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이하연(성균관대학교 응용심리연구소) ; 최훈석(성균관대학교) pp.1-19 https://doi.org/10.21193/kjspp.2019.33.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독립적 자기표상의 상승효과 모형(Choi, Cho, Seo, & Bechtoldt, 2018)을 바탕으로, 현장 집단에서 집단 창의성에 대한 모형의 개입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대학 주관으로 진행된 학습캠프에 참여한 집단들에서 집단주의 가치지향성을 조작한 후, 독립적 또는 상호의존적 자기표상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하지 않는(통제조건) 절차를 사용하여 총 세 개 조건에서 집단이 생산한 아이디어의 창의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구성원들에게 집단주의 가치지향성만 조작했거나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상호의존적 자기표상을 조합한 조건보다, 집단주의 가치지향성과 독립적 자기표상을 조합한 조건에서 집단 창의성이 높았다. 이 결과를 서구에서 보고된 관련 연구들과 비교하고,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집단 창의성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reports data from a field experiment that tested a synergy model of collectivistic value orientation and independent self-representation on group creativity(Choi, Cho, Seo, & Bechtoldt, 2018).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wide learning camp on teamwork. We induced a collectivistic value orientation as part of a teamwork activity in all groups. With this, we primed either independent or interdependent self-representation in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We also included a control condition where there was no manipulation of self-representation. Using an interactive group brainstorming task, we found support for the hypothesized synergy effect in groups wher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work unit. No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groups of friends.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observed synergy effect is due in part to the creativity-enhancing nature of independent self-representation, rather than detrimental effects of interdependent self-representation on group creativity. We discus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vis-à-vis previous research on the link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group creativity. We also discus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research.

박덕준(대구가톨릭대학교) ; 성한기(대구가톨릭대학교) pp.21-43 https://doi.org/10.21193/kjspp.2019.33.4.002
초록보기
초록

불공정한 상황을 목격한 후 이 상황과 무관한 사람이 불공정 행위자에게 가하는 행위인 제 3자의 이타적 처벌에 관하여 불형평 혐오 모델은 불공정한 상황을 목격했을 때 경험한 도덕적 격분이 제 3자 이타적 처벌의 결정요인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덕적 격분이 어떠한 인지적 처리과정을 통해 제 3자 처벌에 이르는지는 다루지 못한다. 본 연구는 도덕적 격분이 제 3자의 이타적 처벌 결정에 이르는 인지적 처리과정을 이중체계이론을 통해 접근하고 자아고갈이 더 강한 처벌을 초래하는 이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참가자들을 높은 자아고갈 조건과 낮은 자아고갈 조건에 무선적으로 할당하고 자아고갈을 조작한 후 자원 분배장면에서 불공정한 상황을 목격했을 때 처벌을 가할 수 있는 제 3자 처벌 게임을 실시하였고, 각 상황에서 경험한 도덕적 격분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목격한 상황이 불공정할수록 도덕적 격분을 더 강하게 경험하였지만, 자아고갈 수준에 따른 차이 및 자아 고갈과 불공정성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목격한 상황이 불공정할수록 더 강한 처벌을 가했을 뿐만 아니라 목격한 상황의 불공정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 높은 자아고갈 조건이 낮은 자아고갈 조건보다 더 강한 처벌을 가했다. 처벌 강도의 차이는 해당 상황에서 경험한 도덕적 격분의 영향을 통제했음에도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 3자의 이타적 처벌에 대해 충동적이고 감정에 기반한 체계 1과 자기통제기능과 강도에 대한 조정이 가능한 체계 2의 역할을 밝힘과 동시에 선행 연구에서 검증되지 않았던 자아고갈이 제 3자의 이타적 처벌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가 자아고갈로 인한 체계 2의 활성화 실패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Abstract

Regarding the altruistic punishment of a third party, an act committed by a person unrelated to the situation after witnessing an unfair situation. the inequity aversion model describes the experienced moral outrage when witnessing an unfair situation as a determinant of a third party's altruistic punishment, but does not address what cognitive processes lead to third-party punishment.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find out why moral outrage led to the decision of the altruistic punishment of a third party to approach the cognitive processing process through the theory of dual system and the ego-depletion incurred stronger punishment. For these purposes, 4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high and low ego-depletion conditions, manipulated ego-depletion, and then played third party punishment game, and measured the moral outrage experienced in each situation.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more unfair situation participants witnessed, the more strongly they experienced moral outrag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ditions. However, participants not only imposed stronger punishment on the more unfair the situation they witnessed, but also stronger punishments than high ego-depletion conditions were lower when the unfairness of the situation they witnessed was relatively high. These difference between conditions was significant even though controlling the effects of the moral outr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ole of system 1 that is impulsive and emotion-based and system 2. which has adjust and self-control function on the altruistic punishment of third parties, and the reason why ego-depletion increases the third-party’s punishment is no because of the experience of increased moral outrage but because of the impaired function of system 2.

최훈석(성균관대학교) ; 이하연(성균관대학교 응용심리연구소) ; 정지인(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pp.45-59 https://doi.org/10.21193/kjspp.2019.33.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으로 구분되는 한국인의 다층 사회정체성 불확실성 및 동일시와 남북한 화해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도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한민국 거주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한 결과, 한민족정체성과 남한정체성의 불확실성과 동일시, 그리고 남북한 화해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도에서 성별, 연령대, 학력, 거주지역,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가설화한 경로모형 검증 결과, 한민족정체성 불확실성은 남한에 대한 동일시와 상관이 없었지만, 남한정체성 불확실성은 한민족에 대한 동일시를 정적으로 예측하고 한민족 동일시가 남북한 화해 태도를 매개로 화해 행동의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상위범주와 하위범주 정체성 불확실성과 동일시 간 비대칭적 상보성 가정(Jung, Hogg, & Choi, 2016)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가 남북한 갈등 해소 및 사회통합에서 지니는 함의를 논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dentity uncertainty and levels of social identification among Koreans whose social identities are nest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involving ethnic identity (i.e., Han-ethnicity) and national identity (i.e., South Korean). The presumed link between social identity uncertainty and social identification was tested in a path model that stipulate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identification (but not national identification) and individuals’ attitudes and action intention toward intergroup reconciliation. Data were obtained from 1,000 adult Koreans residing in Korea using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A path analysis revealed that, as expected, subgroup (South Korea) identity uncertainty strengthened identification with the superordinate category (Han-ethnicity), which predicted positively attitudes towards intergroup reconciliation. Attitudes toward intergroup reconciliation, in turn, predicted positively individuals’ intention to engage in reconciliatory behavior. By contrast, superordinate identity (Han-ethnicity) uncertainty did not predict subgroup (South Korea) identification. We also found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and action intention across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 discus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rom the perspective of an asymmetric compensation between superordinate identity uncertainty and subgroup identification in Korea. We also discus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