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강상현(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243-264
초록보기
초록

사이코드라마가 감정표현불능증, 신체화 증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예비연구에서는 감정표현불능증, 신체화 증상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매개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감정표현불능증이 삶의 질의 취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감정표현불능증이 신체화 증상의 매개를 통해 삶에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직선적인 매개모델과 대안모델들을 34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SCL-90-R 및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 삶의 질 척도를 실시하여 검증한 결과, 다른 모델에 비해 부분 매개모델이 자료에 더 적합하였다. 부분 매개모델을 기초로,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점수 49점 이상의 감정표현불능증인 대학생을 대기통제집단과 사이코드라마 집단에 8명씩 무선 배정한 뒤 사이코드라마 집단에 대해 2박 3일(총 8회기)에 걸쳐 사이코드라마를 실시하였다. 사이코드라마 집단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의 감소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신체화 증상과 삶의 질에는 효과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매개모델의 제한점과 이를 타당화 하기 위한 시사점 그리고 사이코드라마 실시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sychodrama on the alexithymia, somatization and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validity of a mediation model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alexithymia, somatization and quality of life was tested. The assumption was that alexithymia as vulnerability variable might predict quality of life mainly through the mediation of somatization. The linear mediation model and two alternative models were tested in 342 college students using Korean Alexithymia Scale, SCL-90-R, and Korean version of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ally mediating model fitted the data very well.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Psychodrama was played for three days(8 sessions). Participants who scored 49 or more of Korean Alexithymia Scale were randomly assigned to 8 in the psychodrama group and 8 in the waiting list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psychodrama had an effect on alexithymia, while had not on somatization and quality of life. Finally, the limitation and suggestions of the partially mediating model and psychodrama were discussed.

박경(서울여자대학교) pp.265-28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정적인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문제해결과 완벽주의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남녀 545명을 대상으로 부정적인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과 완벽주의의 중재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BDI, 부정적인 생활스트레스 질문지, 문제해결척도(PSI),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와 문제해결, 평가적 염려 완벽주의는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은 우울에 대한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의 역할을 완충하는 중재변인으로 작용하였으나 매개효과는 밝혀지지 않았다. 반면에 평가적 염려 완벽주의는 중재변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동시에 매개변인으로도 작용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해결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 지각의 증진과 평가적 염려 완벽주의를 개선하는 인지적 중재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oles of problem solving and perfectionism for the process from life stress to depress. To identify the roles, 545 college students of both genders were studied for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the problem solving and perfectionism on the process from negative life stress to depress. The research tools used on them were BDI, negative life stress questionnaire, PSI, and MPS. The result was that negative life stress, problem solving,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degree of depress. It was testifi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operated as a factor to moderate the problem caused by negative life stress as well as a mediate factor. In case of Problem solving, it operated as a factor to moderate, but it was not proved to be a mediate factor. These results identified the importances of cognitive mediation to improve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of problem solving ability promotion that affected the depress syndrom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김교헌(충남대학교) ; 성한기(대구가톨릭대학교) ; 이민규(경상대학교) pp.285-3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1) 한국 도박자들의 심리사회적 특징 (2) 문제성 및 병적 도박자들의 심리사회적 특징 (3) 다양한 도박성 게임 장소별 문제성 및 병적 도박자들의 유병률 (3) 문제성 및 병적 도박의 예측 변수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986명의 성인 남녀가 자신의 도박경험, 도박성 게임에 대한 태도, 도박 동기 및 행동과 DSM-IV의 병적 도박을 선별하기 위한 도구인 한국판 NODS의 기준을 물어보는 개별 면접에 응하였다. 986명의 연구 참여자들은 내국인 출입 카지노인 강원랜드(N=220), 서울 경마장(N=126), 서울 경륜장 고객(N=109), 단도박 협심자(N=67), 도박 사범(N=7) 및 초중고 교사(N=344) 집단으로 나뉘어 진다. 연구 결과, 한국에서 도박성 게임에 가장 빈번하게 참여하는 전형적인 집단은 30대와 40대의 남성 집단이었다. DSM-IV 진단기준에 따른 병적 도박자의 유병률은 교사집단의 경우는 3%대 였으며, 도박성 게임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에서는 18~39% 그리고 단도박 협심자와 도박 사범 집단에서는 43~63%였다. 만성적 도박 습관, 돈을 따기 위한 도박 동기, 도박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심한 우울 경험 등이 병적 도박의 심각성을 예측하고 있었으며, 사교적인 동기로 도박을 하려는 정도가 높거나 인생에 대한 주도적인 태도가 높은 것 등은 병적 도박을 줄이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1)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mblers; (2)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ers; (3) estimating the ratio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ers across various gambling game sites and (4) predictors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986 Korean adul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 attitudes, beliefs, motives, and behaviors toward gambling and DSM-IV pathological gambling criteria for the period of July to August, 2002.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the Kangwon Land casino(N=220), Seoul horse racing(N=126), Seoul cycle racing(N=109), Gamblers Anonymous(N=67), gambling criminals(N=7),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N=344).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ale and 30s and 40s years old people participate in gambling game most frequently in Korea. The prevalence of pathological gambling(DSM-IV criteria) were about 3% among teachers group, 18%~39% among gambling game group, and 43%~63% among GA & gambling criminals group. Habits, attitudes and motivation toward gambling, proactive coping and depression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severity of pathological gambling.

김종우(경희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 이민수(고려대학교) ; 박동건(고려대학교) pp.321-33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화병환자의 진단을 위해 선행연구들과 임상사례보고서를 토대로 화병에 대한 진단준거를 만들고, 이를 기초로 하여 화병면담검사(Hwa-Byung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HBDIS)를 제작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K대학 신경정신과 우울증 센터를 방문한 환자 55명과 K대학 한방병원 화병클리닉을 방문한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화병면담검사를 실시하였다. 화병면담검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 1개월 후 재검이 가능한 28명에 대해 두 명의 임상가가 화병면담검사를 재실시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82로 나타났다. 다음 화병면담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환자의 차트를 보고 두 명의 임상가가 내린 임상진단과 화병면담검사를 통해 내린 진단의 일치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반적 일치도(Overall agreement)는 .85로 나왔고, 진단의 민감도(Sensitivity)는 .83, 특이도(Specificity)는 .88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화병면담검사가 화병을 진단하는데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Hwa-Byung has long been known as a form of psychogenic illness among lay people in Korea and recently listed as a culture-bound syndrome of Korea in DSM-IV. However, there has been neither diagnostic criteria nor diagnostic instrument, which rendered empirical studies liable to subjective bi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diagnostic criteria of Hwa-Byung, develop a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Hwa-Byung, and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Participants were 55 patients visiting the depression clinic and 26 patients visiting the Hwa-Byung clinic. The diagnostic criteria was first determin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findings and clinical case studies. Then the initial items of Hwa-Byung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HBDIS) were selected to obtain information necessary to diagnose Hwa-Byung. This initial interview schedule was administered to 31 patients, which results were discussed and reviewed by all the authors. After some additional modifications based upon interviewers' comments, the present form of the instrument was completed and conducted to 81 patients. Independent clinical diagnoses for each patient were made by psychiatrists, psychiatrists of oriental medicine and clinical psychologists, which rate of agreement was demonstrated to be .84.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HBDIS was examined for 28 patients and calculated to be .82. The validity of the HBDIS was evaluated on the extent to which HBDIS diagnosis assigned to 81 patients agreed with diagnosis determined by clinicians. As a result, Overall agreement was .85, Sensitivity was .83, and Specificity was .88. The kappa coefficient and other validity indicators were in the acceptable range (.70 - .88), indicating that the HBDIS was valid. Limit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HBDIS were discussed.

서경현(삼육대학교) ; 전겸구(대구대학교) pp.333-35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성이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대학생 279명(남: 155, 여: 124)이었으며, 그들의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29세(M=20.91, SD=2.02)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한국판 영적 안녕 척도,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척도, 및 다차원 대처 척도이다. 한국판 영적 척도는 비교적 안정된 요인구조와 신뢰도를 나타냈다. 분석 결과, 종교적 안녕은 단지 가족과의 관계에서의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었지만, 실존적 안녕은 이성관계에서의 스트레스를 제외한 모든 생활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영적 안녕 수준은 적극적 대처, 긍정적 해석, 정서적 진정, 정서적 지원 추구, 종교적 추구와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에, 고집, 체념, 자기비판과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집은 단지 종교적 안녕과 관계가 있으며, 적극적 대처와 체념은 실존적 안녕과 관계가 있었다. 이런 결과는 건강과 질병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에 덧붙여서 영적인 측면을 고려할 필요성을 암시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pirituality, life stress, and coping by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79 college students (155 males and 124 females). The instruments utilized in the present study were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the Life Stress Scale, and the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showed satisfactory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existential well-be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ost of life stress domains except life stress with lover, whereas religious well-be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amily life stress. In addition, spiritual well-be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tive coping, positive interpretation, positive comparison, emotional pacification, seeking social support, and seeking religious coping. On the other hand,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rseverance, fatalism, and self-criticism.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biopsychsocialspiritual model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and health and/or disease in terms of preven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이인혜(강원대학교) pp.351-378
정애자(전북대학교) ; 유제민(강남대학교) ; 김용희(경희대학교) pp.379-39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세분화된 의식소실기간의 기준 및 그 타당성을 확인함으로써 뇌 손상 부위 이외의 임상적 판단 준거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Lucas(1998)나 Golden과 Golden(2003)의 전제를 수용하여 전통적으로 뇌손상의 심도를 구분하는 기준이었던 의식소실의 기간이외에 뇌 영상 검사상의 병변 여부, MMSE, 지능 및 기억 지수를 모두 고려한 인지기능의 손상 정도를 추가적 변별 기준으로 채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사고 이전에 다른 신경과적 혹은 정신과적 질환이 없었고 한 차례의 교통사고나 재해 등으로 뇌손상을 입은 후 진단 및 감정 목적으로 의뢰된 83명의 환자였다. 외상성 뇌손상환자들은 의식소실의 기간과 인지 기능의 저하 정도에 따라 정서 및 성격상의 변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구분 각각에 따라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정서 및 성격 변화를 다면적 인성검사나 Rorschach검사의 하위 지표들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는 경도의 손상환자들은 주로 신경증적인 호소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뇌손상의 심도가 심할수록 정신병적 경향과 관련된 척도들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이것은 의식소실의 기간이나 인지기능의 저하를 기준으로 한 구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결과여서 논란이 있는 두 기준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외상성 뇌손상 부위와의 관계가 논의되었으며 이를 고려한 통합적인 진단 기준의 필요성과 삶의 질을 고려한 장기적인 재활 방안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severity of traumatic brain injury(TBI) and personality and emotional changes after head trauma. The severity of traumatic brain injury was diagnosed by the length of loss of consciousness and the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separately. MMPI and Rorschach was administered to 83 patients after mild head trauma. The data indicated that the neurotic symptoms increased in case of mild TBI patients and the more TBI is severed, the more psychotic problems is increased. The integrated model consist of loss of consciousness and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will fit diagnosis on TBI very well when the data from various impairment location were added. The future study on TBI is desirable to simultaneous consider patient's well being and longitudinal rehabilitation included personality and emotional changes.

김종남(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 김승연(고려대학교) ; 유범한(고려대학교) ; 허지원(고려대학교) pp.395-4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암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대처양식을 측정하기 위해 Moorey, Frampton과 Greer(2003)가 개발한 암 대처 질문지(Cancer Coping Questionnaire)를 한국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 한국의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타당화 작업을 한 결과를 기술한 것이다. Moorey 등(2003)의 질문지는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개인내 대처척도와 대인간 대처척도로 나뉘어진다. 본 연구자들은 이들의 질문지에서 개인내 대처척도의 하위척도 중 대처와 긍정적 초점, 아울러 대인간 대처척도의 문항을 보강하기 위해 10개의 문항을 추가하여 새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는 국립암센터의 유방암센터 외래환자 41명,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암센터의 혈액암 환자 22명과 기타암 환자 43명 등 총 106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1차 수정한 질문지에서 문항-전체 상관계수가 .40 이상인 문항만을 선별하자 26개의 문항이 남았으며, 이를 요인분석하여 최종 한국판 암대처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요인분석 결과는 Moorey 등(2003)의 결과와 대체로 유사하게 나왔다. 크게 개인내 대처척도와 대인간 대처척도로 나뉘어지며, 개인내 대처척도는 긍정적 재구조화(positive reframing)와 적극적 대처, 계획세우기 등의 하위 척도로 나뉘어졌다. 본 질문지의 신뢰도 계수는 .72∼.90으로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타당화 작업을 위해 대처전략 척도(Holahan & Moos, 1987)와 상관관계를 구하였는데, 한국판 암대처 질문지의 대부분의 소척도와 대처전략 척도의 적극적-인지적 전략, 적극적-행동적 전략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회피적 전략과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 밖에 한국판 암대처 질문지와 삶의 질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나, 대체로 낮은 상관을 얻었다.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to validate Korean-Cancer Coping Questionnaire(K-CCQ). To do so, we at first translated England-Cancer Coping Questionnaire(Moorey, Frampton, & Greer, 2003), and then added 10 items to measure cancer patients' coping style more accurately and consistent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6 cancer patients, that is, 41 breast patients visiting National Cancer Center and 65 several kinds of cancer patients being treated at Anam Hospital of Korea University. We choose 26 items through item-total correlation, and then performe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are quite similar to those of Moorey et al.(2003). K-CCQ is composed of individual coping scale and interpersonal coping scale, and the individual scale is subdivided by positive reframing, coping, and planning. The reliabilities of the K-CCQ's subscales are almost high level ranging from .72 to .90. In addition, we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K-CCQ and Coping Strategy(Holahan & Moos, 1987) to validate K-CCQ. The correlations of subscales of K-CCQ with active-cognitive strategy and active-behavioral strategy are significantly meaningful, but the correlation of K-CCQ with avoidance strategy is not significant. Also, the correlations of K-CCQ's subscales with EORTC QLQ-C30 are almost low.

김교헌(충남대학교) ; 전겸구(대구대학교) ; 박창남(충남대학교) pp.415-44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Spielberger와 Vagg(1999)의 직무스트레스척도(Job Stress Survey: JS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의 직장인들에서 적용가능한 한국판 직무스트레스척도(K-JSS)를 개발하려 하였다. 다수의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원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이를 정부투자 기관인 공사나 방위 산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 49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K-JSS의 30문항은 문항-전체 상관이 높고 내적합치도로 알아본 신뢰도도 만족할 정도로 높았다. 아울러 척도에서 얻을 수 있는 3가지 스트레스 지수가 불안, 우울 및 신체병리 증상과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주관안녕과는 유의한 부적인 상관을 보여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척도의 요인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원판과 유사한 2요인 구조를 보여주었으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단일 요인 구조를 시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직무 스트레스 이론 및 측정과 관련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Korean version of the Job Stress Survey(Spielberger & Vagg, 1999), which was designed to assess generic sources of occupational stress encountered by workers employed in wide variety of work settings. 490 employees of the four public enterprises were asked the Korean Job Stress Survey. 30 items of the K-JS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tem-total correlation. 3 indexes of K-JSS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ies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nxiety, depression, and psychosomatic complains. K-JSS also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cognition and emotion. Factor structure of K-JSS investiga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sistent with that(two factors) of the original JSS, b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single factor structur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job stress theory and research.

박군석(성균관대학교) ; 한덕웅(성균관대학교) ; 이주일(한림대학교) pp.441-470
장현갑(영남대학교) pp.471-492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pp.493-510
초록보기
초록

최근 비만한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비만관련 문헌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로 비만 환자들을 다루는 현장에서 일하는 건강심리학자들이 비만과 관련된 최신지견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이미 잘 알려지고 현장에서 응용되고 있는 사실들을 기점으로 지난 4, 5년간 비만과 관련된 연구를 검색해서 신뢰롭고 타당하면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논의했다. 약물요법이나 수술보다도 심리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었고 성인과 아동, 청소년 모두를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Abstract

As the prevalence of obesity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n all age groups, studies relevant to obesity have been enormously accumulated. Establishing the known fact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current developments in treating obesity and practical information for clinicians who work in the field of health psychology. In reviewing the past 4, 5 years of published research on obesity, healthy methods to impro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were highlighted. Important findings and implications on youth and adult obesity were also synthesized to promote clinician's better understanding which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services.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pp.511-538
초록보기
초록

최근에 마음챙김 명상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이 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마음챙김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하는 것이며 실제로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과 함께 마음챙김에 대한 개념을 좀더 명료하게 하고 측정가능하게 하려는 시도가 나오고 있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불교의 전통적인 마음챙김 명상의 틀에서 마음챙김의 특성 및 실천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다루었다. 또한 불교의 마음챙김 명상이 추구하는 목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임상적으로 적용되는 마음챙김의 특성 및 그 측정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었다. 또한 임상적으로 적용되는 마음챙김 명상이 추구하는 목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마음챙김의 방법에 새로운 변화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되었으며, 특히 ‘체계적 마음챙김’(김정호, 2001)의 적용이 강조되었다.

Abstract

Recently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mindfulness or mindfulness meditation. Besides, the application of mindfulness meditation to various clinical and everyday settings has increased markedly. We also meet the movement to clarify and measure the concept of mindfulness with the questions about its meaning, practice, and effects. The present study first dealt with the issues around the concept and practice of mindfulness in traditional Buddhist's mindfulness meditation, i.e., vipassanā meditation. The aim of traditional Buddhist's mindfulness meditation was also discussed. Then, the issues around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mindfulness in clinical settings were dealt with. The aim of mindfulness meditation in clinical settings was also discussed. Lastly the present paper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the clinical and everyday application of mindfulness. It was suggested that we need some changes i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systematic mindfulness' (Kim, 2001) was emphasized.

전겸구(대구대학교) ; 김영조(영남대학교) ; Timothy W, Smith(유타대학교 심리학과) pp.539-55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분노와 결혼만족 간에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187명의 관상동맥 질환 환자와 환자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Chon, Hahn, & Lee, 1998)과 결혼만족도 척도(이경성, 1998)의 단축형을 사용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관상동맥 질환자 가운데 높은 수준의 분노 표출이 배우자의 낮은 수준의 결혼만족도를 예언하고 있었으며, 관상동맥 질환자의 상태 분노는 자신의 낮은 수준의 결혼만족도를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관상동맥 질환자의 높은 수준의 분노 통제는 배우자의 높은 수준의 결혼만족도를 예언하고 있었다. 덧붙여, 배우자의 높은 수준의 상태 분노는 관상동맥 질환자와 자신의 낮은 수준의 결혼만족도를 예언하고 있었으며, 배우자의 높은 수준의 분노 억제는 자신의 낮은 수준의 결혼만족도를 예언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관성은 전반적으로 남자에 비하여 여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 요인에 관한 모형에서 개인내적인 성격과 개인외적인 사회적 맥락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끝으로, 본 결과를 비교문화적 조망에서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several aspects of anger experience and express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in one hundred and eighty seven coronary heart disease (CHD) patients and their spouses. Anger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Chon, Hahn, & Lee, 1998), and a short version of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Lee, 1998),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CHD patients’ anger-out predicted lower levels of spouses’ marital satisfaction, and CHD patients’ state anger predicted lower levels of their own marital satisfaction. In contrast, higher levels of CHD patients’ anger-control predicted higher levels of spouses’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spouses’ state anger predicted lower levels of CHD patients’ and spouses’ own marital satisfaction, and spouses’ anger-in predicted lower levels of their own marital satisfaction. These associations were stronger for female patients than for males. The results suggest that models of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CHD should consider the combined effects of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variables. Final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and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