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교헌(충남대학교) ; 최훈석(성균관대학교) pp.551-569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1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 게임중독을 자기조절의 실패라는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먼저 인터넷 사용이 일상이 되고 사이버스페이스가 중요한 생태계로 뿌리내리고 있는 한국사회의 실태와 놀이와 여가 활동의 일환으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발생하는 게임의 생태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인터넷 게임의 이용 결과가 게임 이용자의 특성과 게임 자체의 속성 및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조망하는 통합적인 구조모형을 공중건강적인 관점에서 구성하고, 모형의 세부 내용과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인터넷 게임은 그 자체로 재미나 성취감 혹은 선정성이나 폭력성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게임에 참여하는 사람의 특성도 유전이나 성격 특성 등의 면에서 다르다. 게임의 환경 역시 게임에 대한 가용성, 접근성 및 수용성 등의 면에서 많은 변이가 있다. 아울러, 게임 이용의 부정적 결과에 해당하는 게임중독의 발달을 설명하는 모형과 중독 행동의 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을 제안하였다. 중독의 발달은 실험적 접촉과 충동적 추구 및 강박적 추구의 세 단계로 구분되는데, 각 단계는 신경 가소성과 행동 특성의 면에서 질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중독 행동을 체계의 상위 위계적 자기조절이 실패하는 과정으로 조망하는 과정모형을 제안했다. 끝으로, 중독에 관한 세 가지 모형과 이들 사이의 관계 및 중독의 일반성과 특정성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paper examined internet game addi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gulatory failure. In so doing, we offered an analysis of the ecological nature of cyber-space and internet games in the current Koran society. We then proposed a comprehensive structural mod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based on the public health approach. The proposed model put emphasis on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hree major factors: user characteristics, gam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model proposed that game users differ in their genetic dispositions and personality traits. In addition, the model proposed that game characteristics can be analyzed based on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functional properties inherent to internet games. The model also identified availability, accessability and acceptability as key environmental factors of internet games. It was assumed that the joint impact of the three factors upon the game user can be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The present paper also made an attempt to clarify the process of internet game addiction by taking a developmental perspective. Specifically, it was proposed that individuals pass through three distinct stages of addiction (i.e., experimental-impulsive-compulsive) and the three stages differ qualitatively from one another in their neuro-plastic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inally, the present paper proposed a process approach to addictive behavior which views addictive behavior as self-regulatory failure of higher level goals. 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al, developmental, and process mod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the issues of generality versus specificity of addiction models were also discussed.

박지선(건국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김인석(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 현명호(중앙대학교) ; 유재학(건국대학교) pp.571-581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및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1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정 불능 척도, 정서 표현성 척도,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질문지,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신체화 척도,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개정판, Beck의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한 134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스트레스 경험 빈도,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 경험빈도와 신체화를 예측하는 변인은 정서자각 결함이었고, 우울을 예측하는 변인은 정서자각 결함과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의 상호작용임을 확인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awareness deficit, emotional express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somatization,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verify, 145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the Symptom Checklist-90-R- Revised-SOM Scale, th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Revised, Beck's Depression Inventory. Participants who did not report any questionnaire excluded from the analyses. The final sample size was 13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awareness defici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matization, stress experience frequency, depression. Als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indicates emotional awareness deficit predict somatization and stress experience frequency, interaction of emotional awareness deficit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redict dep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이인혜(강원대학교) pp.583-602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기초점주의의 순기능 및 역기능적 요소에 초점을 맞춰 경험적 자기초점주의를 유도한 집단에서 분석적 초점주의를 유도한 집단 및 참조집단보다 긍정적 및 부정적 자전기억의 일반화와 우울기분이 감소되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613명의 남여 대학생의 CES-D 점수를 바탕으로 우울 점수 상위 20% 이내에 드는 106명을 피험자로 선발하였고, 이들을 분석적 자기초점주의, 경험적 자기초점주의, 주의분산, 그리고 비처치 집단에 무선 할당하였다. 우울기분은 부르널 기분척도(BRUMS), 그리고 자전기억은 Mackinger 등(2000)과 Williams 등(1986)의 절차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자전기억 일반화에서는 처치 유형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분석적 자기초점주의 뿐만이 아니라 경험적 자기초점주의도 우울 감소에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본 연구에서 참조집단으로 사용한 주의분산 처치가 오히려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주의분산이 가벼운 우울 기분에 더 효과적이고 경험적 자기초점주의 유도는 지속적인 우울과 우울증 재발을 막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hypothesized and examined that experiential self-focused attention, which is an adaptive type of self-focused attention would be superior to analytical self-focused attention and distraction on reduction of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and depressive mood. Among 613 undergraduates 106 depressed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scores of the CES-D. The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experiential and analytical self-focused attention, distraction, and non-treatment conditions. All subjects completed the Autobiographical Memory Test and depression test(BRUMS) twi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between 4 conditions. But in post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depression, that is the subjects under the distractive condition reported less depressive mood than subjects under the other condi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did not confirm the hypothesis, suggesting distraction, not experiential self-focused attention, wa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depressive mood. Therefor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이희경(가톨릭대학교) pp.603-623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낙관성과 다양한 적응지표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이 문제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는가, 즉 문제해결평가의 세 요인(문제해결 자신감, 접근-회피 양식, 및 개인의 통제감)이 각각 낙관성과 정서 경험(정적 감정 및 부적 감정)의 관계 및 비관성과 정서 경험(정적 감정 및 부적 감정)을 차별적으로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심리학 관련 학회의 하계수련회에 참석한 성인 152명(여자 127명)이 응답한 설문자료를 Anderson과 Gerbing(1988)이 제안한 2단계 구조방정식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낙관성의 경우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개인의 통제감은 낙관성과 정서 경험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지만 접근-회피 양식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비관성의 경우에는 문제해결 평가의 세요인 모두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낙관성이 높은 경우는 문제 상황에 대한 접근-회피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반해, 비관성이 높은 경우는 문제 상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이 부적 감정 경험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three aspects of problem-solving appraisal mediate the link from optimism 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as well as the link from pessimism 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respectively. A total of 152(127 women) adults completed the research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the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Problem-Solving Inventory,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 study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ggested that (a) as for optimism, problem-solving confidence(PSC) and personal control(PC) significantly mediated some of the link between optimism and either positive or negative affect, but no mediation effect was found for approach-avoidance style(AAS), and (b) as for pessimism,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for all of the three dimensions of problem-solving appraisal(PSC, AAS, and PC). Discussion focused on a potentially differential mechanism by which optimism and pessimism lead t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신은경(단국대학교) ; 이익섭(연세대학교) ; 이한나(연세대학교) pp.625-643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가족기능, 자아효능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전국의 척수손상 장애인 427명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분석 과정은 기술통계분석과 연구모형검증, 그리고 매개효과 검증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분석방법으로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은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모형 적합도는 괜찮은 적합도(reasonable fit)로 나타났다(TLI: .918, CFI: .943, RMSEA: .068). 변수간의 관련성은 가족기능은 자아효능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사회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자아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척수손상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고취시키기 위한 사회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며, 사회적 지지체계의 마련에 있어서 미시적인 방법과 거시적인 접근방법을 동시에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좀 더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요인을 검증하도록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the spinal cord injuries'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mail and telephone survey nationally. Data from 427 spinal cord injuries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odel fitness shows reasonable fit(TLI: .839, CFI: .943, RMSEA: .066). Second, Family function of the spinal cord injuries statistically significant affects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ird, Perceived social suppor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Fourth, Perceived social support have an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s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work service should give micro and macro intervention all at once. As i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spinal cord injuries' social participation should support psycho-social intervention, and should develop substantial support system. Through further researches, we should verify interrelated relevance among various factors for the discussion in the context of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이흥표(대구사이버대학교) ; 김수지(대구사이버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645-669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사회적 평판에 진화적, 사회적 유용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모두 이타성, 호혜성, 책임감 평판이 높을수록 자신의 신체적 매력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짝짓기와 생식에 대한 자신감이 높았으며 장기적, 수렴적인 짝짓기 전략을 선호하였다. 반면에 외모 및 능력에 대한 평판은 남녀에 따라 성적 전략이나 선호도에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외모와 능력 평판이 높은 남성들은 한 사람과 지속적 관계를 추구하는 장기적인 짝짓기 전략도 추구하지만 이와 동시에 과거 이성관계와 성 접촉 빈도, 성적 파트너수도 높아 단기적 전략을 추구하는 경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은 외모나 능력 평판에 상관없이 장기적 전략을 추구하였으며, 오히려 이러한 평판 요인이 높은 여성들일수록 장기적 전략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와 관련된 남녀의 장기적, 단기적 성적 전략이나 선호도의 차이 및 평판이 이에 미치는 영향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re is social and evolutionary utility in perceived social reputation. The result shows that in both men and women, those who have higher altruism, reciprocity and responsibility reputation one's physical attractiveness positive and had more confidence in mating and reproduction, and preferred long-term mating strategy. On the contrary, the appearance and ability reputation were making different impacts on sexual strategy or preference according to sex. Men who have great reputations on appearance and ability was seeking after the long-term strategy with one female, but simultaneously also had a high tendency of seeking after the short-term strategy with the frequency of past heterosexual relationships and sexual contacts, the number of sexual partners high. However, for women, regardless of the reputation of appearance or ability, the long-term strategy had been sought, and women who are in these higher repute were seeking after the long-term strategy. In that context, it was dealt with that the short-term and the long-term sexual strategy, preference difference of men and women and influence of reputation on these differences.

이희숙(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박경(서울여자대학교) pp.671-689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에서 보살핌과 성적친밀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기혼 남녀 469명(남자 242명, 여자 227명)이며, 성인애착척도, 보살핌척도, 성적친밀감척도, 결혼만족척도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성인애착(애착회피/애착불안), 보살핌, 성적 친밀감, 결혼만족 간에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은 결혼만족에 부적인 직접 효과가 있었다. 애착회피는 보살핌과 성적 친밀감의 매개를 통해 결혼만족에 대해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반면에 애착불안은 성적 친밀감의 매개를 통해 결혼만족에 간접효과를 보였으나 보살핌을 통한 간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의 결혼만족에 대한 간접효과는 애착회피가 결혼만족에 대하여 갖는 직접효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애착이 결혼만족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 뿐 아니라 보살핌과 성적친밀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vening variables for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by using caregiving and sexual intimacy variables as mediators based on adult pair bonding relationship model of Shaver & Hazan. The Subjects for the this study were 469 married people(242 men and 227 women) in mariage who are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ts vicinity. Each participant completed a package of measure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s(ECRS), Marital Satisfaction Scale(GDS), Caregiving Questionnaire, and Sexual Intima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11.5 program and AMOS 5.0.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dult attachment, caregiving, sexual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higher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level caused the lower marital satisfaction. Thir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 indicated that the attachment avoidance in individuals is negatively related to caregiving, sexual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attachment anxiety in individuals is positively related to sexual intima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caregiving variable. Fourth, the caregiving variab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exual intimacy variable. Fifth, the indirec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showed relatively lower than the direc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attachment avoidance was the strong variable which predicts marital satisfaction negatively.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recommended.

김용희(광주대학교) pp.691-704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8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관계가 대학생활적응, 우울, 긍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리개별화의 매개효과를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분리개별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치심과 죄책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참여자는 1,2학년에 재학중인 여대생 812명이였고, 분리개별화척도, 대학생활적응척도, 부정 정서와 긍정 정서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 세대간친밀감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부모와의 관계와 우울, 적응, 긍정정서 간의 관계에서 분리개별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분리개별화가 우울을 예측하는데 수치심과 죄책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분리개별화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우울을 예측하는 분리개별화의 하위변인은 분리불안, 거부기대, 건강독립이였으며, 적응을 예측하는 분리개별화의 하위변인은 의존부정, 분리불안, 거부기대, 자기도취, 건강독립이였다. 여대생의 상담이나 교육 시 분리개별화에 초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이후 연구의 시사점 및 본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eparation-individuation's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lationship and adjustment, depression and positive emotion. And also examined the mediated effect of shame and gui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depression. As a way of addressing these topic,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812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Separation-Individuation Scale(SIS),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scale, SCL-90-R depression scale, PAFS-Q were used. As a result, separation-individuation does not mediated the effects of parent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college adjustment and positive emotion. And guilty and shame are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depression. Finally, among the separation-individuation subscales, separation anxiety, reject expectancy, and health independency effect on depression, and denial of dependency, separation anxiety, merge anxiety, rejection expectancy, self-indulgence, and health independency effect on adjustment. This effect suggested that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omewhat important effect o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so counselling intervention would be effective if it is focused on separation-individuation. Finally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서경현(삼육대학교) ; 김경희(마포구 보건소) ; 전인덕(마포구 보건소) pp.705-726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치료 중심의 금연 중재와 니코틴대체요법 중심의 금연 중재의 효과를 비교하고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을 탐색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마포구 보건소에서 기획한 직장인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123명의 성인 남성이었는데, 이들의 평균 연령은 35.15(SD=6.62)세 이었다. 인지행동치료(CBT)와 니코틴대체요법(NRT) 중심의 두 가지 금연 중재 방법으로 구분된 직장인 금연 프로그램은 3개월 동안 실시되었는데 6개월까지 금연을 유지하였는지를 점검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흡연관련 변인과 니코틴 의존도, 흡연유형, 금연동기, 금연효능감, 일반적 자기효능감, 금연 시작 전 1개월간 스트레스, 금연초기 신체증상, 음주, 건강지각, 자아존중감, 주관안녕 등을 측정하여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총 123명의 참여자들 중에 56명(45.5%)이 6개월 동안 금연에 성공하였는데, 니코틴대체요법 중심의 도움을 받은 사람들 중에 36.8%가 금연에 성공한데 반해 인지행동치료 중심의 도움을 받은 참여자 중에는 53.0%가 6개월간 금연에 성공하였다. 분석 결과,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이 실패한 사람들보다 평소 흡연량이 적었고, 니코틴에 덜 의존되어 있었으며, 손이 심심해 흡연하는 경향이 있고, 충동에 의해 흡연하는 경향은 덜 했다.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은 역동적인 금연동기가 강했으며, 금연효능감이 강한 반면 금연초기 신체증상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금연 중재를 통한 건강증진정책의 기본방향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 of CBT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NRT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centered intervention for smoking cessation, and investigate the abstention factors. Participants were 123 male smokers, employees of Deawoo Electronics and Iljin Electric whose mean age was 35.15 (SD=6.62), who participated in smoking cessation program brought by Mapo-Gu community health center. Both CBT and NRT centered smoking interventions performed for 3 months and followed them for 6 months to identify participants' abstention. To analyse the abstention factors, smoking behavior, nicotine dependence, smoking types, motivation to quit smoking, efficacy for quitting smoking, general self-efficacy, stress, physical symptoms experienced first 5 weeks after quitting, drinking habits, perceived health,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measured. Fifty six (45.5%) out of a hundred twenty three had successfully abstained for 6 months. While 53.0% of smokers who received CBT centered smoking intervention abstained for 6 months, 36.8% of smokers who received NRT centered intervention abstained. Results revealed that people who abstained for 6 months had smoked little amount of cigarettes and showed lower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than those who failed to abstain. People who failed to abstain were less likely to control their impulse to smoke in daily life before trying to quit smoke, while people who abstained for 6 months showed dynamic motivation and efficacy to quit smoking and experienced more physical symptoms at first 5 weeks after quitting. These findings might contribute to establish the policy for the health promotion through smoking cessation.

조현섭(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중독예방치유센터) ; 조성민(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 차진경(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pp.727-743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10
초록보기
초록

숲과 자연이 심신의 회복과 건강증진에 기여가 크다는 일반적인 기대와 신념이 우리에게 자리 잡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연하게 인정하는 것에 비해서, 그 치유적 효과의 변인 혹은 기제에 대하여 밝히려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재)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와 (재)한국녹색문화재단은 알코올 의존자와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하여, 숲체험의 치유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2006년 연구가 비교집단 없이 진행된 점을 고려하여, 동일문제를 가지고 있고 실험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알코올 전문기관의 치료재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효과성 검증을 시도하였고, 숲체험의 치유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측정변인으로서 정서적 안정성의 상승, 수용행동의 증가 및 스트레스 지각수준의 저하,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향상 등을 선정하였다. 또한 알코올 사용 장애가 가족병이라고 일컬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의존자 본인은 물론, 의존자의 가족들에서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도 의존자들과 동일한 절차 및 변인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의존자와 가족 모두에서 대체로 정서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의존자: 부정정서 체험전 평균=9.44, 체험후=6.87. 가족: 긍정정서 체험전=14.39, 체험후=20.43). 수용행동은 의존자보다는 가족집단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고(체험전=62.17, 체험후=66.69), 의존자의 경우, 자아존중감에서 변화를 보였다. (체험전=27.67, 체험후=29.69). 결론적으로 숲체험 프로그램이 알코올 사용 장애 문제를 지닌 사람들과 그 가족에 대해서, 알코올상담센터 등 전문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유사하거나 더 나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숲체험 참가자들도 이미 각 소속 기관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독립적으로 효과적이라기보다는 상호 상승효과가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기타 제한점 및 제안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re has been generalized expectations and beliefs that the forest(nature) has an recovering effect on body-mind health. But, the research related to exploring variables and mechanisms of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 has been insufficient. The Korean Alcohol Research Foundation & Korea Forest Foundation examin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 o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Especially, considered that the 2006 research carried out pre-post test only for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ison group was comprised of other alcohol dependen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receiving similar therapeutic interventions at outpatient centers(called 'Alcohol Counselling Center' in Korea) for alcohol problems and therapeutic communities. Dependant variables were emotional stability, acceptance behavior, level of stress perception, and self-esteem. Considered that alcohol problems are characterized as family disease, patient's families also received the same intervention and assessment. The results were that emotional stabilities were generally improved in bo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cceptance behavior obviously improved in family group than patient group and self-esteem has been elevated in patients group than family group. In conclusion, Forest-healing(experience) program was proved to have similar and better effects on patients and families than the various programs of the outpatient centers and therapeutic community. It suggest that this program has mutual synergistic effect with the other general alcohol programs. And limitations and propositions were discussed.

김희수(한세대학교) ; 이민규(경상대학교) pp.745-756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심리운동 기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내담자들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총 19명으로 실험 집단 10명, 통제 집단 9명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주 1회 2시간(120분)씩 6주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 측정 도구로는 스트레스 대처 능력, 사회적 기술 척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대학생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대처능력과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처지 전후 평균의 차이검증으로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 대처 사후검사 점수의 분석에 있어 사전검사 점수의 영향을 통제한 공변량 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운동 기법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기술에 대한 공변량분석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사회적 기술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운동 기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대처 능력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장래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s of the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The assumption of this research was that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ability. For this study, two groups-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 19 students in total, were organized and the treatment was conducted a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10 college students, attended group counseling based on Psychomotology.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9 college students, had a class. The treatment lasted for an six-week period. In each week, a two-hour-long session was conducted. For the data processing, The analysis of t-test and ANCOVA was used. Two groups turned out to be all homogeneous by t-test pretesting.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Scale was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The test was employ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fter treatmen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in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Scale. These results imply that Psychomot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enhances the social skills and stress coping ability.

장은영(성균관대학교 응용심리연구소) pp.757-779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12
초록보기
초록

섭식점검행동과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확장된 행동이론 모형과 원형/행동경향 모형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서울의 사립대학교의 여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두 모형이 두 유형의 섭식행동들에 대한 예측력에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모형의 부합도 수준은 모두 양호한 편이었지만, 원형/행동경향 모형의 부합도가 더 양호하였다. 경로계수들을 보면, 행동의도의 효과가 행동경향의 효과보다 더 강력하였고, 이상섭식행동보다 섭식점검행동에서 두 이론모형이 더 잘 지지되었다. 또한 섭식점검행동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섭식점검행동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행동의도는 섭식점검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했지만,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섭식점검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섭식점검행동을 하는 원형에 대한 호의도와 주위에 섭식점검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지는 행동경향을 유의하게 예측했고, 행동경향은 섭식점검행동을 직접 예측하기도 하고, 행동의도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상섭식행동에 대한 태도가 이상섭식행동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지각된 행동통제력과 행동의도는 이상섭식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상섭식행동을 하는 원형에 대한 호의도는 행동경향과 행동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지만, 행동경향은 행동을 직접 예측하지 못하고, 행동의도를 거쳐서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apply augmented model of Ajzen's(1991)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Prototype/Willingness model to healthy and unhealthy eating behaviors and test the validities. For this purpose, the predictive powers of the precedents of each models were investigated at the sample of 183 females of University in Seou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tness of each theoretical models were moderately satisfactory, however those of P/W model were slightly better. Path coefficients showed that the predictive power of intention was stronger than willingness and two theoretical models were supported more in eating monitoring behavior than eating disorder behavior. In the case of eating monitoring behavior,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edicted intention which was the only predictor influencing behavior. Also, prototype and prevalence predicted willingness which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behavior through the effect of intention. In the case of eating disorder behavior, only attitude predicted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predicted behavior. Also, prototype predicted willingness and intention. In addition, willingness had only indirect effect on behavior through the effect of inten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김희정(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권정혜(고려대학교) ; 김종남(서울여자대학교) ; 이란(국립암센터 유방암센터) ; 이건숙(국립암센터 유방암센터) pp.781-799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생존자에게 외상후성장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외상후성장과 관련한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방암 생존자 집단 99명, 건강 통제 집단 9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유방암 생존자 집단과 일반 건강 통제 집단의 외상후성장의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둘째, 사회인구학적․암 관련 ․심리적 특성 중에서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성장과 관련 있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들 특성 중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성장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인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결과, 유방암 생존자 집단이 건강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외상후성장을 보고하였다. 또한 상관분석에서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자녀의 수가 외상후성장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외상후성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고하였다. 암 관련 특성에서는 진단 시 암 단계, 항암제 치료 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심리적 특성에서는 외향성, 개방성, 자기존중감, 대처,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성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외상후성장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은 긍정적 재구조화 대처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지각된 가족의 사회적 지지, 진단 시 암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 생존자에게서 나타나는 외상후성장 현상을 이해하고 유방암 생존자 집단의 외상후성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posttraumatic growth(PTG) of breast cancer(BC) survivo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mpared BC survivors'(n = 99) self-reports of PTG with those of age-matched healthy comparison(HC) women(n = 95). Second, we identified correlates of sociodemographics, cancer-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and PTG among BC survivors. Lastly, we explored predictors of PTG among BC survivo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BC group showed a pattern of greater PTG than HC group. Among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religion were associated PTG significantly. Disease stage at diagnosis, receipt of chemotherapy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PTG in cancer-related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xtraversion, openness, self-esteem, cop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related to greater PTG. The best predictor of PTG was positive reframing coping. In addi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to family and disease stage at diagnosis were good predictors of PTG.

정민(광주대학교) ; 노안영(전남대학교) pp.801-813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축약형 생활양식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문항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된 검사도구의 문항을 확정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에서처럼 세 개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생활양식 검사의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축약형 생활양식 검사는 기존 생활양식 척도인 BASIS-A와 정적 상관을 보여 본 검사도구의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축약형 생활양식 검사는 불안 및 자존감과 부적 상관 및 정적 상관을 보여 본 검사 도구의 공존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병원에서 진단받은 우울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생활양식 검사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검사도구의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축약형 생활양식 검사도구가 생활양식 구인들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lifestyle scale for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factor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that is, the career, the dating,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composed of the lifestyle scale. Alpha-coeffici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high.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was supported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ifestyle scale and BASIS-A.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as supported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ifestyle scale and other scales, that is, SCL-90-R and the self esteem scale.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scale was supported by the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at lifestyle scores between depressed students and compar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lifestyle scale have validity as a lifestyle test.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김인구(아주대학교 아주심리상담센터) ; 김완석(아주대학교) pp.815-832 https://doi.org/10.17315/kjhp.2008.13.3.0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 또는 수용-전념치료(ACT)의 처치효과 준거로 사용되고 있는‘심리적 수용 검사척도(AAQ)’중 특히 일반인 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Bond의 AAQ-16문항 검사에 대한 한국판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전연구에서는 사기업 및 공공기관 직원 390명이 작성한 AAQ-16문항 자료를 탐색적 요인분석하였으나 역반응-순반응 갈림현상이 나타났다. 연구 1에서는 12문항을 추가보완한 28문항의 검사지를 만들어 고객 또는 직무관련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직장인 635명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12문항 3요인 구조를 도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쇼핑몰 회사의 콜센타 직원 217명 대상으로 12문항 3요인 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목표추구행동을 단기와 장기목표로 구분한 3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왔고, 수렴․변별․준거관련 타당도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design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Bond`'s AAQ-16 questionnaire which is frequently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ACT and the state of mental healths of normal workers in organization. In preliminary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f the samples of 390 workers showed the grouping with positive versus negative response items. So in study 1, 12 items were added and with all the 28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f the samples of 635 workers who were exposured to the customer or job-related stressors, were again calculated and revealed 3-factor structure with 12 items.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f the samples of 217 call center employees of a shopping mall company showed good fits. And the convergent, discriminant, criterion validi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AAQ-12 Questionnaire were demonstrated significantl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