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이 연구에서는 취업을 하고 있는 저소득층 기혼여성들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상황적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성역할 고정관념과 관련지어 알아보고, 성역할 성격특성이 스트레스에 대처하여 적응하는 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20대에서 40대의 기혼여성들 중 공장노동자, 파출부, 노점 및 행상, 청소원 등의 단순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108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직업관련 요인, 가정생활관련 요인, 성역할 특성, 생활에 대한 적응 정도 등을 측정하였다. 취업에 따르는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장시간의 노동과 낮은 소득, 해로운 작업환경등 저소득층의 노동상황에 따르는 애로사항과 더불어 자녀의 보호와 교육문제, 집안살림을 제대로 못하는 것, 종일 과로로 건강을 해치는 것 등 전통적인 성역할의 분담에서 오는 문제들을 심각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 특성을 조사한 결과 여성성은 높으나 남성성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 집단이 결혼과 취업을 병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고정관념적으로 성전형화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생활에 대한 적응정도의 예측에는 남성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성성은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이러한 집단특성과의 관련하에 해석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ex-role related stress factors of the carried working women of the low-income class, and to test the effects of sex-role characteristics on their adjustment to everyday life. Married women who are in their 20's to 40's and working in jobs such as factory worker, housemaid, street-vendor and cleaning person were interview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measurement of work-related variab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chores in the family, sex-role characteristics, and the adjustment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in addition to the difficulties of the poor working conditions such as low-income, long working hours, and poor work environment, problems due to stereotyped sex-roles such as taking care of the children, housekeeping, and over-working due to the double roles were serious stress factors for these women. The analysis of the sex-role characteristics showed in general high femininity scores and significantly low masculinity scores which is quite surprising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se women all have jobs outside the family. Whereas the femininity scores did not have any effect, the masculinity scor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diction of the adjustment levels. This result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sex-role characteristics of this subject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