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는 자기애(내현적, 외현적)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세부적으로 대인관계 문제를 신경증적 경향성에 따라 세 가지 하위유형 즉, 향함 문제(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멀어짐 문제(냉담, 사회적 억제), 맞섬 문제(통제지배, 자기중심성, 과관여)로 구분하고, 자기애 중 내현적 자기애는 향함, 멀어짐, 맞섬 문제를 매개로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외현적 자기애의 경우 맞섬 문제를 매개로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199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가설과 같이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향함 문제, 멀어짐 문제, 맞섬 문제가 완전매개하고 있었으며, 외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맞섬 문제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인관계 문제 중 멀어짐 문제는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는 억제효과를 보여주었으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NS 중독경향성에 대해 자기애 유형과 대인관계 문제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narcissism (covert, overt) 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 mediating roles of interpersonal problems. First of all, we categorized interpersonal problems into three types that is moving toward people(Moving Toward), moving away from people(Moving Away), and moving against people(Moving Against). And we assumed that all of three types of interpersonal problems would have the mediating rol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while only Moving Against would show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self report survey was conducted to 199 subject who wer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ully mediated by moving toward, moving against. Second, the relation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ully mediated by Moving Against. Finally, Moving Away showed suppressor effect to SNS addiction tendency but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강은정, 장성숙 (2007). 자기애와 내현적 대인반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13-932.
권석만 (1995). 정신병리와 인지 1: 정서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세미나 자료, 1995(1), 49-95.
김선미, 서경현 (2015).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587-603.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391-411
김위근, 최민재 (2012).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60, 150-171.
김종운, 양민정 (2014).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2), 283-299.
김환표 (2013). 트렌드 지식 사전, 서울: 인물과사상사.
류경희, 홍혜영 (2014).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8), 157-183.
박경자, 유 일, 이윤희 (20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사용의 부정적 감정과 사용중단의도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5(2), 89-106.
박명철, 임용광 (2013). 대학생들의 자존감 수준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독범죄학회 학술대회, 2013(1), 12-20.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2005).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의 정서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55-266.
백승혜, 현명호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1001-1017.
서경현, 조성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심상홍, 이장한 (2012).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2), 87-100.
오윤경 (2012).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홍석 (2007).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문제 유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성범, 남숙경, 이승민, 양은주 (2012). 이차원적 자기애적 성향과 연애관계 양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6(1), 87-101.
이계정, 정남운 (2007). 내현적 자기애 성격성향과 인터넷 보상경험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55-69.
이민진, (2012).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의 대인관계 양상.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호 (2013).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1(1), 255-265.
이순희, 차은정 (2014). 대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가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6(5), 2781-2793.
이정권, 최 영 (2015).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59(1), 115-148.
이정숙 (2012). 대학생의 대인 관계가 인터넷 중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매개변인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0(2), 115-134.
이지은, 한성준, 이상욱, 정동훈 (2013). 소셜미디어 이용 목적에 따른 이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528-531.
이형득 (1992). 상담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정구철, 문종호 (2014).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388.
정남운 (2001). 자기애적 성격검사의 요인구조와 아이젱크 성격차원 및 자존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221- 23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세대간 미디어 이용 특징 변화. KISDI STAT REPORT.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소영, 김종남 (2014).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47-166.
정애리, 유순화 (2008). 고등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18, 139-160.
최민경, 김종남 (2010).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문제 사이에서 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747-763.
최종순 (2003). 자기애적 성격특성과 자기표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지영, 이영순 (2014).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분노표현양식 및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1(1), 77-95.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 인터넷이용자의 SNS 이용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한혜원, 문아름 (201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은유적 특성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5(5), 621-630.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23-940.
홍서윤 (2014).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2), 73-95.
황순택, 오경자, 최정훈 (1995). 전형성 평정에 의한 성격장애 진단준거 개발. 한국심리학회 ‘95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55-271.
황희은, 김향숙 (2015). 자존감,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 지향성이 중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9), 233- 253.
Aviram, I., & Amichai‐Hamburger, Y. (2005). Online Infidelity: Aspects of Dyadic Satisfaction, Self‐Disclosure, and Narcissism.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10(3), article 1. Retrieved June 22, 2007 from http://jcmc.indiana.edu/vol10/issue3/aviram.html
Barbera, D. L., Paglia, F. L., & Valsavoia, R. (2009). Annual Review of Cybertherapy and Telemedicine 2009: Social network and addiction. (pp. 33-36), Netherlands: IOS Press.
Buffardi, L. E., & Campbell, W. K. (2008).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eb si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10), 1303-1314.
Cooper, A. (2000). Further Developments in the Clinical Diagnosi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Disorder of Narcissism. Diagnostic, Clin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 London: Jason Aronson Inc.
Dougherty, R. J., & Lesswing, N. J. (1989). Inpatient cocaine abusers: An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demographic variables.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6(1), 45-47.
Drussell, J. (2012). Social networking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among college freshmen. Master of Social Work Clinical Research Papers. Paper21. http://sophia.stkate. edu/msw_papers/21.
Emerson, R. M. (1976). Social exchange theory. Annual review of sociology, 335-362.
Fernandez, L., & Sztulman, H. (1998). Variability of tobacco addiction and narcissistic disposition: a comparison of non-smokers and smokers undergoing stop smoking treatment. European Psychiatry, 13(1004), 231s-231s.
Hofmann, W., Vohs, K. D., & Baumeister, R. F. (2012). What people desire, feel conflicted about, and try to resist in everyday life. Psychological Science, 23(6), 582-588.
Horney (2006). 신경증적 갈등에 대한 카렌 호나이의 정신분석. [OurInner Conflicts]. (이희경, 윤인, 이해라, 조한익 역). 서울: 한국 심리치료 연구소. (원전은 1983에 출판)
Horowitz, L. M. (1996).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blems: A Leary legac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2), 283-300.
Ji, Y. G., Hwangbo, H., Yi, J. S., Rau, P. P., Fang, X., & Ling, C. (2010). The influence of cultural differences on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26(11-12), 1100-1121.
Kalkan, M. (2012). Predictiveness of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s on university students' problematic Internet us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7), 1305-1308.
Kelley, H. H., & Thibaut, J. W. (1978). Interpersonal relations: A theory of interdependence (p. 341). New York: Wiley.
Kerr, A. E., Patton, M. J., Lapan, R. T., & Hills, H. I. (1994). Interpersonal correlates of narcissism in adolescent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3(2), 204-210.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9), 3528-3552.
Leary, T. (1957). Interpersonal diagnosis of personality; a functional theory and methodology for personality evaluation. New York: Ronald Press.
Maslow, A. H.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4), 370.
Park, S. Y., & Kang, Y. J. (2013). What's going on in SNS and social commerce?: Qualitative approaches to narcissism, impression management, and e-WOM behavior of consumers.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23(4), 460- 472.
Pearson, C., & Hussain, Z. (2015). Smartphone use, addiction, narcissism, and personality: a mixed methods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yber Behavior, Psychology and Learning (IJCBPL), 5(1), 17-32.
Prifitera, A., & Ryan, J. J. (1984). Validity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NPI) in a psychiatric samp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0(1), 140-142.
Raskin, R., & Hall, C. S. (1981).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lternative form reliability and further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5(2), 159-162.
Salehan, M., & Negahban, A. (2013). Social networking on smartphones: When mobile phones become addi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6), 2632-2639.
Akhtar, M. D., & Thomson Jr, J. A. (1982).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1), 12-20.
Swensen, C. H. (1973). Introduc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 Glenview, IL: Scott, Foresman.
Ward, C. C., & Tracey, T. J. (2004). Relation of shyness with aspects of online relationship involvemen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1(5), 611-623.
Weikel, K. A., Avara, R. M., Hanson, C. A., & Kater, H. (2010). College adjustment difficulties and the overt and covert forms of narcissism.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3(2), 100-111.
Wells, M. C., Hill, M. B., Brack, G., Brack, C. J., & Firestone, E. E. (2006). Codependency's relationship to defining characteristic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sychotherapy, 20(4), 71-84.
Wickel, T. M. (2015).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Sites: The Act of Taking Selfies. The Elon Journal of Undergraduate Research in Communications, 6(1), 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