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배하영(성균관대학교) ; 이민규(경상대학교) ; 한덕웅(성균관대학교) pp.17-3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서, 섭식억제, 체형 및 체중 관련 사적자기주의가 섭식동기 및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졌다. 이를 위해서 연구1에서는 섭식억제, 체형 및 체중 관련 사적 자기주의가 정서에 따라서 유발되는 섭식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연구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긍정적 정서가 유발하는 섭식동기는 섭식억제 수준이 낮고 체형 및 체중 관련 사적자기주의가 높은 조건에서 가장 컸다. 연구2에서는 정서, 섭식억제, 체형 및 체중 관련 사적 자기주의가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정서에 대한 주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1, 2의 결과 섭식동기 및 섭식행동에 정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emotion, restrained eating and body shape and weight related private self-focused attention on eating motive and ea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in study 1, the effect of restrained eating, bady shape and weight related private self-focused attention on eating motives were treated. As results, the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the positive emotion induced eating motive were restrained eating and body shape and weight related self-focused attention. In study 2, emotion, restrained eating, and body shape body weight related private self-focused attention on eating behaviors were examined experimentally. As results, the eating behavior by emotion, restrained eating and body shape and weight related self-focused attention interaction model was tested. Just main effect by emotion was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hat emo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eating motives and eating behaviors.

노은아(고려대학교) ; 안창일(고려대학교) pp.127-144
초록보기
초록

신체 불만족, 체중에 대한 걱정, 섭식절제 등은 섭식장애 위험요인들로 알려져 있는데, 여아의 섭식장애 위험요인들에 있어 어머니 자신의 섭식장애 위험요인들 수준 및 관여가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80쌍의 초등학교 5, 6학년 여학생 모녀를 대상으로 각각의 신체불만족 수준, 섭식절제 수준, 체중에 대한 걱정 수준 및 아동의 체중에 대한 어머니의 관여, 아동이 지각하는 자신의 체중에 대한 어머니의 관여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여아의 섭식장애 위험요인들 수준과 어머니의 섭식장애 위험요인들 수준 및 어머니의 관여 수준 모두 정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어머니의 관여수준이 여아의 섭식장애 위험요인들을 더 잘 설명하였다. 특히, 어머니가 보고하는 관여 수준보다 여아가 지각하는 어머니의 관여수준이 높을수록 여아의 신체불만족, 체중에 대한 걱정, 섭식절제 수준이 더욱 높았다.

Abstract

Body dissatisfaction, weight concerns, and restrained eating which are well-known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are more prevalent among girls. Many researchers have agreed that mother has an important role in accounts of the daughter's eating problems.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aternal modelling and concern with girl's weight related with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Participants were 480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girls and their mothers. The result showed both maternal modelling and concern with girl's weigh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irl's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and the most powerful variable to predict every rick factors of girl's was consistently the perception of concern of girl's and the mother's weight concern was the nex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

김윤애(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서경현(삼육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정성진(가톨릭대학교) ; 김인석(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pp.167-18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인들의 건강행동, A유형행동, 대처방식 및 신체증상이 일반인의 그것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0세 미만의 남녀 대학생 346명(재림교인 129명, 비재림교인 217명)과 30세 이상의 성인 335명(재림교인 158명, 비재림교인 177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Framingham A행동유형 검사, 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다차원 대처 척도, 및 전겸구의 신체증상척도이다. 분석 결과, 재림교인은 일반인과 다른 식생활 양식을 보였고 음주와 흡연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림교인의 대처방식은 일반인과 달랐지만, A행동유형과 보고된 신체증상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A행동유형이 대상자의 신체증상을 예언하는 가장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재림교인의 건강에 관한 서양의 선행연구들과 비교하며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type A behavior patterns, coping styles, physical symptoms between Korean Adventists and non-Adventists. The participants were 346 college students (129 Adventists and 217 non-Adventists) and 335 adults over 30 years old (158 Adventists and 177 non-Adventists). The instruments utilized in the present study were the Framingham Tape A Behavior Pattern Scale, 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the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and Chon's Physical Symptom Questionnaire. Results indicated that Adventists' dietary sty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n-Adventists' dietary styles, and Adventists consumed less alcoholic beverage and cigarette than non-Adventists did. Although Adventist's coping styles were different from non-Adventist's coping styl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evel of type A behavior pattern and reported physical symptoms between those two groups. A forwar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ype A behavior patterns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physical symptoms.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antecedent studies on Adventist's health in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한덕웅(성균관대학교) ; 박준호(성균관대학교) pp.183-209
초록보기
초록

스트레스를 유발한 생활사건에 관해서 타인에게 털어놓고 이야기하거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분산하게 되면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반복생각, 생각회피, 생각억제를 하게 되면 이 준거변인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이 가정에 근거를 두고 (1) 선행연구에서 제작한 반복생각, 생각회피 및 자기노출 척도를 수정하여 선행연구(한덕웅, 박준호, 김교헌, 2004)의 결과가 본 연구에서도 반복해서 나타나는지 알아보려고 이 세 변인들이 각각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건강에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보인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2) 통합이론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서 반복생각, 생각회피, 생각억제, 주의분산 및 자기노출 가운데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건강에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3) 사건의 중요도와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서 이 다섯 변인들이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다고 가정하였다. 전국에서 1,02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조사연구의 결과를 보면 위의 가설들이 완전히 지지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한편 앞의 예측변인들이 준거변인들에 미치는 효과는 스트레스 사건의 중요도와 스트레스를 경험한 수준에 따라서 달리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국내외 연구의 결과들과 비교하고 장래 연구의 과제도 논의하였다.

Abstract

It was assumed that, self-disclosure and distraction about the stressful life event would affect positively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health, and that rumination, avoidance, suppression about the stressful life event would affect negatively criteria variables. Based upon the above assumption, following hypotheses were derived and examined through a survey research: (1)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rumination, avoidance, and self-disclosure on subject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health would be significant, respectively. (2) Among rumination, avoidance, suppression, distraction, and self-disclosure, finding the significant main factors affecting criteria variables. (3)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ortance and stress of the stressful event, the above predictors would affect differently criteria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021 college students from five regional areas in Korea.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physical symptoms, and physical illness were also measured as criteria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pported fully or partially the above hypothesis. Of importance, self-disclosure of the stressful life event affected positively subjective well-being when the level of rumination was low. This findings imply that the positive effect of self-disclosure is not consistent to the general situation. Futhermore, the effect of rumination on criteria variables was widely supported among the predicto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원두리(충남대학교)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211-225
초록보기
초록

삶의 의미는 웰빙1)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Steger, Frazier, Oishi와 Kaler(2004)가 새로 개발한 삶의 의미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척도의 심리 측정적 성질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연구 1에서는 3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척도 문항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하위척도들의 신뢰도와 요인 타당도를 평가했고, 연구 2와 연구 3에서는 연구 1의 참여자 중 153명과 175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공존 타당도와 증분 타당도를 분석했다. 한국판 삶의 의미 척도는 미국판 척도의 선행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2개의 안정된 하위요인구조를 보이며 내적 합치도가 높았고, 적절한 공존 타당도와 증분 타당도를 보였다. 또한 본 척도는 문항수가 적어 간편하고, ‘의미의 존재’ 이외에 ‘의미의 추구’를 부가적으로 측정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본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Abstract

Meaning in lif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key elements required for well being. In this study, a translated version of Meaning in Life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Steger, Frazier, Oishi & Kaler(2004) was applied in an effort to investigate its psychometric properties. In study 1, the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re analyzed for 328 university students, whereas in study 2 & 3 concurrent, and incremental validity of the scale are investiga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in a similar way as the original version, displays a stable factor structure and high internal consistency, showing good concurrent and incremental validity. Also, its brief format and ability to measure the search for meaning suggest its sound applicability for the well-being study.

김교헌(충남대학교)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이흥표(대구사이버대학교) pp.227-2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성인들의 병적 도박 시점(1년) 유병률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표집 방법을 통해 모집된 2,867명으로 구성된 이질적 표본을 대상으로 3개의 병적 도박 선별척도(KNODS, KMAGS, KSOGS)를 사용하여 한국 성인들의 병적 도박 유병률을 추정한 결과, 일반 성인 표본(N=908)에서는 KMAGS 1.4%, KNODS 2.6%, KSOGS 4.4%로 나타났다. 도박성 게임 이용자 표본(N=424)의 병적 도박 유병률은 KMAGS 29.0%, KNODS 38.0%로 나타났으며, KNODS로 평가한 인터넷 이용자 표본(N=834)의 유병률은 6.1%로 조사되었다. 지역별 인구분포를 기준으로 유층표집한 전화면접 표본(N=701)에서는 KMAGS 단축형으로 측정한 병적 도박 유병률이 1.3%였다. KSOGS가 허위 긍정으로 인한 유병률 과다추정의 위험성이 있고 DSM-IV의 병적 도박에 대한 진단적 기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고려해서, KNODS와 KMAGS에 기초하여 한국 성인의 병적 도박 유병률을 평가하면, 한국 성인의 병적 도박 유병률은 1.3에서 2.6% 사이로 추정된다. 이는 미국의 전국 조사(NGISC, 1999)의 시점 유병률 0.6%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은 수치인 반면 동일한 동아시아 지역인 홍콩(Wong & So, 2003)의 1.8%와는 유사한 수치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의 시사점들을, 장래 연구와 실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evalence of pathological gambling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The Korean version of pathological gambling screen measures(KNODS, KMAGS, and KSOGS) were administered to 2,867 South Korea residents using various sampling methods. In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1.4% of the population were identified as pathological gamblers through KMAGS which is the most conservative measure while the KNODS identified 2.6% and the KSOGS identified 4.4% of the population as pathological gamblers in the general sample (N=908). In the gambler sample (N=424), the KMAGS identified 29.0% and the KNODS identified 38.0% of the samples as pathological gamblers. Also KNODS identified 6.1% of the sample as pathological gamblers in the internet sample (N=834). Finally, in the telephone interview sample (N=701), the KMAGS-SF identified 1.3% of the sample as pathological gamblers. When we consider that risk of overestimation of pathological gambler due to a false-positive in KSOGS and KSOGS don't fully reflecting diagnosis criteria of DSM-IV, prevalence from 1.3% to 2.6% seems to be appropriate as estimated of prevalence of pathological gambling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The degree of concordance amongst the measures, consideration for future studies and practical aspects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