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는 열정의 이원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Vallerand 등(2003)이 제작하고 Marsh 등(2013)이 수정한 열정 척도(Passion Scale)를 한국판으로 번안 및 타당화하였다. 대학생 118명과 200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각각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으로 구성된 열정의 2요인 구조를 잠재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요인 대안모형과 비교할 때 2요인의 적합도가 우수하게 나타나 한국판 열정 척도의 2요인 구조를 확정하였다. 모든 데이터를 통합하여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기본심리욕구, 자아존중감 및 열정활동의 정체성 투영, 웰빙 관련 변인과의 상관이 예상된 방향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열정의 유사개념인 내적 및 외적 동기와의 변별성 분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가 모두 구별되는 4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열정의 증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열정은 몰입과 정서에 대해 내적 및 외적 동기를 통제하고도 유의한 증분설명량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판 열정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Passion Scale developed by Vallerand and colleagues(2003) and modified by Marsh and colleagues(2013) in Korean.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data sets of 118 and 200 undergraduate students respectively.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the two-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Passion Scale consisting of Harmonious Passion (HP) and Obsessive Passion (OP), which had a better fit as compared to the one-factor structure. Support was also found for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HP and OP scales using the combined sets of data (N = 318), based on such validity correlates as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esteem, inclusion of self, and well-being related variables. Results from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discriminate passion fro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supported the four-factor model of HP, OP,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ed in the incremental validity of passion over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which suggests that the construct of passion is well discriminated from the motivation measures. Overall,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Korean Passion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the concept of pa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의복은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아상과 자기개념은 의복 선택에 영향을 준다. 나아가 의복은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이끌어냄으로써 자신을 고양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 되기도 한다. 나르시시즘이 높은 사람은 자기고양전략을 많이 구사하기 때문에 자기고양 수단으로 의복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나르시시즘이 일상생활에서의 의복 선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특히 나르시시즘이 높은 사람일수록 남들로부터 선호되는 방식으로 옷을 입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참여자들(N = 201, 여자 100명)은 나르시시즘을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고, 연구 참여 당시에 착용했던 의복 그대로 촬영을 하였다. 4명의 연구자들이 12가지 기준을 사용하여 참여자의 의복 이미지를 코딩하였다. 추가적으로 참여자와는 다른 대학생 87명이 동일한 12가지 기준을 이용하여 옷을 잘 입는 것은 어떻게 입는 것인지 평정하고, 이를 통해 옷을 잘 입는 것의 전형성(prototype) 기준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나르시시즘, 특히 웅대한 과시와 옷을 잘 입는 전형성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나르시시즘이 높은 사람은 실제로 남들에게 선호되는 방식으로 옷을 입었다.
People express themselves through their clothing, and self-concept plays a key role in the process. In fact, clothing can be used as a self-enhancing tool by drawing positive feedback from others. Given that narcissistic individuals routinely utilize different techniques for the purpose of self-enhancement, they may use their clothing a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themselve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whether narcissistic individuals who are obsessed with grandiosity actually dress well in everyday life. Participants (N = 201; 100 women)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narcissism, and their pictures were taken. Twelv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clothing were rated by 4 coders. In addition, the prototype of “well-dressed” using the same 12 items was obtained by 87 college students. We found that narcissism, particularly grandiose exhibition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well-dressed” prototype scores.
본 연구에서는 기억을 촉진시키는 면담 기법인 인지면담에서 제안하고 있는 질문의 순서 바꾸기 기법이 일화기억의 회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화자의 거짓말 의도 여부에 따라 진실하게 진술하였을 때와 거짓으로 진술하였을 때, 회상 방향을 달리 한 질문의 순서 바꾸기 기법이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심리학을 수강하는 대학생 총 8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절도 범죄에 대한 영상을 시청한 후 영상의 내용을 진실하게 진술할 것인지 거짓으로 진술할 것인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집단의 참가자들은 특정 부분에 대한 회상 시 순차순 질문순서에 따라 진술할 것인지 순차순과 역순이 혼합된 혼합순 질문순서에 따라 진술할 것인지에 따라 또 다시 무작위 분류되어 면담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진실 집단은 혼합순 질문순서를 따랐을 때가 순차순 질문순서를 따랐을 때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보고하였으며, 거짓 집단은 질문순서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보고된 정보를 진실 정보와 거짓 정보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혼합순 질문순서를 따랐을 때가 순차순 질문순서를 따랐을 때에 비해 진실 정보는 더 많이, 거짓 정보는 더 적게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사면담 시 정보가(價)를 갖는 정보의 획득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ward and mixed-ordered question in the true and deceptive group on the recalling of episodic event. 80 college students were sorted into two(true vs. deceptive) groups. And again, they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forward question group and mixed-ordered question group. They were shown the video clip of theft, and interviewed according to 2 types of question-order. In first interview, they were free-recalling of the full contents of event, and in second interview, they were recalling of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specific parts of video.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written and analyzed written files.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second interview, new information in true group were more in mixed-ordered question than forward question. But deceptive group had no difference of acquired information between in mixed-ordered and forward question. Second, both true and deceptive group had more true information in mixed-ordered question than forward question. And deceptive group had more new untrue information in forward question than mixed-ordered question. This study found that mixed-ordered question would get more new true information than forward question in truth teller and liar in investigative interview.
본 연구는 동공크기와 안구운동을 통해 거짓말자와 진실자의 특성과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험참가자의 자발적인 선택에 따라 유죄(25명)와 무죄(27명) 집단으로 나눠 모의범죄를 수행한 후, 비교질문검사를 실시하여 동공크기 및 응시횟수와 응시시간을 측정하였다. 비교질문검사는 9개의 문장(범죄관련 질문 2개, 비교질문 3개, 무관련 질문 4개)으로서 안구운동 추적장비의 모니터를 통해 글자로 제시되었다. 실험결과, 유죄집단은 범죄관련 질문에서 무죄집단에 비해 동공크기가 유의미하게 확장되었으며, 범죄관련 자극에 대한 응시횟수와 응시시간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거짓말 시 동공확장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향후 동공크기를 통한 거짓말의 탐지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a change in pupil size and the eye movement during deception.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either guilty (25 people) or innocent (27 people) group and performed a mock crime. After the mock crime, participants' pupil size and eye movements (fixation count and dwell time) were measured during the comparison question test. During the comparison question test, nine sentences (two crime-related questions, three comparison questions, four irrelevant questions) were presented on the monitor connected with eye tracker.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guil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arger pupil size when the crime-relevant questions were given than did the innocent group whil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fixation count and dwell time. The findings revealed that pupil dilation was different between liars and truth tellers, and thus, pupil dilation can be a useful measurement to detect deception and may contribute to an increase of the accuracy of lie detection.
I investigated how social-class effects differ with age in the domain of choice. Young (less than 40) and old (over 60) participants from working-class and middle-class backgrounds indicated their preferences and choices about consumer products before and after seeing others’ preferences (consistent or conflicting with their own) for the same products. The result showed that social-class differences in choice were maintained into late adulthood. Replicating the effects among young participants, old working-class participants were more sensitive to social feedback in their choices, preferences, and recognition memory than old middle-class participants although older participants had poorer memory for the feedback, suggesting social cues were implicitly processed.
정서 연구와 실용적 개입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서들 간의 구분과 그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맥락에서 정서단어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정서경험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측정할 자기보고 측정도구를 제안하였다. 정서 단어로써 원형성과 친숙성이 보고된 부정정서단어 32개와 긍정정서단어 20개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과 직장인 250명이(직장인 65.2%, 남자 45.6%) 정서경험 보고 자료를 요인분석한 결과, 긍정정서는 ‘애정’ ‘성취’ ‘재미’ ‘평안’ ‘감동감사’의 5개 요인, 부정정서는 ‘슬픔우울’ ‘분노혐오’ ‘불안걱정’ ‘선망질투’ ‘수치죄책’ ‘권태싫증’ ‘미분화 괴로움’의 7개의 요인구조가 추출되었다. 대학생과 직장인 360명(직장인 66.7%, 남자 46.9%)의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좋은 모델적합도를 나타내었다. 각 정서범주들 사이의 상관, 각 정서범주의 경험 빈도,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정서범주 값 추이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정서경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정서경험의 측정에 있어 자기보고 방식의 장단점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친숙하고 빈번히 사용되는 정서 경험은 보편적인 기본정서뿐 아니라 파생정서와 이차정서 등 다양한 수준의 정서들을 포함함을 논의하였다.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a variety of emotion is connected and distinguished each other for academic and practical purposes, such as developing emotion-intervention programs. In the present study, 32 negative and 20 positive words, which Koreans were familiar with and frequently used in their daily life, were used to find the structure of Koreans’ emotion and to develop a new self-reported measurement of emotional experiences. In Study 1, 250 Korean college students and office workers (65.2% office workers; 45.6% male) reported their daily experiences of emotion by completing a emotion-word li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positive emotion consisted of five factors, such as “affection”, “achievement”, “amusement”, “relaxedness”, and “gratitude”, whereas negative emotion consisted of seven factors, such as “sadness”, “anger”, “anxiety”, “jealousy”, “guilty”, “boredom”, and “unclassified distress.” In Study 2, we carried out a confirmatory analysis with data obtained from 360 college students and office workers (66.7% office workers; 46.9% m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5-factor model for positive emotion and the 7-factor model for negative emotion fitted the data well. Furthermore, we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group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the frequencies of the experiences of the emotion groups, and age-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emotion groups. Finally, the implication for the usefulness of self-reported measurements in emotion research and the importances of secondary and derivative emotion in daily experiences of emotion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