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현정() ; 현명호(중앙대학교) pp.595-609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구조화된 글쓰기가 대인관계 갈등을 겪은 사람의 반추, 회피, 우울,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인관계 갈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20대 36명을 구조화된 글쓰기 처치 집단에 13명, 비-구조화된 글쓰기 비교 집단에 13명, 대기통제 집단에 10명을 할당하였다. 글쓰기 프로그램은 총 4회기 동안 20분씩 갈등 경험과 관련하여 글을 썼으며, 대기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았다. 참가자는 프로그램 실시 전, 프로그램 실시 직후, 프로그램 실시 1주일 후, 총 3회에 걸쳐 반추, 회피, 우울, 분노를 측정하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처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글쓰기 집단은 대기 통제 집단에 비해 반추, 회피, 우울이 감소하였으며, 이후의 추수 검사에서도 그 효과는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노의 경우 프로그램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구조화 글쓰기 집단과 비-구조화 글쓰기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한 사람의 반추, 회피 우울을 낮추는 데 효과적인 개입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살피고,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ructured writing therapy on anger, depression, rumination and avoidance in interpersonal conflicts. To examine this, 36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with interpersonal conflict experience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a treatment group with structured writing program (N=13), a comparison group with non-structured writing program (N=13), and a waiting-list control group (N=10). During four sessions of 20 minutes each, the two writing groups wrote about their conflict experiences, whereas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with any writing program.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n anger, depression, rumination and avoidance in a pretest, a posttest and a follow-up test.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treatment effect, and the result showed that writing groups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ir level of depression, rumination and avoidance subsequent to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obtained laevel was seen to last even until the follow-up test. Nevertheless in terms of anger, no significant change was seen in the writing groups compared with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In addition,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tructured writing group and the non-structured writing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rrespective of being structured, writing therapy is an effective involvement method for those who have interpersonal conflicts to reduce depression, rumination and avoidanc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work.

심교린(아주대학교) ; 김완석(아주대학교) pp.611-629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2
초록보기
초록

노화로 인한 많은 변화 가운데, 특히 신체 건강과 통증은 노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일반적으로 만성적인 통증을 경험하는 노인들은 더 우울해지고, 삶의 질의 저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심신건강과 관련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명상 접근법인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K-MBSR)이 노인들의 통증과 노인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8회기의 K-MBSR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비슷한 시기에 8회기의 일반적인 노인대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제집단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추수(4개월 후)에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마음챙김, 통증파국화(K-PCS), 통증강도, 노인우울(K-GDS)을 수집하였으며, 각 집단별 프로그램 출석 및 결측치 여부에 기초하여 최종 43명(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21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1집단간–1집단내 혼합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사후 마음챙김, 통증파국화, 통증강도, 노인우울 모두에서 집단간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통증파국화와 통증강도, 노인우울은 추수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K-MBSR)이 노인의 통증강도와 통증파국화, 노인우울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중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와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Abstract

Among various changes due to aging, especially physical health and pain are a very important issues for the elderly. It is generally known that elderly people suffering from chronic pain become more depressed and start experiencing a lower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K-MBSR, a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pai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8th session of the K-MBSR program, and from the control group participating in the 8th general elder school program at a similar time. Data on mindfulness, Korean pain catastrophizing scale, pain intensity, and elderly depression(K-GDS) were collected in the form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before, after, and after the programs (4 months after each program). Based on the program attendance and missing values ​​of each group, the data of the final 43 subjects (22 i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21 control subjects) were used to perform a mixed-ANOV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groups at the post- in mindfulness, pain intensity, pain catastrophizing, and elderly depression. Especial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pain catastrophizing, and pain intensity. The results imply that K-MBSR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the intensity of pain, pain catastrophizing, elderly depression.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이현숙(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황성훈(한양사이버대학교) pp.631-65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단회기 마음챙김-자비명상이 분노의 역기능적 표현과 반추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판 상태 특질 분노 척도(STAXI-K)의 분노 표현 점수가 상위 30%에 속하는 대학생 30명을 선발하여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에 15명씩 무선 할당한 후 처치 집단에는 단회기 마음챙김-자비명상을, 통제 집단에는 단회기 분노조절 심리교육을 실시했다. 두 집단 모두 처치 전 시점과 처치 후 시점에서 상태 분노와 분노 표현을 측정했으며, 24시간 후에는 분노 반추를 평가했다. 그 결과, 단회기 마음 챙김-자비명상이 처치된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마음챙김 하위요인 중 현재 자각이 증가하였고 친지 및 일반인 자비가 향상되었다. 처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분노 표현의 하위 요인 중 분노 통제가 증진되었고 상태 분노는 낮아졌으며, 분노 기억 반추와 원인 반추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단회기 마음챙김-자비명상 처치가 타당하게도 마음 챙김과 자비를 향상시키며, 그 결과로 분노 현장에서 냉정을 유지하며 문제해결에 적합하게 처신할 수 있게 분노 통제가 개선되고, 사후의 반추는 차단되는 분노 조절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mindfulness-compassion meditation on dysfunctional expression and rumination of anger. Using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TAXI- K), 30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escending order of score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15 students in each group. A single-session mindfulness-compassion meditation was administer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with psychological education for anger modulation to the control group. In both the groups, the state of anger and anger expression were measur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24 hours after the experimental session, anger rumination was evaluated. The treatment group showed higher present-moment awareness, increased self-compassion towards acquaintances and general people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 main outcome, the treat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in anger control and the reduction in the state of anger. In addition to the increased modulation of present anger, anger memory rumination and cause rumination were also blocked more effectively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revealed that mindfulness-compassion meditation improved the functional expression of anger and discontinued the chain of anger rumination through changes in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possible future research issues.

김지영(서울사이버대학교) pp.657-67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성격강점이 자연발생적으로 어떠한 군집을 형성하는지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탐색하고, 분류된 군집에 따른 행복과 우울의 차이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만 20세 이상 827명의 참여자를 5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의지적 강점이 뛰어난 ‘의지집단’은 삶의 만족도와 행복 점수가 가장 높고 우울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다른 집단보다 연령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절제 및 정의 관련 강점이 뛰어난 ‘사회집단’은 삶의 만족도와 행복 점수가 가장 낮고 우울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과 기혼, 무교, 전일제 근무자 비율이 가장 많았다. 지식 관련 강점이 뛰어난 ‘지성집단’은 우울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어리고 미혼과 학생 비율이 가장 많았다. 대인관계적 강점이 뛰어난 ‘관계집단’은 행복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여성과 시간제 근무자 비율이 가장 많았다. 초월적 강점이 뛰어난 ‘초월집단’은 삶의 만족도, 행복, 우울에서 평균 수준을 보였으며, 연령이 가장 높고 기독교와 전업주부 비율이 가장 많았다. 이 연구는 성격강점의 자연발생적인 군집을 경험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성인의 심리적 건강 증진 개입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natural groups based on Korean adult's character strengths using cluster analysi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happiness, depress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groups. The combinations of six virtues drawn from 827 adults over 20 years old formed five clusters. The 'Willing' group with high willing strengths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satisfaction with life, happiness and ages and the lowest scores on depression. The 'Social' group with high temperance and justice showed the lowest scores on satisfaction with life and happiness and significantly high scores on depression. This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male, married, no religion, and full-time workers. The 'Intelligent' group with high knowledge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depression and had the highest ratio of young, unmarried, and student. The 'Interpersonal' group with high interpersonal strengths showed the significantly low score on happiness and had the highest ratio of female and part-time workers. The 'Transcendent' group with high transcendence showed the mean scores on satisfaction with life, happiness, and depression. This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old people, Christians, and homemakers. The current study is considered as significant as it empirically identified the natural clusters based on the strengths of the adult Koreans and is believed to be useful for the intervention of adult's psychological health promo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최철원(경북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 장문선(경북대학교) ; 곽호완(경북대학교) pp.677-700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불안수준과 위험지각 수준이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범죄단어와 중립단어로 구성된 변화탐지과제와 단어 실험 현출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강하기 위해 세 가지 그림유형(위험물 포함 + 위험물 변화, 위험물 포함 + 중립물 변화, 중립물 포함 + 중립물 변화)을 통해 비교맹시과제 실험을 함께 실시하여 통제집단과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32명을 대상으로 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BAI)와 위험지각척도(The Domain Specific Risk Taking Scale: DOSPER)를 실시하여 DOSPER 점수 상위 20% 이상을 위험지각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에서 BAI가 22점 이상인 집단을 불안과 위험지각 모두 높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불안+위험지각 집단(21명), 위험지각 집단(21명), 통제집단(21명)을 대상으로 범죄단어와 중립단어로 구성된 변화탐지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집단의 주효과는 유효하였지만 사후검증 결과 불안+위험지각 집단, 위험지각 집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서조건과 단어자극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지만 긍정정서일 때 범죄단어에 더 빠른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의 영향으로 다른 정보들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판단이 감소하였으며 불안+위험지각 집단은 불안의 영향으로 부정적 정서 유발 집단이 긍정정서 보다 느리게 반응하며 위험지각 집단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실험2, 비교맹시과제의 세 가지 그림자극 유형(위험물포함 + 위험물 변화, 위험물 포함 + 중립물 변화, 중립물 포함 + 중립물 변화)을 통해 주의 편향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불안+위험지각 집단, 위험지각 집단의 반응시간은 불안에 의한 회피반응으로 차이는 나지 않았다. 둘째, 그림자극유형에서 상이조건에서 위험물 포함 + 위험물 변화, 위험물 포함 + 중립물 변화, 중립물 포함 + 중립물 변화 순으로 빠른 반응의 결과를 도출되었다. 반응시간분석으로 본 연구결과는 전체적으로 불안경향집단과 위험지각 집단이 위협자극에 대해 주의편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주의특성으로 통제집단과는 확연히 구별됨을 볼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administered (a)Change Detection Task, which consists of criminal words and neutral words, and (b)Comparison Blindness Task with three types of pictures(Risk+Risk Change, Risk+Neutral Stimulus, Neutral Stimulus+ Neutral Stimulus Change) to find the effect of anxiety levels and risk perception on attentional bias,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and conducted Comparison Blindness Task by presenting pictures as an alternative of words to supplement limits of Change Detection Task. Also, BAI and DOSPER were conducted among 432 undergraduate students and more than 20% of DOSPER scores was classified as the Risk Perception Group, out of which participants with more than 22 BAI scores were selected as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both anxiety and risk perception. The Anxiety&Risk Perception Group(n=21), Risk Perception Group(n=21), and Control Group(n=21) conducted Change Detection Task. Thereafter,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nxiety&Risk Perception Group and the Risk Perception Group, while the main effect among three groups is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al conditions and words stimuli is significant and responses to criminal words are faster in case of positive emo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s information increases, decision ability decreases by the effect of emotion, and the Anxiety & Risk Perception Group responded slowly in the condition of negative emotion and did not display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isk Perception Group. In Experiment 2, attentional bias was tested through three types of pictures in Comparison Blindness Task.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ime between the Anxiety+Risk Perception Group and the Risk Perception Group because of avoidant responses to anxiety. In the aspect of different conditions of picture stimuli types, the results showed response time was fast in Risk+Risk Change, Risk+Neutral Stimulus Change, Neutral+Neutral Stimulus Change in order. Finally, through response tim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e group with anxiety tendencies and the Risk Perception Group had attentional bias to risky stimuli and these attentional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those groups from the control.

최지선(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이정미(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pp.701-720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Webster(2011)가 균형적 시간조망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Balanced Time Perspective Scale(BTPS)을 한국판 척도로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원척도 문항들에 대해 번역과 역번역을 진행하였고, 전문가의 내용검토과정을 거쳐 문항을 수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척도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663명(M=21.53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표본 1(232명)의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래긍정 시간조망’과 ‘과거긍정 시간조망’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총 2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한국판 균형적 시간조망척도(K-BTPS)가 구성되었다. 이어 구성타당도와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관련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한 준거타당도 역시 양호한 수준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표본 2(431명)의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앞 선 분석에서 제안된 2요인 측정모형이 수용할만한 정도의 적합도를 보여주었다. 덧붙여 평균을 기준으로 구분한 균형적 시간조망 하위집단별 행복, 삶의 만족, 자존감을 비교하여 척도의 유용성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K-BTPS의 한국 타당화 과정에서 발견된 연구의 한계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Balanced Time Perspective Scale (K-BTPS) involving undergraduate students. Typically, 663 college students (M=21.53) were recruited from several universities in Seoul, South Korea. The study sample included 271 men (32.73%) and 446 women (67.27%), randomly divided data into two groups for analysis. Data from Sample 1 (N=232) was analyzed for EFA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nd data from Sample 2 (N=431) was analyzed for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factor structure of K-BTPS was applicable for use on Korean college students. Second, the K-BTPS showed moderate reliability with scales of happiness (OHQ), life satisfaction (SWLS), self-esteem (RSES) and with two subscales (ZTPI) of the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Third, the K-BTPS showed a good test-retest reliability with respect to two-week intervals. Forth, based on the mean of K-BTPS scor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to four sub-groups as time restrictive, futurist, reminisces, and time expansive category and the relevance between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other related variables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work.

현혜민()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721-738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Frost 등(2004)이 개발한 저장 척도 개정판(Saving Inventory–Revised: SI-R)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타당화한 한국판 저장 척도 개정판(Korean version of SI-R: K-SI-R)과, 수집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강박 신념, 우유부단성과의 상관을 살펴봄으로써 강박 특성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척도의 이론적 타당화를 확립하고자 했다. 연구 1에서는 K-SI-R의 개발을 위해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판과 동일한 ‘버리지 않음’, ‘어질러짐’, ‘과도한 습득’의 3요인이 추출되었고, 총 18문항으로 이루어진 K-SI-R을 최종 구성하였다. K-SI-R의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어판 단축형 강박증상목록(OCI-R-K), 정적 및 부적 정서 척도(PANAS)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K-SI-R의 변별 및 수렴 타당도도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차 타당화를 위해 연구 2에서는 일반인 388명을 대상으로 K-SI-R의 3요인 구조, 18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K-SI-R과 강박 신념(OBQ-44), 우유부단성(FIS)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해외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Saving Inventory –Revised(K-SI-R) and validate K-SI-R. In Study 1, Frost et al‘s(2004) Saving Inventory-Revised was translated into Korean language. Factor analysis for the data of 190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ree factors: Difficulty discarding, Clutter, and Acquisition Problems.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91) and test–retest reliability(r=.86) of K-SI-R were good. The correlations between K-SI-R and the other relevant measures such as Obsessive Compulsive Inventory-Revised-Korean, and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hedule were revealed as expected, and the validity of K-SI-R was found to be appropriate. In Study 2,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mploying 388 participants. In addition, hoarding tendency measured by K-SI-R exhibit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bsessive beliefs (OBQ-44) and indecisiveness (FIS) as in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work with possibl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김경은() ; 정남운(가톨릭대학교) pp.739-764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 대학생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외상경험질문지, 한국판 경험질문지(EQ), 친밀관계경험검사 개정판(ECR-R), 한국판 외상 후 성장(K-PTGI), 성장적 반추, 특질메타-기분(TMMS), 조망수용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변인들의 상관관계 등 기술 분석 후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정신화와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정신화와 부적 상관을, 정신화는 성장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과, 성장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애착회피는 성장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과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애착불안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둘째, 애착회피의 경우 정신화가 성장적 반추를 완전 매개하고,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을 매개하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애착불안의 경우는 정신화가 성장적 반추를 불완전 매개하였는데,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크기가 비슷하고 방향이 반대여서 총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and intentional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present study, 469 samples with a level above normal distres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revealed tha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entalization, and mentaliza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ntional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hile attachment avoida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tentional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ttachment anxiety exhibit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m. In addition, attachment avoidant had an in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mentalization and intentional rumination in sequence. Mentaliz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t and intentional rumination. Attachment anxiety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but also an indirect effect on intentional rumination. Moreover, the direction of the effects was the opposite and their sizes were almost the same. Thus, the complete effect on intentional rumination was not significant, and neither was the in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attachment avoidant and attachment anxiety also exihibited a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여혜경(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상담 및 임상심리전공) ; 황성훈(한양사이버대학교) pp.765-784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09
초록보기
초록

사회불안과 섭식문제는 공병률이 높은 병리인데, 본 연구는 전자가 후자로 옮아가는 과정을 인지적 변인인 이분법 사고와 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성인 여성 187명에게 한국판 식사태도 검사(KEAT-26), 사회공포증 척도(SPS), 이분법적 사고 지표 확장판(DTI-35), 반추적 사고 스타일 질문지(RTSQ)를 온라인 설문으로 실시했다. SPSS 24.0과 Process Macro 2.16을 사용해서 이분법 사고와 반추 각각을 매개 변인으로 하는 두 개의 단순 매개 분석을 했고, 이어서 두 변인이 한 모형 안에서 차례대로 작용하여 사회불안과 섭식문제의 관계를 직렬 매개하는지를 분석했다. 먼저, 단순매개분석에서 이분법 사고는 사회불안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여서, 사회불안이 높으면 사소한 실수도 파국화하는 이분법적 사고로 인해 이상섭식행동이 야기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이어서, 반추적 사고도 이들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여서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이 사후처리로 반추적 사고를 한 결과로 이상섭식행동이 증가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최종적인 직렬매개분석에서는 두 매개 변인의 순차적 매개 효과가 유의하여서, 사회불안이 높은 경우 이상에 비춰 현실을 이분법적으로 판단하면 그 괴리로 반추적 사고가 촉발되어 이상섭식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Social anxiety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are highly comorbid. Previous studies indicate a strong link between them, but the underlying mechanism behind the link remains unclea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SA)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AEB) with focus on the possible mediating role of dichotomous thinking (DT) and ruminative thought (RT). The participants were 187 female students at Cyber University who had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Social Phobia Scale, Dichotomous Thinking Index-35, and Ruminative Thought Style Questionnaire. Our results indicate that DT and 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 and AEB both, respectively and sequentially.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DT and RT are the cognitive mechanisms through which SA goes over to AEB. It is suggested that SA heightens the tendency to decide situations in either black or white way, which supplies the rich materials for ruminative thought that culminates in a worsening of AEB. In the present stud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work are also discussed.

고은심() ; 이민규(경상대학교) pp.785-800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 이론을 바탕으로 침습적 반추, 정서조절방략 그리고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과 의도적 반추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대∼60대 성인 남녀 401명을 대상으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그리고 정서조절방략에 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검토하였고, AMOS 21.0을 사용하여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및 간접효과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정서조절방략을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침습적 반추는 의도적 반추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침습적 반추는 정서조절방략과 의도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emotion regul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s mediating variable, along with an examination of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he trauma experienced by adults in Korean societ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traumatic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event-related rumination,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ere administered to 401 adults in the whole countr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 analysis using SPSS 21.0, AMOS 21.0.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In addition,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deliberate ruminatio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ve indirectly affected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deliberate rumination have indirectly affected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multiple indirect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deliberate thoughts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present study, few suggestions and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are discussed.

김시온(충남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 진병주(충남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 김덕용(중앙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 조성근(충남대학교) pp.801-811 https://doi.org/10.17315/kjhp.2018.23.3.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아고갈 상태에서 냉압과제 수행동기가 통증반응(인내, 강도, 불쾌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건강한 여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연구 결과, 통증인내에 대한 자아고갈과 동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했다. 구체적으로, 고-자아고갈 조건에서 고-동기 집단은 저-동기 집단에 비해 통증인내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저-자아고갈 조건에서는 동기 집단에 상관없이 통증인내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통증강도에 대한 동기의 주효과가 유의했고, 이는 고-동기 집단이 저-동기 집단보다 통증강도를 더 크게 보고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자아고갈의 주효과, 자아고갈과 동기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통증불쾌감에 대한 자아고갈과 동기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통증반응에 있어 동기적 맥락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a cold pressor task on the pain responses (tolerance, intensity, unpleasantness) in the state of ego deple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employing 78 healthy female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in Daejeon, Republic of Korea.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ego depletion and motivation for pain tolerance. Specifically, under conditions of high ego depletion, pain toler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ly-motivated group than in the low-motivated group. The difference in pain tolerance was not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motivation group in the low ego depletion condition. The main effect of motivation on pain intensity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highly-motivated group reported a greater intensity of pain than the low-motivate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main effects of ego deple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ego depletion and motivation were not significant. For pain unpleasantness, the main effects of ego depletion and motiva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ego depletion and motivation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tivational contex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ain respons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