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인간에게 공감할 수 있는 AI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수집된 대규모 COVID-19 감정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3자가 분류한 조망수용수준과 심리적, 정서적 특성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먼저 연구참여자 5,403명의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활용된 단축형 자기보고식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경과민성, 우호성, 외로움, 공감, 지각된 스트레스의 문항이 일부 선별되었다. 이후, 군집분석을 통해 연구참여자를 세 개의 조망수용 군집으로 나누고 각 군집간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높은 조망수용능력 군집은 낮은 조망수용능력 군집보다 높은 수준의 우호성, 공감 수준을 보였고, 보다 낮은 일기스트레스와 낮은 부정정서 수준을 나타냈다. 낮은 조망 수용능력 군집은 세 집단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신경과민성, 외로움, 지각된 스트레스, 일기스트레스, 그리고 높은 부정정서 수준을 보였다. 조망수용능력이 확인되지 않은 미결정 군집은 가장 낮은 신경과민성, 외로움, 지각된 스트레스와 부정정서 수준을 보였다. 미결정 집단을 제외한 조망수용수준과 심리적, 정서적 특성의 관계는 선행연구에서 시사된 바와 일치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신건강개입 발전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Using large data collected during COVID-19, the present study explored how perspective-taking levels of diary writers evaluated by the third party were associated with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 analyzed the perspective-taking levels of the 5,403 participants who wrote diary entries on their thoughts and emotions, along with their self-repor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perspective-taking profiles. We examined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traits between groups. The higher perspective-taking group exhibited higher agreeableness, higher trait empathy, lower diary stress, and less unpleasant feelings than the lower perspective-taking group. Neuroticism, loneliness, perceived stress, diary stress, and unpleasant feelings were the highest in the lower perspective-taking group. Neuroticism, loneliness, perceived stress, and unpleasant feelings were the lowest in the undetermined group. Our findings mirrored the previously documented links between self-reported perspective-taking abilities and psychological qualities. Applications for large-scale text-based mental health therapies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분석을 통해 중년기 연령 증가에 따른 5가지 삶의 만족도 지표들(경제상태, 건강상태, 자녀와의 관계, 배우자와의 관계, 전반적 삶의 만족도)의 변화궤적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변화에 있어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은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2006) ~ 7차년도(2018)에서 모두 응답한 인원 중 45세에서 64세에 해당하는 1,610명(남성: 668명, 여성: 942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결과,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와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는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경제상태 만족도는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고, 건강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는 일정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4가지 세부 영역에서의 만족도 수준들의 중간에 위치하였으며, 50대 중반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는 U-형태의 변화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 지표들의 변화에 있어 성별의 차이는 배우자와의 관계와 건강상태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배우자와의 관계와 건강상태에서 더 긍정적인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청소년기 및 노년기에서의 삶의 만족도변화궤적과 더불어, 전생애적 관점에서 중년기 시기 연령의 증가에 따른 주관적 웰빙의 변화양상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rajectories of five types of indicators for life satisfaction (economic, health, relationship with children,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global) with age during middle adulthood, and determined gender differences of changes. Data were drawn from 668 men and 942 women aged 45 to 64 years among those who responded to all biennial panel surveys for 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2006 to 2018. Hierarchical linear models showed non-linear decreases in th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spouse, a non-linear increase in economic satisfaction, and no change in health satisfaction. Global life satisfaction was in the middle area among children, spouse, health, and economic satisfaction. It showed a U-shaped curve, decreasing until mid-50s and then increasing in later life. Gender differences were only found in spouse and health satisfaction, showing that men ha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in their health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on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during middle adulthood. They can help us understand how subjective well-being changes with age on the lifespan perspective, along with previous research findings on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during adolescence and old age.
본 연구는 자살을 설명하는 Joiner의 자살의 대인관계 이론(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IPTS)을 근거로 좌절된 소속감, 지각된 짐스러움, 습득된 자살 잠재력이 자살사고,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만 65세 이상의 노인 254명(남 108명, 여 14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V2.1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좌절된 소속감, 지각된 짐스러움, 습득된 자살 잠재력과 자살사고의 각각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좌절된 소속감, 지각된 짐스러움은 자살시도와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습득된 자살 잠재력과 자살시도와의 관계에서는 삶의 의미가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자살사고와 자살시도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그에 따른 기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Based on Joiner’s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IPTS),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thwarted belongingness,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acquired suicide potential had a moderating effect on suicide ideations and suicide attmep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60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in Seoul, Gyeonggi-do, Gyeonsan-do, and other regions of Korea. A total of 254 copi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6 questionnaires that did not meet the age criteria. IBM SPSS Statistics 23.0 and SPSS PROCESS Macro ver 2.16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variables of IPTS such as thwarted belongingness,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acquired suicidal capability all showed a 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On the other hand, only acquired suicidal cap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suicide attempt. Second, the meaning in life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s of thwarted belongingness,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acquired suicidal capability with suicidal idation.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meaning in life, although the meaning in lif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quried suicide capability and suicide attmept. Based on these results, risk factors and mechanisms that effect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of the elderly were identified. In addtiona, by confirming a moderating effect of the meaning in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specific interventions that could reduc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mepts in the elderly.
본 연구에서는 사회비교 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이 주관적 안녕감이 낮을 것이며, 이러한 관계는 물질주의 추구에 의해서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검증하였다. 또한, 사회비교 경향성이 물질주의 추구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문화적 자기(독립적 또는 상호의존적 자기)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294명의 참가자들에 대한 사회비교 경향성, 물질주의 추구, 주관적 안녕감, 독립적 자기, 상호의존적 자기를 측정하고, 사회비교 경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문화적 자기로 조절된 물질주의 추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회비교 경향성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계는 물질주의 추구에 의해 매개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비교를 많이 하는 사람들은 물질주의 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물질주의는 최종적으로 낮은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비교 경향성이 물질주의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문화적 자기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독립적, 상호의존적 자기의 수준과 관계없이 사회비교 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높은 물질주의 성향을 보이며, 이러한 성향이 낮은 주관적 안녕감으로 이어짐을 보여준다.
This study tested hypotheses that people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ould have lower subjective well-being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ould be mediated by materialism. Moreover, we examined whether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materialism tendency might depend on the level of cultural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 interdependent self). We recruited 294 participants, measured thei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materialism tendency, subjective well-being, independent self, and interdependent self, and analyzed the mediation effect of materialism moderated by cultural self-constru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depending 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mediated by materialism tendency. Specifically, participants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had a higher tendency of materialism. Such higher materialism tendency led to lower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materialism tendency moderated by cultural self-construa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 level of independent or interdependent self, people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related to higher materialism tendency, which led to lower subjective well-being.
본 연구는 노년기의 적극적 참여활동과 우울 간 관계를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개인의 정서조절역량을 반영하는 정서변산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60대 이상의 노년기 참가자 150명을 대상으로 네 가지 유형의 참여활동, 즉 자기개발활동, 적극적 사교활동, 봉사활동 및 여가활동과 우울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상재구성법을 통해 전날 하루 동안 경험한 사건들을 최대한 많이 떠올리게 한 후 각 사건에 대해 느낀 정서에 대한 보고를 토대로 질적변산성의 지표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우선 노인의 참여활동은 모두 우울을 예측하였다. 그러나 참여활동 중 자기개발활동 및 적극적 사교활동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만 정서변산성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노년기의 참여활동 중 자기 향상을 위한 활동과 대인관계에서의 적극적 활동이 정서적 안정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우울 완화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affect variability on relationship between activ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 sample of 150 senior citizens in their 60s participated in a survey that asked about four types of participation activities (self-development activity, active social interaction, volunteering activity, leisure activity) and their depression level. Participants also recalled as many events as possible through a daily reconstruction method and their emotional experience felt for each event (e.g., excited, confident, happy, anxious, angry, peaceful, stable, depressed, and bored). Based on collected emotional data, spin, the index of affect, was calculated.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levels of all social participation types predicted lower levels of depression. In terms of mediating effects, associations of depression with average value of participation activities, self-development activity, and active social interaction were mediated by affect variability. However, affect variabilit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of volunteering and leisure activities with dep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ctivities for self-impro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uld increase emotional stability and consequently decrease depression in the elderly.
본 연구는 이미지 기반 SNS에서의 외모 상향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신체대화와 신체감시의 다중 직렬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온라인에서 만 25세 이하 여대생 22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식이태도 검사지, SNS 상향비교 척도, SNS 신체대화 질문지, 신체감시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관분석, 다중 직렬 매개 효과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대화는 신체감시와는 무관하게 SNS 상향비교와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감시는 신체대화와는 무관하게 SNS 상향비교와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대화와 신체감시는 SNS 상향비교와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를 순차적인 선후 관계를 통해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SNS 이용자들의 이상섭식행동에 대한 순차적, 복합적 위험 요인들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이상섭식행동을 사전에 진단·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는 행동적, 심리적 토대 자료를 구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body talk and body surveill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on image-based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20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19 to 25 years. They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KEAT-26), Upward Social Comparison on Instagram, Body Talk Questionnaire on Instagram, and Body Surveillance scal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upward social comparison on image-based SN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dy talk, body surveillanc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Second, sequential meditating effects of body talk and body surveill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on image-based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disordered eating behavior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통합동기관리 프로그램이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 여대생의 완벽주의, 스트레스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완벽주의 질문지에서 ‘완벽주의 성향’과 ‘부정적 결과’가 각각 상위 75% 이상인 52점 이상과 126점 이상인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여대생을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으로 선별했다. 선별된 참여자들은 처치집단 15명, 대기통제집단 15명으로 무선 할당되었다. 처치집단은 주2회, 80분 내외로 총 6회기의 통합동기관리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실시의 전과 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했으며, 프로그램이 종료된 4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완벽주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부정정서가 유의하게 감소했고, 삶의 만족과 긍정정서가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이러한 효과는 추후검사까지 유지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an integrative motivation management program on perfectionism,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maladaptive perfectionism tendencies. To this e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ranked in the 75% on ‘perfectionist tendencies’ and ‘negative results’ subscales of perfectionism questionnaire wer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n=15) and a wait-control group(n=15).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a total of six sessions in three weeks(twice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80 minutes. All participants completed pre-test, post-test and a 4-week follow-up test. Scores of perfectionism, perceived stress, and negative aff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wait-control group. These effects persisted at the follow-up test. Scores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positive a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wait-control group. These effects persisted in the follow-up tes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긍정심리중재법 중 하나인 웰빙인지 기법을 모바일 앱(App)에 제공하여 중년 위기감, 수용, 행동,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참여를 희망하고 국내 거주하고 있는 39세 ~ 60세 성인으로서, 연구자가 설정한 기준에 부합된 총 53명으로 웰빙인지 프로그램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각 27명(실험집단), 26명(통제집단)씩 무선할당했다. 처치는 3주 동안 진행됐으며, 매일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웰빙인지기법을 실시하도록 지시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중년기 위기감 척도(Mid-Life Crisis Scale, MLCS), 수용-행동 척도(AAQ-16), 긍정정서 척도와 부정정서 척도, 삶의 만족 척도, 삶의 만족 예상 척도를 사용했다. 처치집단의 프로그램 종료 후 집단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값에 대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중년의 위기감과 부정정서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또한 처치집단의 수용-행동, 삶의 만족 및 삶의 만족예상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 그러나 긍정정서의 경우 실험집단이 대기통제집단보다 더 큰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using mobile app on midlife crisi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idlife adul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dults aged 39~60 years.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using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with a smartphone APP application (n = 26) and a control group (n = 26). Experimental treatment was performed three weeks consecutively.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equired to use Well-Being Cognition smartphone APP every day during the experiment. Before program commencement, participants completed the following scal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Mid-Life Crisis Scale (MLCS),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AAQ-16),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for pre-post values of the two groups to verify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tim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post differences of Mid-Life Crisis Scale (MLCS) and Negative Affec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re-post differences of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Positive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and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L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mparative control group. However, the pre-post difference of Positive Affec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inally, meaning of research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 수준(고, 저)과 마음챙김 훈련(바디스캔 훈련, 호흡 훈련)이 통증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전 지역 대학교 재학생 성인 남녀 284명 중 아동기 외상 질문지(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평균 점수 +1SD 초과, –1SD 미만에 해당하는 93명을 정서적 외상 집단(고, 저)으로 구성했다. 정서적 외상 수준이 마음챙김 훈련에 따라 통증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마음챙김 훈련 조건(바디스캔 훈련, 호흡 훈련)에 배정 후 실험을 실시했다. 1차 압통역치과제가 종료된 후 약 5분 간 마음챙김 훈련을 실시했고, 훈련 내용을 적용하며 2차 압통역치과제를 수행했다. 참가자들이 압통역치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생체신호와 통증 경험을 측정했고, 2차 압통역치과제에서 수집한 측정치를 결과 분석에 사용했다. 실험 결과, 정서적 외상 고집단은 호흡 훈련 조건보다 바디스캔 훈련 조건에서 high-frequency heart rate variability (HF-HRV)가 높았고, 주관적 통증 강도는 더 낮았다. 반면, 정서적 외상 수준과 마음챙김 훈련에 따른 압통역치, standard deviation of R–R intervals (SDRR), electromyograph (EMG), respiration rate mean (RRM), 동공직경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s of emotional trauma levels (high and low) and mindfulness training (body scan training, respiratory training) on pain experiences in childhood. Among 284 university students, 93 were assigned into high and low emotional trauma groups having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average scores exceeding +1SD and -1SD, respectively. To examine effects of emotional trauma levels on pain experience according to mindfulness train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fter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wo mindfulness training conditions (body scan training, breathing training). After the first pain pressure threshold task was completed, mindfulness training was conducted for about 5 minutes. Training contents were applied and the second pain pressure threshold task was performed. Bio-signals and Numeric Rating Scale (NRS) of pain were measured for participants while performing the pain pressure threshold task. Measured values collected from the second pain pressure threshold task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high emotional trauma group showed higher HF-HRV and lower pain intensity in body scan training condition than in respiratory training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pressure threshold, standard deviation of R–R intervals (SDRR), electromyograph (EMG), respiration rate mean (RRM), or pupil diameter according to emotional trauma level or mindfulness training. Limita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웃음과 비웃음을 지각하는 데 사회적 맥락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대학(원)에 재학 중인 94명은 사회불안과 우울 증상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실시하였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자극으로 웃음과 비웃음을 2:8부터 8:2까지 7수준으로 몰핑(morphing)한 얼굴 표정을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맥락 조건은 맥락이 나타나지 않는 조건과 등돌리기 조건 그리고 마주보기 조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맥락이 나타나지 않는 조건에서는 얼굴 표정 하나만 짧게 제시되었고, 맥락이 나타나는 조건에서는 맥락이 먼저 제시되고 뒤이어 얼굴 자극이 짧은 시간 동안 맥락과 함께 제시되었다. 이후 참여자들은 제시된 얼굴 표정이 웃음인지 비웃음인지 평정하였고, 맥락이 나타나는 조건에서는 맥락에 주의를 두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맥락에 나타난 사람들의 성별이 같은지 다른지 응답하도록 하는 절차가 추기되었다. 참여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누적정규분포 함수에 곡선맞춤하여 주관적 동등점(point of subjective equality)을 산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맥락이 없는 조건 및 등돌리기 조건에서의 주관적 동등점은 사회불안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마주보기 조건에서의 주관적 동등점과 사회불안 간에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높은 사회불안을 지닌 사람들에게 웃음을 비웃음으로 판단하는 편향이 나타나고, 이러한 경향성은 두 사람이 서로 마주 보는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서는 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ocial context could affectthe perception of smile and sneer in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social anxiety. Social anxiety and depressino symptom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Subject then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using a computer. Smiling and sneering faces were morphed to 7 levels from 2:8 to 8:2 and they were used as facial stimulus in the experiment. The context in which two people were palced back-to-back or face-to-face was used as social context stimulus. Under conditions where no context appeared, only one facial stimulus was presented briefly. Under conditions in which context was presented the social context stimulus was presented first followed by facial expression stimulus simultaneous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bsequently, participants evaluated whether the presented facial stimulus was smile or sneer. Only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context appeared, they evaluated whether the gender of the people in the context stimulus was the same or different to confirm that they were paying attention to the context. The point of subjective equality (PSE) was estimated by curve-fitting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s into a cumulativ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PSEs in context conditions where the context did not appear and the two were placed back-to-back. However, PSEs in context condition where the two were placed face-to-face were not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social anxiety, the more likely it is to judge sneer. However, in a positive social situation where the two are facing each other, the bias in social anxiety might disappear.
2022년부터 WHO에서 ICD-11을 이행함으로써 현장 적용과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성격장애의 분야에서 새로운 진단적 접근을 적용함에 따라 Bach 등(2021)은 성격장애의 심각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자기보고식 척도 PDS-ICD-11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PDS-ICD-11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전국 대학생 및 대학원생 433명을 대상으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탐색적 요인분석 에서 3개 요인(자기 기능, 심리사회적 손상, 대인 기능과 정서 및 행동문제)이 적합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서도 1요인보다 3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PDS-ICD-11이 K-PID-SF 5개의 상위 영역 중 부정적 정서성과 애착상실, 탈억제, 정신병적 경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PAQ-11에서는 부정정서성 및 애착상실, 반사회성, 탈억제 그리고 경계성 양상에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강박 요인에서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NEO-FFI에서 신경증과는 정적 상관을, 외향성 및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SAPAS-SR과 SFQ, DASS-21과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COMOSWB의 부정 정서와는 정적 상관, 행복 전체 점수와 삶의 만족, 긍정 정서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종합해보면, 한국판 PDS-ICD-11이 성격장애의 심각도를 평가하기 위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서, 수렴 및 변별 타당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미와 제한점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11th edi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ICD-11) provides a new diagnostic approach for personality disorders. Accordingly, Bach et al.(2021) have recently developed a self-report measure, the Personality Disorder Severity ICD-11(PDS-ICD-11), to assess personality severity. This study aims to translate the PDS-ICD-11 into Korean and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university students(N=433).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DS-ICD-11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Second,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DS-ICD-11 consisted of three factors: self-functioning/psychological impairment/interpersonal-functioning, emotional manifestations, and behavioral manifestations. Thir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fit indices of three-factor structure were acceptable as compared to the one-factor structure. Fourth, PDS-ICD-11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negative affectivity, detachment, disinhibition, and psychoticism of K-PID-SF. It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egative affectivity, detachment, dissociality, disinhibition, and borderline features among domains of the PAQ-11. However, it was not correlated with anankastia. Moreover,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uroticism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in the NEO-FFI. SAPAS-SR, SFQ, and DASS-21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DS-ICD-11. In COMOSWB, total scor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DS-ICD-11. However, negative emo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DS-ICD-11.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DS-ICD-11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ICD-11 personality severit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여성 흡연자의 금연효능감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그들의 금연을 도울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337명의 여성 흡연자였다. 상관분석 결과, 여성이 흡연갈망에 의해 흡연을 하거나 니코틴 의존도가 높을수록 금연효능감이 낮았으며, 체중증가나 월경 전 증후군이 금연을 방해한다고 인식하면 금연효능감이 낮았다. 낙관적 편향과 지연할인 인식은 금연동기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지만 금연효능감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의사결정나무모형에는 갈망형 흡연, 손장난형 흡연, 1일 평균 흡연량, 흡연기간, 니코틴 의존도 및 금연동기가 포함되었다. 이런 결과는 추후 연구와 여성 흡연자의 금연을 중재하거나 그들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 구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소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that could predict female smokers’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elp them quit smoking. Participants were 337 female smokers.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craving for smoking or nicotine dependence of female smokers the lower the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while the more they recognized that weight gain or premenstrual syndrome hindered their smoking cessation, the lower the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The decision tree model included craving smoking, handling smoking, daily amount of smoking, smoking period, nicotine dependence, and motivation to quit smoking. These findings suggest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studies. They can also help females stop smoking and construct a program for females’ smoking ces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