) a highly developed schema of interpersonal agreement.

이수원(한양대학교) ; 김태준(한양대학교) pp.10-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선배와 후배 역할의 조작이 선, 후배간에 벌어지는 사회적 사건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 보았다. 실험 집단은 역할의 조작에 따라, 선배조망 축소, 후배조망 축소, 선배조망 확대, 후배조망 확대의 4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결과, 조망의 축소와 확대에 따라 사건에 대한 인식차원이 달라졌다. 즉, 조망이 축소되었을 때는 사건을 평가차원에서 판단하는 반면, 조망이 확대되었을 때는 기술차원에서 판단하였다. 그리고 조망이 축소되었을 때는 선, 후배 간의 역할의 차이에 따라 그 역할에 유리한 방향으로 주어진 사건에 대한 개연성 지각, 원인지각, 처벌수준, 인상형성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조망이 확대되면 이러한 경향이 감소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roles (senior and junior role in high school) in the perception of social events, in which senior and junior were opposed to each other. Thus,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was manipulated ; senior perspective contraction condition, junior perspective contraction condition, senior perspective expansion condition, junior perspective expansion condition. As a result, the perceptual dimensions to the social events were changed by the manipulations of perspective contraction or expansion. That is, in perspective contraction condition, the subjects judge events on the evaluative dimension, but, in perspective expansion condition, they judge thoes on the descriptive dimension. Thus, in the former, according to thier roles, they made a biased judgement of liklihood, causality, responsibility, impression formation of events. However, in the latter, this tendancy was reduced.

한덕웅(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24-58
초록보기
초록

소집단 행동에 관한 연구가 다시 활성화되기 시작한 80년대의 연구 업적과 과제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한국의 현실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다룰 내용을 정했는데, 집단연구에서의 접근법의 최근 추세, 집단행동 연구의 사적 배경을 살펴본 후, 소주제로서는 집단 사회화과정, 집단수행과 문제해결, 조직내에서의 집단생산성, 집단의사결정, 집단사고, 집단간 편견과 차별 및 소수영향을 선별적으로 가려내어 논의하였다. 또한 집단 연구의 업적을 체계화할 수 있는 틀의 모색, 집단내 과정과 집단간 과정을 다루는 이론들의 상호교류,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 집단의 역기능과 순기능 연구에서 균형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국내에서도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집단 연구에 적극적으로 기여하여야 한다는 주장을 개진하였다.

Abstract

In this article, an attempt is made to critically review the studies in small group benhavior which have been resurged in '80.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small group study to Korea, a brief review is made on methodological issues and historical backgrounds on small group. Then, a variety of issues such as group socialization process, group performance & problem-solving, group productivity in organization, group decision-making, groupthink, intergroup prejudice & discrimination, and minority influence are discussed. Furthermore, it is pointed out that we may ne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organizes and systematizes a bulk of studies thus far, and that encompasses the intra-and-intergroup process in an unified model. It is also pointed out that it is more beneficial to employ multiple methods instead of a confined number of methods, together with pursuing a bala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group in the area of small group dynamic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social psychologists in Korea actively contribute to and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mall group appraches to social issues in the future.

조긍호(서강대학교) pp.59-81
초록보기
초록

孟子의 심리학적 해석 작업을 위하여 孟子 7편 총 261장을 개관한 다음 맹자의 기본 사상을 인성론, 교육론, 도덕실천론의 세 부분으로 나누고, 우선 인성론을 중심으로 그 심리학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맹자는 동물과 달리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인 마음에서 인간의 본성을 찾고 있는데, 인간의 마음 속에는 仁義禮智의 시초(四端)가 본유적으로 갖추어져 있으며, 누구나 본래의 四端을 잃지 않고 간직하여(存心) 이를 확충시키면 善하게 될 수 있다(何以爲善)는 점에서 性普說을 주장하였다. 이렇게 본래 가지고 있는 착한 마음을 간직하여 기르는 存心ㆍ養性의 방법으로 맹자는 明道와 集義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맹자 사상의 핵심은 인간 존재를 능동적ㆍ주체적 존재, 가능체로서의 존재, 사회적 관계체로서의 존재로 파악한다는 데 있다. 이러한 맹자의 입장에서 보면, 전통적 심리학은 기계론적 환원론, 지나친 과거 및 現狀 중심주의, 그리고 개인중심주의에 빠져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통적 심리학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서 벗어나는 방안으로 孟子에서 도출될 수 있는 대안적 연구 문제로는 자아심리학과 자아의 차원 문제, 동기심리학과 동기의 차원 문제, 발달 및 성격심리학과 이상적 인간형의 문제, 그리고 사회심리학과 인간 관계 조망의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론되는데, 본고에서는 이 중 인성론과 관계가 깊은 전자의 두 문제 영역에 대한 맹자의 논지를 기술하였다.

Abstract

To extract some psychological lessons from the ancient Chinese classics, the author reviewed the works of Mencius, one of the Great Four Books of ancient China, and classified Mencius' main idea into three categories : theories of human nature, of education, and of moral practice. Among these three theories, this paper dealt with Mencius' theory of human nature and its psychological implications. According to Mencius, human being is different from any other animals in that he has 'mind' whose main function is reflection. Through reflection one can aware of one's inborn nature and discriminate what have to do and what have not to do as a human being. In this 'mind', there are inborn beginnings of four virtues which are essential motifs and goals in human life : the beginnings of benevolence(the feeling of commiseration), of righteousness(the feeling of shame and dislike), of propriety(the feeling of modesty and complaisance), and of wisdom(the feeling of approving and disapproving). Thus, he thought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 and one can be a sage only if he can preserve and cultivate these beginnings of four virtues. In this vein, he proposed two methods to preserve and cultivate them, which could be derived directly from mind's capacity to reflect : one is self-awareness of his inborn good nature and the other is to practice them in relation with others in everyday life. This is the core of Mencius' theory of hum an nature. From it, we can understand his view of human being. He viewed man as an active and autonomous being to be able to reflect one's nature, a possible being to be able to actualize one's self and a social being lying and living in relation with others. In this context, we can point out some shortcomings of modern psychology ; its radical mechanical reductionism, excessive determinism and individualism. These shortcomings come from mainly its indifference to the human mind (its indifference to the discrepancies between man and animals) and its heavy reliance on natural science. Thus if we admit the Mencius' view of man and the psychology which he may propose from this view, it can be suggested that psychology should transform its subjects and methods of study to be a real human and social science. On this ground, we can extract from Mencius some alternative subjects to study in psychology as a human and social science. They are the study of the self (its dimension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m), the study of the activating forces of human actions (their dimensions and the relations with those of self), the study of the ideal state of human being (the steps and methods to reach it) and the study of the human relations (the perspectives to interprete and to understand human social activities).

정진경(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82-92
초록보기
초록

한국사회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기초로 하여 제작된 성역할 검사가 없는 것이 지금까지 이 분야의 연구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밝혀내어 그를 기초로 양성성 이론에 입각한 한국 성역할 검사(KSRI)를 제작하였다. 문항 선정을 위한 예비조사에서 성역할 고정관념을 포함하는 성격특성 452 항목이 한국사회에서 남녀에게 각각 바람직한 정도를 응답자 188명이 평정하게 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Bem(1974)이 고안한 방식에 따라 남성성, 여성성, 긍정성 척도에 사용할 항목을 각각 20개씩 선정하였다. 제작된 검사를 새로운 응답자 140명에게 실시하여 신뢰도를 내어 본 결과 세 척도에서 .75에서 .91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가 산출되었고, 자아 존중감을 외부준거로 하여 타당도를 내어 본 결과 여성성에서 다소 낮기는 하나 양성성 이론에 대체로 부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앞으로 규준 및 타당도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는 있으나, 현재로서는 지금까지 성역할과 관련된 연구에서 시용되어 온 번역판 검사나 양성성 이론에 부합하지 않는 여타의 성역할 척도들에 비하여 이 검사가 여러모로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본다.

Abstract

Sex role research in Korea has been hindered by the absence of a sex role inventory which is based on the sex role stereotypes of the Korean society. In this study, a Korean Sex Role Inventory (KSRI)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theory and methods of the androgynous perspective. In a preliminary study, 188 judges rated the desirability of 452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or males and females in Korean society. Following Bem's(1974) procedure for item selection, 20 items each were selected for the masculinity, femininity,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s. When administered to 140 college students, the inventory showed high reliabilities for all three scales ranging from .75 to .91, and reasonable degree of external validity with self-esteem as the criterion variable. For national norms, it is necessary to collect more data. Compared to the traslated versions of foreign sex role inventories or the masculinity-femininity scales of the traditional personality tests which do not correspond with androgyny theory, KSRI will be a useful instrument for sex role research in Korea.

정영숙(부산대학교 심리학과) pp.93-105
초록보기
초록

능력과 노력이 속성이 다른 심리적 실체임을 고려하면서, 성인에게서 나타나는 능력추론과 노력추론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노력, 능력, 그리고 수행성과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알고서 나머지 다른 하나의 정보를 추론할 때(실험1)와 위의 세 가지 정보 중 어느 두 가지 정보를 알고서 나머지 다른 하나의 정보를 추론할 때(실험2)에 나타나는 능력추론과 노력추론의 차이와 수행 예언에 미치는 능력과 노력의 상대적 효과를 비교하였다. 수행정보가 있을 때에나 없을 때에나, 주어진 능력이 높을 때 추론된 노력이, 주어진 노력이 높을 때 추론된 능력보다 더 낮았다. 수행예언에서는, 대체로 능력이 높을 경우에 예언된 수행이, 노력이 높을 때 예언된 수행보다 더 컸다. 진위판단 결과를 보면, 성인들은 노력은 능력에 비례되는 것으로도 반비례되는 것으로도 생각하였다. 그러나 능력을 노력에 반비례되게 생각하는 경향은 약하였고, 비례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을 뿐이었다. 성인의 능력추론과 노력추론의 차이를 통하여, 사람들은 능력에 비하여 노력을 쉽게 낮춘다는 사실과 수행을 예언하거나, 수행의 원인 추론에서, 노력보다는 능력에 더 비중을 둔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inferences of ability and of effort in adults. In experiment 1. subjects were given the single information about target person's performance or ability or effort, and were asked to infer the degree of target's effort and ability and to predict target's performance. One-third of the subjects in experiment 2 were given the combined information about ability and effort, and were asked to predict target's performance. The other two groups of subjects were given the combined information about one cause(i.e., ability, effort) and effect(i.e., performance), and were asked to infer the degree of the other cause(i.e., effort, abi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hen the target's ability or effort was high, subjects discounted the degree of effort more than that of ability regardless of performance information. (2) Subjects, as a whole, predicted more degree of performance under high ability condition than under high effort condition. (3) Finally, on subjects' true-false judgments about ability-effort relations, it appeared that people believed that effort is both directly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ability, but ability is only directly proportional to effort. Based on the above differences, it was discussed that as a cause of performance, ability is distinct from effort in some respects.

김영미(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윤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06-1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친애동기의 하부 2요인과 상황적 요인을 체계적으로 고려하여 개인의 성격 요인인 친애동기 유형과 상황 요인인 권한 소유정도에 의해 협동행동의 선택에 차이가 있음을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피험자 분류과정에서 568명의 여자대학생에게 친애동기(차재호, 1984) 척도를 실시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친화동기 집단과 거부걱정 집단을 분류하였다. 실험 과정에서는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이용하여 권한의 소유정도 조작과 협동 선택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적으로 높은 협동 선택을 했으며, 친화동기 집단이 거부걱정 집단보다 협동 선택을 더 많이 했고, 높은 권한 조건에서 낮은 권한 조건에서보다 협동 선택을 더 많이 했다. 또한 친화 동기 집단은 권한 소유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성 있게 높은 협동 선택을 한 반면, 거부걱정 집단은 높은 권한 조건일 경우에는 친화동기 집단과 유사한 협동 선택을 했으나 낮은 권한 조건일 경우에는 가장 적은 협동 선택을 하여 권한 소유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ynamic effects of the affiliation motive, a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 and the level of power-holding, an environmental factor, upon the cooperative behavior. In the subject screening stage, 568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tested on the Affiliation Motive Scale (Cha, 1984). And on the base of the result of the subject screening stage, intimacy group and fear of rejection group were divided. In the experimental stage, the Prisoner's Dilemma Game(PDG) was used to manipulate the power level and to measure the degree of cooperative moves. The results of an ANOVA were as follows ; The total mean of cooperative moves score was high. The intimacy motive group cooperated more than the fear of rejection group and the high power group also cooperated more than the low power group. Also, since the intimacy motive group did not influence the power-holding level, they showed high cooperative moves consistently. The fear of rejection group was similar to the intimacy motive group when they were in the high power condition, but in the low power condition, they showed the least cooperative moves.

한성열(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안창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16-128
초록보기
초록

집단주의적이던 한국문화가 급속히 개인주의적 문화로 변화되고 있다는 주장들이 있어 왔는데,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추세의 사실여부를 확인하고, 집단주의 경향이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만족도, 가정만족도, 생활 만족도, 결혼형태(연애, 중매), 부모와의 동거여부등의 변인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자녀를 가진 31세 이상, 65세 이하의 580명:남자:308명, 여자:272명 이었다. 첫째 가설은 연령이 많을수록 집단주의 경향이 강할 것이라는 것이었고, 둘째 가설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집단주의 경향이 강할 것이라는 것이었다. 자료분석 결과, 집단주의는 연령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교육수준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집단주의 경향이 높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집단주의 경향은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문화가 개인주의적인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는 주장을 지지해 주는 것으로 두 가설을 지지했다. 한편 예상과는 달리 연애결혼이 중매결혼보다 집단주의 경향이 강할 것이라는 가설과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가 별거하는 경우보다 집단주의 경향이 강할 것이라는 가설은 부정되었다. 결혼형태와 부모와의 동거여부에 따라서는 집단주의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집단주의 경향과 결혼만족도, 가정만족도, 생활만족도 사이에는 성별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는데, 남자의 경우 집단주의경향은 세 가지 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여자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Korean traditional collectivism has with sex, age, level of education, and type of marriage. This study investigated 580 married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 of 31 and 65. Equal number of subjects were sampled for each age and sex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collectivistic tendency. There wa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ctivistic tendency between age groups. This is, for both men and women, the older the group, the more collectivistic they we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ctivistic tendency among educational groups. This is, the higher the level of edcational received, the less collectivistic they we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s married for love and those whose marriage was arranged. Subjects living with parents and those not-living with pare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tendency of collectivism.

차재호(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안미영(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129-144
초록보기
초록

車載浩(1983)의 동기의 4요소설에 따라 성취동기 중 아직 확인된 바 없는 실패접근의 동기요소를 재는 척도를 만들었다. 척도의 교차 확인신뢰도(cross-validated reliability)인 Cronbach α=.78 내지 .79정도였으며, 실패접근은 성취동기 요소들 중에서 성공접근과 실패회피 요소들과는 어느 정도 독립적임을 보여주었다. 예상대로 실패접근 동기는 성적 및 지능지수와는 대체적으로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문제학생과 과소성취자로 분류된 학생들의 실패접근 점수가 일반 학생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며 남자 비행청소년 집단의 실패접근 점수가 일반 학생의 것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자료는 높은 실패접근 경향이 높은 공격성 및 충동성과 결부되어 있음을 시사했다. 본 연구로 시사되는 점들과 앞으로의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Abstract

Based on the Cha(1983)'s four-component theory of motive, two scales(male and female scales) were developed, which were intended to measure a person's tendency to approach failure(TAF). The new scales' cross-validated reliability coefficients(Cronbach α) ranged from .78 to .79. The scale scores appeared to be independent of the scores for approach-to-success and avoidance-of-failure, respectively. The independence of the TAF scales from the remaining 3 components of achievement motive, however, seemed not complete, since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the TAF scales and avoidance-of-success scores. As expected, the TAF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cademic records and the I.Q.s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validity of the TAF scales was partially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problem-students, under-achievers and juvenile delinquents tended to score high on the scales compared to normal high school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