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미디어 폭력물의 부정적인 파급효과에 대해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다. 선행 연구에서는 폭력의 빈도, 수위와 같은 양적 요인보다 가해자 유형 및 폭력 동기와 같은 맥락 요인이 시청자에게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폭력물의 맥락 요인을 주인공과 배경음악으로 한정하고, 이를 달리하였을 때 등장인물과 영화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주인공은 시나리오를 통해 피해자 주인공과 가해자 주인공으로 조작하고, 배경음악은 폭력 영상과 정서적으로 일치하는 조건 및 불일치하는 조건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시나리오를 읽고, 영상과 정서적으로 일치 또는 불일치하는 음악이 삽입된 폭력 영상을 시청한 후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 영화의 주인공이 피해자인 조건에서 가해자인 조건에 비해 가해자를 더 비난하였고, 가해자가 주인공인 조건에서 피해자가 주인공인 조건에 비해 피해자를 더욱 비난하였다. 둘째, 폭력 영상과 배경음악이 유발하는 정서가 일치하지 않을 때보다 일치할 때에 영화 폭력성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피해자 주인공 조건에서 영상과 배경음악의 정서가 일치할 때 영화를 더 폭력적으로 지각하였고, 가해자 주인공 조건에서 영상과 배경음악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영화를 더 흥미롭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폭력 영화의 맥락에 따라 영화의 폭력성에 대한 시청자의 지각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demonstrating that media violence may be harmful to viewers of violent media. It has been shown that contextual factors (e.g., perpetrator types and motivation for violence) may have a greater influence than quantitative factors (e.g., violence frequency and level of violence) on the viewers.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examine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contextual factors, such as background music and film protagonist, may affect the viewers’ evaluation of characters and film in the violent media. In this study, participants first read a scenario where either a perpetrator or victim of violence was a protagonist, watched a violent film about the perpetrator and victim, in which either a mood-congruent or mood-incongruent background music was inserted, and then completed surveys about the two characters and film. Our results showed first that a level of criticism to the perpetrator was higher in the victim scenario condition than in the perpetrator scenario condition while a level of criticism to the victim was higher in the perpetrator than in the victim condition. Second, a level of perceived violence in the film was rated higher for the mood-congruent background music than for the mood-incongruent music. Finally, the level of perceived violence was rated higher in the victim condition than in the perpetrator condition when the background music was mood-congruent, whereas a level of interest in the film was higher in the perpetrator than victim condition when the background music was mood-incongruent. Taken together,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ontextual factors of violent film can influence how viewers perceive the violence in the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