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이숙영(가톨릭대학교)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1-22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모와 관련된 사회비교 상황에서 자기해석 방식이 외모만족수준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및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자기해석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기해석의 두 방식인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에 해당하는 여성 각 40명을 선별하였고 외모와 관련된 상향/하향비교 조건에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 결과, 자기해석의 두 방식 간에 차이가 존재하여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집단이 독립적 자기해석 집단보다 자신의 외모에 대해 불만족하고 부적 정서는 더 많이, 정적 정서는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해석 방식에 따라 사회비교의 방향이 외모만족수준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달라지는지 알아본 결과, 상향비교 후 독립적 자기해석 집단보다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집단의 외모만족수준이 더 저하되고 부적 정서가 더 증가하였다. 반면 하향비교 후 두 자기해석 집단의 외모만족수준과 정적 및 부적 정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자기해석 집단 내에서 상향 및 하향비교의 전과 후의 변화를 살펴보면 독립적 자기해석 집단은 상향비교 시 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저하된 것 외에는 비교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집단은 상향 및 하향비교 조건 모두에서 외모만족수준과 정적 및 부적 정서가 유의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construal on body satisfaction and emotion in situations with appearance-related social comparison. 592 female participants completed independent-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cale and among them 40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a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and 40 participants as a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Participants completed VAS and PANAS at pretest and then were exposed to the social comparison stimuli, and completed posttest measures with VAS and PANA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showed lower body satisfaction, positive mood, and higher negative mood than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dy satisfaction and negative emotion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upward comparison conditio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showed lower body satisfaction and higher negative mood than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in the upward comparison condition. In contrast to the upward comparison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ownward comparison condition. However, unlike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which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fter the upward and downward comparisons,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 in the body satisfaction and emotion after exposure to the upward and downward comparison stimulu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심지수(아주대학교) ; 김혜숙(아주대학교) pp.23-45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설득 주제 관련성에 따라 내집단 규범의 설득 효과가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1에서 남녀 대학생 참여자들은 여성 승진 관련 적극적 조치에 대한 지문을 읽은 뒤, 할당된 내집단 유형(남성 내집단vs.여성 내집단vs.대학생 내집단)에 따라 내집단이 여성 관련 적극적 조치에 대해 찬성 혹은 중립 태도를 보인다는 정보(도표)를 받았다. 분석 결과, 가설대로 여성 관련 적극적 조치가 주제인 경우 성별 범주가 대학생 범주보다 더 점화되고, 그에 따라 성별 내집단의 규범 정보가 대학생 내집단 규범 정보보다 더욱 영향을 미쳐 참여자들의 적극적 조치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다. 그러나 이는 남성 조건의 참여자들에게만 나타난 결과이다. 연구2에서는 연구1의 결과를 반복․확인하기 위하여 대학 입학 관련 적극적 조치 주제에 관하여 관련 내집단의 설득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2에서 참여자들은 대학 입학 관련 적극적 조치에 대한 지문을 읽은 뒤, 할당된 내집단 유형(남성 내집단vs.여성 내집단vs.대학생 내집단)에 따라 내집단이 대학 관련 적극적 조치에 대해 찬성 혹은 중립 태도를 보인다는 정보를 받았다. 분석 결과 예상대로 참여자들은 성별 내집단 조건에 비해 대학생 내집단 조건에서 내집단 규범 정보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아 태도를 바꾸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적극적 조치의 대상 집단에 따라 효과적인 내집단 규범 정보의 유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이론적 함의를 가질 뿐 아니라 실제 설득 장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설득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persuasive effect of the in-group norm would be stronger when the persuasion topic was relevant to the in-group category than when it was not. In Study1,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read an article about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for the promotion of women, after which they received a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ir in-group (i.e., Male In-group vs. Female In-group vs. College Students In-group) showed either favorable or neutral attitude toward the issue. As expe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avorable norm information of the gender in-group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favorable norm inform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in-group. However, the stronger persuasion effect of the norm information of the gender in-group was limited only to th male participants. In Study2, we attempted to replicate the stronger persuasion effect of the relevant in-group category to the persuasion topic shown in Study 1, this time using the College Student Category as the key category. More specifically, participants read an article about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for the permission of the minority group members to universities, and afterwards they received an normative in-group (i.e., Male In-group, Female In-group or College Students In-group) information, showing either favorable or neutral attitud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s hypothesized, the participants who were provided with the in-group normative information of university students changed their attitudes more than those who were presented with the in-group normative information of gender in-group. This finding replicated the results in Study1,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relevance of the persuasion topic to the in-group category in using the normative information of the in-group in the persuasion context for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신지은(서울대학교) ; 장대익(서울대학교) pp.47-66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2.003
초록보기
초록

돈을 소비하는 ‘방법’은 돈의 ‘양’ 못지않게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소유할 수 있는 물질(예, 옷, 신발)보다 무형의 활동이나 경험(예, 식사, 여행)을 구매하는 것이 행복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잘 알려진 부와 행복의 관계가 구매 유형에 대한 선호에 기인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 경제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돈을 상대적으로 물질보다 경험에 투자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로 인해 더 행복한 경향이 있었다(연구 1). 이러한 경험 구매의 매개효과는 다양한 경제 상황, 인종, 나이로 구성된 미국인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연구 2).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경제 수준에 대한 지각을 조작함으로써 앞서 나타난 결과의 인과성과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예상대로 높은(vs. 낮은) 경제 수준이 점화된 사람일수록 물질보다 경험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전반적인 위협에 대한 지각이 감소함에서 비롯되었다(연구 3). 이상의 결과는 물질적 풍요가 경험 구매에 대한 선호를 높임으로써 행복에 기여할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풍요로운 사람이 행복한 비결 중 하나가 돈을 행복에 더 유리한 방식으로 소비하는 데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How money is spent, aside from amount, affects well-being. In terms of happiness, spending money on intangible experiences (e.g., dining, travel), rather than material possessions (e.g., clothes, shoes) is known to be more beneficial.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the person's perceived wealth plays a role in this purchase decision. As expected, college students with high self-perceived socioeconomic status (SES) preferred to spend more on experiential than material goods (Study 1). This pattern was replicated in an adult US sample, more diversified in terms of economic standing, ethnicity, and age (Study 2). Study 3 experimentally manipulated perceived financial standing to examine whether wealth shapes the preference for purchase type. Those primed with high (versus low) financial status showed a decreased sense of threat in life, which led to a greater preference for experiential over material purchase. Overall, the current data suggest that perceived wealth partly increases happiness by directing the person to allocate her resources more towards experiences than goods. This study suggests that affluence encourages the person to purchase something that is saturated with more happiness in life-experience, rather than material good.

이미선(동양대학교) pp.67-83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2.004
초록보기
초록

CBCA(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는 성폭력 피해 아동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기 위한 진술분석 기법이다. 총 19개의 준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별 준거는 진실한 아동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는 경찰청 소속 진술분석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CBCA 분석의 평가자간 신뢰도를 계산하였다. 총 아홉 명의 진술분석 전문가들은 동일한 다섯 건의 아동 성폭력 사건에 대하여 CBCA 준거의 존재 여부 및 종합적인 신빙성 판단을 실시하였다. 두 명의 평가자간 일치율 평균을 확인한 결과 총 19개 준거 중 11개 준거의 평가자간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준거2(구조화되지 않은 표현), 준거5(상호작용), 준거6(대화의 인용), 준거7(사건 중 예기치 않은 일 발생), 준거8(독특한 세부내용), 준거9(부가적인 세부내용), 준거11(관련된 외적 연합), 준거14(자발적 수정)의 경우 평가가간 낮은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다. 아동 진술의 신빙성에 대한 최종 판단에 있어서 평가자간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비교적 평가자간 일관된 결론을 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법현장에서 진술분석 의견서 활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Criteria-Based Contents Analysis(CBCA) is a statement-analysis technique that determines the veracity of sexually abused child victims’ statements. It consists of the 19 criteria that are most likely to exist in statements of children who are telling the truth.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nine CBCA experts working for the Korean Police Agency. The experts evaluated the existing 19 CBCA criteria with five child sexual abuse cases. They were also asked to make a final decision as to whether the children’s statements were reliable or not. The results showed that 11 out of the 19 criteria indicated adequate inter-rater reliabilities, with coefficients of criterion 2(Unstructured production), 8(Unusual details), 9(Superfluous details), 11(Related associations), and 14(Spontaneous corrections) being low. The agreement coefficient of the overall judgments of the reliability of the children’s statements was .511, showing an adequate level of reli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use of CBCA reports in making credibility decisions in the forensic contexts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