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서복잡성의 개념화와 타당화에 대한 연구

The Conceptualization and Validation of Emotional Complexit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0, v.14 no.1, pp.263-284
황석현(Samual Suk-Hyun Hwang) (서울대학교)
민경환(Kyung-Hwan Min)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개인차 변인으로서의 정서복잡성을 개념화하고 또한 타당화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Harter(1986)의 정서 발달의 다섯 단계에 근거한 정서복잡성 채점방식(Emotional Complexity Coding Scheme: ECCS)을 개발, 사람들의 정서적 복잡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연구 1에서는 TAT로부터의 내 가지 자극과 KCAT로부터의 두 가지 자극이 정서적 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그들의 정서적 반응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정서복잡성 채점방식에 따라 두 명의 평정자들에 의해 평정되었다. 인지적 복잡성은 골수의 분배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정되었다. 분석 결과, 정서복잡성 측정치의 높은 평정자간 신뢰도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내적 합치도가 나타났다. 또한, 정서복잡성 측정치와 인지복잡성 측정치간에 낮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정서적으로 복잡한 사람들은 더 나은 대처 능력을 보이며 명확한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사람들에 대한 공감능력이 더 뛰어나며, 다른 사람들과 정서적 지지를 더 많이 주고받는다는 것이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정서적으로 복잡한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의 정서를 더 잘 이해한다는 가설을 실험실 연구를 통해 입증하였다. 피험자들은 육성이 녹음된 테이프를 듣고, 화자가 그 정서적 상황에서 느꼈던 정서의 종류와 강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으로 복잡한 사람들은 화자가 경험한 정서들을 더 정확히 파악해 내었다. 또한 그들은 타인이 경험한 정서 강도도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인식해 내었다. 특히, 정서적으로 복잡한 사람들은 단순한 사람들보다 타인이 느끼는 정서의 강도를 과대 평가하는 경향성이 적었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정서복잡성, 인지복잡성, 정서 발달, 정서 정확성, 공감적 이해, 정서-인지 상호작용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emotional complex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Emotional Complexity Coding Scheme(ECCS) has been developed based on Harter's(1986) four developmental levels of emotion to measure individual's complexity in processing emotion-related information. In Study 1, 4 stimuli from TAT and 2 stimuli from KCAT were used to elicit emotional responses which were rated by two caters according to the ECCS. Cognitive complexity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concerning the distribution of bone-marrows. The results reveal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 as well as inter-rater reliability of ECCS. Also, a low negative correlation(r=-.26, p<.05) was found between emotional complexity and cognitive complexity. Emotionally complex individuals were found to have more clear experience of emotions with better coping ability, to be more empathetic toward others, and actively engaged in exchange of emotional support with others. In Study 2, the hypothesis that emotionally complex individuals are better at accurate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s by having the subjects listen to a recorded tape from which they identified the emotions and the intensity of the emotions felt by 4 speakers in emotional situ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ly complex individuals were better in both identifying others' felt emotions and rating their intensity. Lastl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nvestigations are discussed.

keywords
정서복잡성, 인지복잡성, 정서 발달, 정서 정확성, 공감적 이해, 정서-인지 상호작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