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회정체성 불확실성과 자기-해석이 내집단 동일시 및 집단 이탈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

Effects of Social Identity Uncertainty and Self-Construal on Ingroup Identification and Intention to Leave the Ingroup: A Test of Moderated Medi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24, v.38 no.2, pp.123-134
https://doi.org/10.21193/kjspp.2024.38.2.003
정옥아(Ocka Jeong) (성균관대학교)
최훈석(Hoon-Seok Choi)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정체성 불확실성(정체성-불확실성, 소속감-불확실성)과 자기-해석의 상호작용이 내집단 동일시를 매개로 내집단 이탈의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검증하였다. 내집단을 ‘한국인’으로 제시하여 한국 대학생(N = 121)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내집단의 전형적 특징이 모호함에 따라 발생하는 정체성-불확실성은 상호의존적 자기-해석보다 독립적 자기-해석이 우세한 경우 내집단 동일시를 부적으로 예측했고, 내집단 동일시가 약할수록 내집단 이탈의도가 강하게 나타나서 조절된 매개효과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자신이 내집단의 전형적 구성원인지가 불확실할 때 경험되는 소속감-불확실성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사회정체성 불확실성과 관련하여 본 연구가 지니는 함의와 장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keywords
사회정체성 불확실성, 자기-해석, 내집단 동일시, 내집단 이탈의도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at stipulates an interaction of the two subcomponents of social identity uncertainty (identity-uncertainty and membership-uncertainty) and individuals’ self-construal in predicting ingroup identification (i.e., national identification), which in turn predicts intention to leave the ingroup (i.e., South Korea). We surveyed a total of 121 South Korean undergraduates and found that identity-uncertainty predicts the exit intention via ingroup identification only among individuals with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By contrast,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when the model included membership-uncertainty as a predictor.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ocial identity uncertainty are discussed.

keywords
social identity uncertainty, self-construal, ingroup identification, intention to leave the ingroup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1-03
수정일Revised Date
2024-03-2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4-0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