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김가영(연세대학교) ; 임낭연(경일대학교) ; 서은국(연세대학교) pp.1-21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1.001
초록보기
초록

외로운 사람들은 진정한 친구 한 명과 1억 원의 돈 중 무엇을 선택할까? 결핍된 사회적 욕구는 외로움으로 이어지며, 타인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 외로움이 경감될 수 있다. 따라서 외로울수록 물질주의적 가치보다는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고 선호할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외로운 사람들은 돈을 행복의 수단으로 여기기 때문에 진정한 친구보다는 1억 원의 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1, 2). 하지만 외로운 사람들의 믿음과는 달리 실제로는 돈이 사회적 관계보다 그들을 행복하게 해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3).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외로운 사람들이 사회적 관계보다 돈을 통해 행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외로움의 원인에 대하여 현재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물질주의적인 관점으로 해석한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Abstract

Would a lonely person choose a true friend or a million dollars? Because people fulfill their unmet social needs by forging social connections, lonely people may be expected to favor social relationships over money. However, the present research reveals that lonely people prioritize money in their pursuit of happiness, and prefer $100,000 to a true friend (Study 1, 2). Moreover, in contrast to their expectations, lonely people did not derive more happiness from money than they did from friends in real life (Study 3). Overall, the current research shows that lonely people believe that money can boost their happiness more so than social connections, a mistaken belief stemming from excessive materialistic values.

구현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수란(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신용환(연세대학교) ; 손영우(연세대학교) pp.23-39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마키아벨리즘과 긍정적․부정적 호혜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367명(여성 208명, 남성 159명)의 참가자들에게 마키아벨리즘 척도(Mach - IV: Christie and Geis’ Machiavellianism scale), 정서지능 척도(Wong and Law’s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호혜성 척도(Personal Norm of Reciprocity)가 포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기존에 호혜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변인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마키아벨리즘과 정서지능의 상호작용이 긍정적․부정적 호혜성 각각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는 마키아벨리즘과 긍정적․부정적 호혜성 간의 관계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긍정적 호혜성의 경우, 정서지능은 마키아벨리즘이 긍정적 호혜성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화시켰다. 이와 반대로 부정적 호혜성에서 정서지능은 마키아벨리즘이 부정적 호혜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강화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이 대인 간 상호작용 맥락에 따라 유연하게 자신의 전략을 조절할 수 있다는 최근 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며, 정서지능의 이러한 유연성 특성이 마키아벨리즘 성격과 상호작용 할 때에는 사회적 맥락에 따라 마키아벨리즘의 영향력을 완충 또는 강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avellianism and two types of reciprocity: positive reciprocity and negative reciprocity. We used the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IS), Christie and Geis' Machiavellianism Scale (Mach-IV) and the Personal Norm of Reciprocity (PNR) questionnaires (N = 367).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machiavellianism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 on both types of reciprocity. Regarding the moder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s showed that the aspects of moderation differed between the two types of reciprocity. In positive reciprocity, emotional intelligence buffered the negative effect of machiavellianism on positive reciprocity, whereas in negative reciprocity, emotional intelligence strengthened the positive effect of machiavellianism on negative reciprocity. These results could be explained by a recent research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 capacity to adapt one's response flexibly in accordance with others' behaviors and strategies. And this asp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suggests that when emotional intelligence interacts with machiavellianism, it can either have buffering or strengthening effect, depending on the social context.

정규희(도쿄대) ; 카라사와 카오리(도쿄대) pp.41-61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1.00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people can recognize antecedents of schadenfreude toward their misfortune when they become the target, and whether inferred inner states regulate the perception of the expressers along two dimensions: person perception (warmth, competence, and morality) and interaction style (dominance and affiliation).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ir experience of recognizing others’ schadenfreude and compassion toward them when they were experiencing misfortune. In Study 2, participants read a scenario featuring schadenfreude or compa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er of schadenfreude was viewed as feeling greater inferiority, envy, ill will, dislike, rivalry, and thoughts that the target deserved their misfortune, in comparison to the expresser of compassion. Moreover, expressers of schadenfreude were perceived as incompetent, cold, and immoral. Regarding interaction style, the expresser of schadenfreude was perceived as more dominant and less affiliative than the expresser of compassion.

이영은(대구가톨릭대학교) ; 박현주(대구가톨릭대학교) ; 허창구(대구가톨릭대학교) pp.63-80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기애(내현적, 외현적)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세부적으로 대인관계 문제를 신경증적 경향성에 따라 세 가지 하위유형 즉, 향함 문제(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멀어짐 문제(냉담, 사회적 억제), 맞섬 문제(통제지배, 자기중심성, 과관여)로 구분하고, 자기애 중 내현적 자기애는 향함, 멀어짐, 맞섬 문제를 매개로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외현적 자기애의 경우 맞섬 문제를 매개로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199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가설과 같이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향함 문제, 멀어짐 문제, 맞섬 문제가 완전매개하고 있었으며, 외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맞섬 문제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인관계 문제 중 멀어짐 문제는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는 억제효과를 보여주었으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NS 중독경향성에 대해 자기애 유형과 대인관계 문제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narcissism (covert, overt) 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 mediating roles of interpersonal problems. First of all, we categorized interpersonal problems into three types that is moving toward people(Moving Toward), moving away from people(Moving Away), and moving against people(Moving Against). And we assumed that all of three types of interpersonal problems would have the mediating rol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while only Moving Against would show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self report survey was conducted to 199 subject who wer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ully mediated by moving toward, moving against. Second, the relation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ully mediated by Moving Against. Finally, Moving Away showed suppressor effect to SNS addiction tendency but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박광배(충북대학교) ; 성유리(충북대학교) pp.81-91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1.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s expressed by the famous Blackstone’s ratio, the beyond reasonable doubt standard of proof is based on the law’s primary motivation to avoid false conviction at the expense of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false acquittal. In contrast, jurors may have common-sense motivation to avoid both types of error. With 100 juror-eligible adults in Korea,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utilities of the two types of decision error were evaluated relative to those of the correct decisions rather than each other. The utility of false conviction was evaluated relative to that of a correct acquittal of an innocent defendant, and the utility of false acquittal in relation to that of a correct conviction of a guilty defendant. If this psych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utilities is held by jurors in the courtroom, it suggests that they may have double standards for the fact-finding; one to decide on the question of guilt under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and the other to decide on the question of innocence deduced from the presumption of guilt. Double standards will increase the frequency of punishing innocent defendants.

차아름(경기대학교) ; 이수정(경기대학교) pp.93-113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의도적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주의편향이나 암묵적 태도와 같은 특성을 측정하여 자살의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치인 18명과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자살위험성을 평가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실시하였고, 결과에 따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을 분류하여 인지신경심리학적 도구를 응용하여 자살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우울이나 자살생각 등을 묻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타 준거검사로 하여 위험군 간 차이를 본 결과 암묵적 연합검사에서 고위험군의 D 스코어가 저위험군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고위험군이 암묵적으로 측정한 자살생각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으로 자기보고식 척도와 정서 스트룹 과제, 암묵적 연합검사의 변인이 자살 위험군 분류에 어느 정도 예측력이 있는지 알아본 결과, 자기보고 된 자살생각과 암묵적 연합검사의 D 스코어가 위험군을 유의미하게 예측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자살 위험성 평가 도구와는 다르게 의도적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특성들을 측정하여 위험성을 평가하므로 왜곡의 가능성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피조사자뿐만 아니라 교정시설 내의 수형자를 대상으로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isk of suicide by using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IAT) and Emotional stroop task which to measure the implicit attitude or cognitive bias.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detainee(n=18) and college students(n=72).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 the study used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e Screening Form(DHS). These two groups were resorted by their level of risk suicide. the first group identified as high risk group(n=30) and the second group identified as low risk group(n=60). As expected, the high risk group reported higher score on self-reported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scale as well as D score of IAT. The results indicates the high risk group has a high level of the suicide thoughts implicitly. Fi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proved the self-reported suicide ideation and D score of IAT had a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in suicide risk group. Since this study assess the risk by measuring natures that are difficult to fabricate intentionally unlike most suicide risk assessment tools, it is significant in terms of being comparatively free from the possibility of the distortion. Furthermore, it will be helpful in evaluating the suicide risk targeting prisoners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박희정(대구지방경찰청) ; 홍우한(대구지방경찰청) pp.115-130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거짓말 탐지 상황에서 객관적 자기인식이 용의자들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실제 범죄사건의 용의자를 대상으로 객관적 자기인식을 조작(거울유무)하여 죄책감/수치심, 상태불안, 사회적 바람직성을 측정하였으며, 용의자 집단 중 폴리그래프 검사 결과를 근거로 진실집단과 거짓집단으로 나누어 객관적 자기인식에 따른 집단 간 심리상태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죄책감은 거짓집단이 진실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수치심은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에 반해 상태불안과 사회적 바람직성에서는 객관적 자기인식에 따라 진실집단과 거짓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진실집단은 객관적 자기인식에 따라 상태불안과 사회적 바람직성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거짓집단은 거울이 있는 조건이 거울이 없는 조건에 비해 상태불안과 사회적 바람직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객관적 자기인식이 높을 경우 거짓말 하는 사람은 불안을 더 느끼며 상대방에게 보다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긍정적 인상관리 전략을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정확한 거짓말 탐지를 필요로 하는 경찰, 검찰 등 수사기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objective self-awarenes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spects when they tell a lie. To manipulate objective self-awareness, half the suspects were seated in front of a mirror and half were not during a polygraph test. After the polygraph test, the suspects were instructed to complete a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 focusing on such characteristics as shame/guilt, state anxiety, and impression management. Additionally, we divided the suspects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ir polygraph test result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lie and truth groups. The li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uilt than did the truth group; however, the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ir reporting of shame.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anxiety and impression management, depending on objective self-awareness. The lie group who completed the polygraph in front of a mirror were higher in anxiety and expressed more impression management than did those who were not in front of a mirror. In contrast, the truth group was unaffected by the presence of the mirror. These results showe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spects in the two groups depending on objective self-awareness. These findings may help to correctly detect truth and lies in many applied settings, such as the forensic, judicial, and investigative domains.

양계민(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이우영(북한대학원대학교) pp.131-152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1.008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이 인식하는 다문화집단과의 현실갈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지각된 차별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273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남한거주기간 등의 배경변인과 현실갈등인식, 지각된 차별감 및 삶의 만족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이 지각하는 다문화집단과의 현실갈등인식, 지각된 차별감 및 삶의 만족에서 성별, 연령별, 남한거주기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다문화집단과의 현실갈등인식이 높을수록 지각된 차별감은 높아지고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이 지각하는 현실갈등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차별감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효과는 경제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현실갈등인식이 북한이탈주민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지각된 차별감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현실적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groups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as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For the purpose, 273 North Korean defecto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groups, perceived discrimination, life satisfaction. and background variables(sex, age, residence periods in South Korea). Results indicated, at firs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x, age, residence periods in South Korea for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groups,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higher the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groups, the more perceived discrimination, but the lower the life satisfaction. Third,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uture study topics relating to this area were suggested.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