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이흥표(대구사이버대학교) pp.555-56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제 도박에 참여하고 있는 문제성 및 병적 도박자를 대상으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5요인 도박동기 모형을 검증하고 도박동기가 도박 심각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모형과 간접효과 모형을 비교,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마, 카지노, 불법 도박 등의 도박에 참여중인 도박자 221명이었다. 연구결과, 도박자에 대하여도 사교동기, 유희동기, 회피동기, 흥분동기, 금전동기의 5요인 도박동기 모형이 검증되었으며 직접효과 모형에 비하여 간접효과 모형의 부합도가 높았다. 금전동기는 도박문제의 심각도에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동기였다. 회피동기와 흥분동기는 도박 심각도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 못하였으며 금전동기를 매개하여 작용하고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 to verify five factor model of gambling motives by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rom current gambers and secondly to compare indirect model with direct model on gambling severity. Subjects were 221 gamblers participates in legal or illegal gambling such as casino, horse-racing, poker etc. The five motivational factors for gambling consist of the motives for socialization, the amusement, avoidance, excitement, and monetary. The extracted factors were adopted in order to construct an indirect model and a direct model, describing how gambling motives impact on gambling sever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tness of the indirect effect model was more respectable than the direct model was: the motives for avoidance and excitement were indirectly mediated by the monetary motive in the effect on the gambling severity, whereas the monetary motive have the most powerful and direct effect among the extracted motivational factors. This previously underestimated monetary motive provides the first step towards developing more specialized instruments to predict the risk for problematic and pathological gambling behavior.

김교헌(충남대학교) ; 김명자(우송대학교) pp.567-588
초록보기
초록

심각한 스트레스가 유발되는 자연스런 훈련 상황에서 성격특성과 동기 및 사회적 지원이 스트레스의 효과를 중재하는지 알아보려 했다. 심해포화잠수 훈련을 받는 10명의 남자 군인들을 대상으로 11주에 걸친 훈련 기간을 통해 심해포화잠수 훈련의 다양한 심리적 스트레스 효과를 측정했다. 훈련을 시작하기 전에 측정한 성격특성과 내외적 동기 및 가족으로부터의 지원은 훈련 시점별로 달라지는 다양한 중재효과를 나타냈다. 개방성과 우호성이 높을수록 힘든 훈련의 시작을 앞 둔 시점에서의 정적 감정경험이 높았으며, 신경증은 주관적 안녕감 정서와 역 방향의 효과를 보였다. 외향성은 실제 훈련강도가 높은 5주차에 주관적 안녕감 정서와 의미 있게 관련되었다. 내적동기 집단이 외적동기 집단에 비해 훈련을 시작하는 1주차에서 부적 감정 경험이 더 적었다. 이에 반해 우울은 1, 2 및 5주차에, 신체병리 증상경험은 훈련기간 전반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낮았다. 가족으로부터의 지원은 본격적 훈련을 앞두고 있는 1주차의 상태분노 경험과 그리고 5주차의 신체병리증상 경험에서 유의한 중재효과를 보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n stress under the natural stressful situation. 10 male navy soldiers engaged in deep saturation diving training course responded NEO-PI-RS, CES-D, STAXI, Somatic Complain Symptom scal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scale, and Subjective Well-being scale during the 11 weeks. Openness and Agreeableness were correlated with 1st week(in the just before the training)'s Positive Affectivity positively, whereas Neuroticism negatively correlated with 1st week's Subjective Well-Being Emotion. The Extraver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5th week(in the midst of hard training)'s Subjective Well-Being Emotion. Members of the intrinsically motivated group were lower in 1st week's Negative Affectivity. On the other hand, Depression and Somatic Complain Symptoms were lower during the overall training period in the intrinsic motivation group. Social Support from the Family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1st week's State Anger and 5th week's Somatic Complain Symptoms.

김정남(경상대학교) ; 서미경(경상대학교) pp.589-608
초록보기
초록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편견과 차별행동이 정신장애인의 재활과 사회생활적응에 심각한 방해요인이 된다는 전제하에 일반인 1,101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했다. 인구통계적요인에 따른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인들의 편견과 차별행동의 차이, 편견의 근원요인들 및 편견이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 편견과 차별행동을 더 크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과 관련된 언어사용과 부모나 교사 등을 통한 간접 경험이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근원요인으로 드러났다. 매스컴은 편견을 결정하는 근원요인이 되지 못했다. 편견이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위험성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었고 다음이 회복불능과 무능력 이었다. 식별가능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행동을 줄이고 정신장애인의 재활과 사회생활적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어린시절 사회화과정에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학습과 정신장애인과의 직접적인 접촉의 중요성을 논의했다.

Abstract

The main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public's prejudice of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mentally ill seriously hinder to their rehabilit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urvey with 1101 general public in order to discover : 1) what kinds of relations do exist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he respondents and their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2) in what extent do the source factors(mass media. individual experience, transmitted attitudes, linguistic and cultural influences) affect on prejudice, and 3) in what extent do prejudice factors(dangerousness, incompetence, impossibility to recover, distinguishability) affect on discrimin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 1) Age of the respondent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rejudice and the discrimination; 2) Using multiple regression, the source factors affect significantly on prejudice by 66.1% of explanatory power. The most powerful factors on prejudice are linguistic and cultural influence, transmitted attitudes, and the individual experience; 3) Using multiple regression, the prejudice factors affect significantly on discrimination by 35.2% of explanatory power. The most powerful factors on discrimination are dangerousness, impossibility to recover, and incompet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o clinicians to use the educational and field program that promote a familiarity with mental illness for school-aged children.

이승훈(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609-632
김동수(공군사관학교) ; 정연수(공군사관학교) ; 박세권(공군사관학교) pp.633-646
초록보기
초록

건강한 젊은 남자, 여자인 사관생도를 대상으로 심리적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의 생리적 척도 중 하나인 타액 내 코티졸을 정량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서 만성적 생활스트레스의 척도간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타액 코티졸의 양과 스트레스 총점에서의 개인차는 정적 상관성(r=0.319)을 나타내었으나 호환성은 없었다. 그러나 타액 코티졸의 양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위 25%에 해당하는 개인들의 스트레스 총점과 타액 코티졸을 비교했을 때 상관계수가 r=0.626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즉 건강한 집단에서 자기보고식 스트레스 척도는 생리적 척도와 직접 비교되지 못하나 상대적으로 높은 생활 스트레스(>8.5 ng/ml 타액 코티졸)를 경험하는 조건에서는 상호호환이 가능함을 보고한다. 또한, 심리적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2학년 생도들이 3학년 생도들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타액 코티졸 수준을 보이며 (p<0.002), 반대로 유의미하게 낮은 수의 백혈구(p<0.02), 적혈구(p<0.03)를 보유하고 있었다. 스트레스 정도가 심한 2학년 집단은 정상수치보다 낮은 혈구를 가지고 있음으로서 스트레스의 생리적 반응이 정상상태에서도 면역기능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We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stress level and one of the physiological stress biomarkers, salivary cortisol level of healthy men and women, cadets of Air Force Academy. Salivary cortisol level of individuals correlated positively with psychological stress test score (r=0.319), but it could not compatible in normal healthy individuals. On the contrary, salivary cortisol level correlated highly with psychological stress test score in individuals, who belongs to the upper 25% group based on their salivary cortisol level (r=0.626). We report that psychological stress score based on self reporting and salivary cortisol level may not be compatible in healthy men and women, however, quantitative scales come from both of measurements can be used for same purpose in some of healthy individual with relatively higher stress level(>8.5 ng/ml cortisol). In comparison between groups, second grade cadets with relatively higher score in psychological stress test had significantly higher salivary cortisol level than third year cadets with relatively low stress score in psychological stress test (p<0.002). Second grade cadets had significantly lower number of white blood cells (p<0.02) and red blood cells (p<0.03) than third year cadets. We supposed that physiological reponses against to life stressors may relate to immunity in normal situation because second grade cadets represented higher stress level had lower number of blood cells.

김정모(대구대학교) pp.647-66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과정에서 정보처리과정의 구성요인을 알아보고, 정보처리 대처과정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학생과 성인노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판 정보처리과정지각 척도(K-PMPI)를 요인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문제 상황에서 정보처리과정은 느낌과 지각에 의존하는 정서적 과정,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해결방법에 초점을 두는 합리적 과정, 그리고 즉흥적으로 과거의 습관적 정보에 의존하는 자동적 과정의 3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처리과정지각 척도의 3 요인은 대학생과 성인노인의 전체집단에서 모두 공통적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은 만족스러운 내적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정보처리과정 지각은 생의 전 과정에 걸쳐서 나타나는 일반적이고 지속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 되었다. 대학생과 성인노인의 정보처리과정지각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학생과 성인노인은 서로 다른 대처과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은 문제 상황의 대처과정에서 합리적 과정을 자주 사용하는 반면, 성인노인은 정서적 과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리적 과정을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일수록 정서적 과정은 적게 사용하나, 정서적 과정을 많이 사용하는 성인노인은 합리적 과정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성인노인이 정서적 과정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성인노인이 겪는 문제 상황이 정서적 과정을 요구한다는 “상황특수성(cross-sectional effect)” 가설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성숙과 같은 개인의 발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성숙” 가설을 지지한다. 논의에서는 성인노인의 정서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경험과 성숙에 관해 토의 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have attempted to find the construct of perceive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s and to explain age difference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of Perceived Modes of Processing Inventory (K-PMPI) from students and older adults, information based coping styles consist of emotional processing based on feeling and intuition, rational processing by using systematic and logical reasoning to solve problems and automatic processing from past experience. These 3 factors constitute the same items for students and older adults, and all factors have shown sufficient internal consisten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ceive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s is seen as cognitive process as trait over lifespan. Compared to processing style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older adults: students used rational processing, however older adults used emotional processing. The more students used rational processing, the less they used emotional processing. But older adults, who used emotional processing, tend to used rational processing. It is concluded that the dominant coping styles of emotional processing of older adult is not caused by specific situational demands, but it is due to individual factors like mature. It is discussed that individual experience and mature lead older adults to emotional processing.

이인혜(강원대학교) pp.665-692
신행우(우석대학교) pp.693-7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여성 성 역할 고정관념에 과도한 집착을 보이는 여성성 과잉과 음주절제력 및 음주문제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상관분석 결과, 여성성 과잉과 음주절제력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그리고 여성성 과잉과 취한 빈도 및 음주문제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성 과잉의 정도가 높은 여자 대학생들은 여성성 과잉의 정도가 낮은 여자 대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주절제력도 떨어지고, 술에 취하는 빈도도 높았으며 또한 음주문제도 더 많이 경험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여성성 과잉의 음주 정도와 음주문제에 대한 고유한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분석에서는 여성성 과잉의 고유한 설명력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절제력 변인들 중 음주거절능력이 취한 빈도와 음주문제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예언변인이었다. 이를 통해 남성성 과잉이 남자 대학생에 있어 음주문제 발생의 가능성을 높이는 위험 요인이었듯이, 여성성 과잉도 여자 대학생들에 있어 음주문제 발생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음주문제의 예방 전략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femininity, which is defined as exaggerated adherence to a stereotypic feminine gender role, and drinking self-regulation and secondly drinking problems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yperfemininity and drinking self-regula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yperfemininity and frequency of alcohol intoxication.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yperfemininity and the degree of drinking problems. In other words, high hyperfeminine undergraduate female students were lower in drinking self-regulation and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lcohol intoxication and drinking problems than low hyperfeminine stud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drinking refusal ability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n alcohol intoxication frequency and problems, but hyperfemininity was not a unique significant predictor. It was suggested that hyperfemininity could be a risk factor of drinking problem development in undergraduate female students as was hypermasculinity a risk factor of drinking problem development in undergraduate male students. Discussions for the prevention strategies of drinking problems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were provided.

윤지혜(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김인석(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pp.713-7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특성분노가 높은 운전자와 낮은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분노 반응과 Smith와 Lazarus(1993)의 인지평가 이론에서 설명하는 타인비난이라는 인지과정의 핵심관련주제를 비교하였다. 참가자들은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운전상황을 평가하였다. 제시된 두 가지 운전상황 각각에서 분노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는 상대 운전자의 의도는 명확하거나 모호하다. 특성 분노가 높거나 낮은 운전자는 두 가지 운전 상황 중 하나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었으며, 2×2 (특성분노×타인의도의 모호성)요인 설계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특성분노가 높은 운전자는 특성분노가 낮은 운전자보다 동일한 운전관련 사건에 대하여 더욱 높은 분노경험을 하였으며, 상대 운전자를 더욱 적대적자로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평가편향은 분노를 유발하는 사건의 고의성이 모호할 때, 고-특성분노 운전자들에게서 명확하게 드러났다. 운전분노 감소를 위한 심리학적 개입은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driving anger and the cognitive processes of high and low trait anger drivers in terms of the core relational theme of blame identified in the Smith and Lazarus(1993) appraisal theory.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wo driving scenario, both of which resulted in negative consequences. Two version of each scenario were produced, one depicting deliberate provocation intent and the other an event of ambiguous intent. Participants high or low on trait anger(determined by the raw scores on the Trait Anger Scale; Spielberger, 1991)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version, resulting in a 2×2(trait anger × deliberateness of the provoking event) factorial design. High trait anger drivers blamed the antagonist more, more readily identified another person as an antagonist, and experienced more angrily to the same events, than low trait anger individuals. These appraisal biases are more marked for high trait anger drivers when there is some ambiguity as to the deliberateness of the provoking even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driving anger reduction should consider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

정민정(광운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pp.729-7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급속하게 변화하고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얻게 되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원이 성별과 직급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는 성별과 직급을 고려하여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남성관리자(99명), 여성관리자(102명), 남성사원(93명), 여성사원(188명)으로부터 얻었다. 모두 15 개의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원(역할모호, 역할갈등, 역할과다, 역할과소, 적성불일치, 부서 간 갈등, 리더불만족, 동료불만족, 의사참여문제, 직무불안정, 승진문제, 임금문제, 작업-가정갈등, 환경문제, 정서노동)이 측정되었다. 변량분석 결과 성별과 직급의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의사참여문제에서만 성별과 직급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a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x and job position in explaining job stressors with a sample of employees working in service organization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four groups: 99 male managers, 102 female managers, 93 male employees, and 188 female employees. We examined difference in job stressors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role underload, aptitude incongruity, conflict between departments, dissatisfaction with a leader, dissatisfaction with colleagues, problem of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job instability, promotion problem, wage problem, work-family trouble, environment problem, and emotional labor) for each of the four groups (male managers, male employees, female managers, female employees). The results of two-way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ors by sex and job position.

공수자(조선간호대학) ; 한규석(전남대학교) ; 이은희(건양대학교) pp.743-77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적절히 설명하는 모형을 발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남녀 노인(65세~84세) 495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성격요인, 성역할 정체감, 가족지원, 유교적 가치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를 개인자존심과 가족자존심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가설적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신경증은 개인자존감, 정서적 안녕을 통해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남성성, 여성성, 가족지원 및 유교적 가치는 자존심(개인, 가족), 정서적 안녕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신경증과 가족지원은 정서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신경증은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위협하는 요인이었으며, 남성성, 여성성, 가족지원 및 유교적 가치는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보호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개인자존심은 신경증, 남성성 및 여성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대안적 모형을 검토한 결과, 개인자존심에 의한 완전매개 모형이 보다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자존심도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개인자존심을 통해서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a structural model of a partially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among antecedents variables (neuroticism, extroversion, masculinity, femininity, familial support, & Confucian value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n elderl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 from a sample of 495 elderly people (122 men & 371 women, aged 64~84).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LISREL 8)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exhibited proper a fit to the dat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dividual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s of neuroticism, masculinity, and femininity on subjective well-being. Familial self-esteem also mediated the effects of femininity, familial support, and Confucian value on subjective well-being. Furthermore the neuroticism and familial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emotional well-being. Two alternative role (completely mediating or no mediating) models regarding the self-esteem were tested. The model of completely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fitted the data best. In this model, even familial self-esteem influences th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individual self-esteem. Implications and need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