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취업준비생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성숙도가 무망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employment-related Economic Stress and Caree Attitude Maturity on Hopelessness and Mental Health in Korean Youth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9, v.23 no.4, pp.47-62
https://doi.org/10.21193/kjspp.2009.23.4.003
김민정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조긍호 (서강대학교)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hich are related to the youth unemployment on the hopelessness and mental health.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someone who are struggling with the youth unemployment by giving them a help about their career guida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429 persons of the senior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work. Over 90% of participants' data felt stressful because of employment and care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economic stress caused an increase in the hopelessn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econd, the higher level in career attitude maturity decreased the level of the hopelessn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the hopelessn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studied. The group with higher economic stress and lower career attitude maturit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hopelessn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Besides, this group showed the most difference all of the group.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ose from each factor of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mplying that the synergic effect of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s statistically meaningful. However, this synergic effect of economic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hich affects hopelessness and mental health showed only in the group with lower career attitude maturity, not in the group with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we need not only long-term and integrated policy about the youth unemployment but also more active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 instead of increasing short-term employment such as intern and part-time jobs.

keywords
young applicant, youth unemployment, economic stress, career attitude maturity, hopelessness, mental heal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취업준비생, 청년실업, 경제적 스트레스, 진로태도성숙도, 무망감, 정신건강, 심리적 부적응

참고문헌

1.

김경모(2002). 청년층의 실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

김보형(1998). 경제불황 상황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

김영태(2005).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논문집,34, 81-104.

4.

노연희, 장재윤(2006). 대졸취업자의 지각된 과잉자격이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1), 59-83

5.

박성준(2005).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분석. 한국경제연구원.

6.

백현정(1999) 아동이 지각한 경제적 어려움, 부부갈등,양육태도 및 애착과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7.

송혜령(2004). 반복적 구직실패가 입직기대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8.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1990). 고등학생의 자살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 간의 구조적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1),1-19.

9.

신선인(2001).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 I-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6(9), 210-235.

10.

신현균, 장재윤(2003). 대학 4학년생의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15-827.

11.

신희천, 장재윤, 이지영(2008). 대학졸업 청년실업과 정신건강의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사회연구, 16(2), 43-75

12.

오경자(1998). 경제불황의 심리적 영향: 실직이 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춘 계 심포지움.

13.

오수성(2001). 국제금융위기 후 실직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스트레스 대처 양식, 자존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481-496.

14.

우석훈, 박권일(2007). 88만원 세대-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서울: 레디앙.

15.

유은정(2004). 청년실업 장기화에 따른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6.

유희정, 황성훈, 홍진표, 김헌수, 이철, 한오수(2000).IMF에 관련된 경제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39(1), 65-77.

17.

윤소미(2002). 청소년의 스트레스, 귀인양식, 사건귀인이 무망감과 무망감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18.

윤소미, 이영호(2004). 한국판 무망감 우울증상 척도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3(4), 1051-1063.

19.

이기학(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

이기학, 한종철(1997).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진로교육연구, 8, 219-255.

21.

이동걸(2007). 뇌졸중 환자가 겪는 경제적 스트레스의 관련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22.

이민규, 김완석(1999). 실직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4(1), 94-109.

23.

이상희(2006). 대학생의 성향변인, 진로장애,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 399-417.

24.

이상희(2007). 진로장애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중재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375-392.

25.

이승호(2007). 청년실업 해결을 향한 16가지 정책 제언.도시와 빈곤, 86, 77-105.

26.

이영호(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7.

이지영, 장재윤, 신희천(2008). 대졸 미취업자들의 정신건강 변화에서의 진로 정체감 효과: 비선형 다층 모형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4), 575-605

28.

이현진(2009).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 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9.

이효선(2003). 청년실업의 사회학적 의미와 정책 대응.사회과학연구, 16, 1-21.

30.

이훈구, 김인경, 박윤창(2000). 경제불황이 20대 미취업실업자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2), 87-101.

31.

임진(2003). 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성취동기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2.

장재윤, 신현균, 김은정, 신희천, 하재룡, 장해미(2004a).대학 4학년생의 구직행태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145-165.

33.

장재윤, 신현균, 남순현, 김은정, 신희천, 김범성, 노연희,안상일(2003). 대학 4학년생들의 직업 미결정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발표논문집.

34.

장재윤, 장은영, 김범성, 노연희, 이지영, 한지현(2004b).청년실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121-144.

35.

장재윤, 장은영, 신희천(2006). 대졸자들의 취업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5(1), 65-87

36.

정기선(2000). 경제위기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34(여름호), 389-416.

37.

정재하(2004). 청년실업의 원인과 정책과제. 입법정보 제125호.

38.

조미영(1999). 가정의 경제적 불안, 부모의 우울, 아동의 사회적지지 지각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9.

채구묵(2004). 청년실업과 신규대졸자 실업의 실태, 원인 분석 및 과제. 한국사회복지학, 56(3), 159-181.

40.

최옥현(2006).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41.

탁진국(1996). 경력미결정과 부적응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9(2), 81-94.

42.

허승연(1998). 경제위기로 인한 부모의 양육태도 변화와 가족응집성 변화가 아동의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43.

Abamson L. Y., Metalsky G. I. & Alloy L. B. (1989). Hopelessness depression: A thoery-based subtype of depression. Psychological Review, 96, 358-372.

44.

Axelsson L. & Ejlertsson G. (2002). Self-reported heal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mong young unemployed people: a population-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11, 111-119

45.

Baum R., Fleming R. & Reddy D. (1986). Unemployment stress: Loss of control, reactance and learned helplessnes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22, 509-516.

46.

Beck A. T., Weissman A., Lester D. & Trexler L. (1974).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861-865.

47.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48.

Fryer D. M. (1986). Employment deprivation and personal agency during unemployment. Journal of Social Behavior, 1, 3-23.

49.

Hammarstrom A. & Janlert U. (1997). Nervo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longitudinal study of youth unemployment-selection or exposure? Journal of Adolescence, 20, 293-305

50.

Hammarstrom A., Janlert U. & Winefield, A. H.(2002). Unemployment and health behaviour after leaving school: the influence of unemployment level.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41, 173-181.

51.

Jackson P. R., Stafford E. M., Banks M. H. & Warr P. B. (1983). Unemploy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young people: the moderating role of employment commit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8(3), 525-535.

52.

Kong F., Perrucci C. C. & Perrucci R. (1993). The impact of unemployment and economic stress on social support.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9(3), 205-21.

53.

Lemper J. D,, Clark-Lemper D. & Simons R. L. (1989). Economic hardship, parenting, and Distress in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0(1), 25-39.

54.

London M. (1997).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4(1), 25-38.

55.

Lucas J. L., & Wanberg C. R. (1995). Personality correlates of Jones' three dimensional model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3, 315-329.

56.

Lozzo D. A. (1996).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2), 239-248.

57.

Seligman M. E. (1975). Helplessness. 무기력의 심리.(윤진, 조긍호 공역). 서울: 탐구당(1983).

58.

Super D. E. (1963). Career development: self-concept theory, essays in vocational development. New York: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59.

Warr P. B. (1983). Work, jobs, and unemployment. Bulletin of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36, 305-311.

60.

Winefield, A. H., Winefield, H. R., Tiggemann, M. & Goldney, R. D. (1991). A longitudinal study of the psychological effects unemployment and unsatisfactory employment on young adul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3), 424-431.

61.

Winefield, A. H. (1997). Introuction to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youth unemployment: International perspectives. Journal of Adolescence, 20, 237-241.

62.

Vinokur A. D., Price R. H. & Caplan R. D. (1996). Hard time and Hurtful Partners: How financial strain affects depre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employed persons their spouses.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71(1), 166-17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