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세진(충남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421-443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에 대해 중독의 핵심 성분인 갈망과 조절 실패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되, 심리학적 이해와 개입이 원활한 인지적 접근을 취해 원인론을 구체화하였다. 먼저 인터넷 중독에서 갈망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갈망에 대한 인지처리모형(Tiffany, 1999; Tiffany & Conklin, 2000)을 제시하였고, Davis(2001)의 인지행동모형을 통해 인터넷 갈망의 배경이 되는 독특한 부적응적 인지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Baumeister 등(1994)의 자기조절력모형과 이에 대한 신경과학적 설명에 해당하는 숙고-반사모형(Lieberman et al., 2002)을 통해 인터넷 중독의 만성적인 자기조절 실패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합하면, 인터넷 중독을 보이는 개인은 자기초점화된 부적응적 인지로 자기조절력의 상당 부분이 소모되고 있고, 이는 스트레스 상황과의 악순환으로 자기조절력을 더 소모시켜 인터넷 중독이라는 자동처리과정의 우세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의 발달 및 유지에 관여하는 인지적 요인들에 개입하는 전략으로 인지행동치료 전략과 현황을 소개하였다. 또한 자기조절 효과가 증명된 마음챙김을 제안하였는데, 마음챙김은 의식적인 자기조절에 필수요소인 주의의 자기조절을 돕는 훈련으로, 자동처리과정의 반사적이고 습관적인 인터넷 사용 습관을 C체계로 대체해가는 변화를 가능케 한다. 더불어 마음챙김은 인터넷 중독 개입에서 역설적으로 더 활성화되는 인터넷 갈망을 단지 하나의 경험으로 자각하고 수용하여 견디어내는 방법을 알려줌으로써 갈망을 자기조절할 수 있게 한다. 즉, 갈망을 경험하여도 기존처럼 반사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기보다 그 상황을 견디어내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craving and loss of control, which are two key components of Internet addiction, and embodies etiology by applying a cognitive approach that allows smooth psychological 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First, to investigate the role of craving in Internet addiction, a cognitive processing model of craving is presented. Also this study applies a cognitive-behavioral model (Davis, 2001) to a unique maladaptive cognition, which is a background of Internet craving. And chronic failure of self-regulation in Internet addiction is examined through a self-regulation model (Baumeister, 1994) and a reflection-reflexion model (Lieberman et al., 2002), which describes a neuroscientific explanation to self-regulation. To sum up, Internet addicts consume a significant portion of self-regulatory strength due to self-focused maladaptive cognition and bring about the predominance of automatic processing of Internet addiction by consuming more self-regulatory strength as a result of the vicious cycle of stressful situations. This study presents cognitive-behavioral strategies as an intervention to cognitive factors that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Internet addiction.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mindfulness that shows self-regulation effects. Mindfulness helps self-regulation of attention, which is a crucial factor in conscious self-regulation. Mindfulness is helpful for changing automatic, habitual Internet use into the C-system. Besides, even though Internet craving is paradoxically more activated in the process of intervention, mindfulness helps self-regulation of craving by accepting Internet craving as an experience and showing ways to endure craving. In other words, through mindfulness, Internet addicts are expected to control Internet craving instead of using the Internet reflexively as before.

조연정(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전북대학교) pp.445-464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02
초록보기
초록

수용 전념 치료(ACT)프로그램이 문제 음주 대학생의 문제 음주 행동, 알코올 기대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소재 대학교 473명의 대학생에게 알코올 사용 장애 척도 - 한국판(AUDIT-K), 문제음주 선별 검사(PDST), 알코올 기대 척도(AE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제 음주 대학생 14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 집단에 7명, 통제집단에 7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조사가 실시되었고 4주 후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알코올 사용, 문제음주 행동 및 긍정적 기대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추적 조사까지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참여한 집단이 통제 집단 보다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감소를 보였고, 추적 조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4주간의 짧은 기간이었으나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문제 음주 대학생들을 선발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ACT 실시하였으며, 사회 인지적 측면에도 초점을 두었으며, 치료 집단과 통제 집단의 알코올 사용 시기에서 차이 볼 수 있었고. 본 프로그램에서 탈락자가 없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 점은 일반화의 어려움, 연구자와 집단 프로그램 진행자가 동일하다는 점, 비교집단이 없다는 점, 음주 시작 시기가 한정 되어있다는 점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여 연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problem drinking behavior, alcohol expectancy, and perceived stress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 drinking. Four hundred seventy three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 drinking who liv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K), Problem Drinking Screening Test(PDST), Alcohol Expectancy Scale(AES), and Perceived Stress Scale(PSS). Fourteen pati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7 in the ACT group and 7 in the control group.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K), Problem Drinking Screening Test(PDST), Alcohol Expectancy Scale(AES), and Perceived Stress Scale(PSS) at pre-test, post-test, and at 8 weeks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roblem Drinking Behavior, Alcohol Expectancy, and Perceived Stress of therapy group was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김지원(중앙대학교) ; 이장한(중앙대학교) pp.465-478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체형에 대한 타인의 긍정적인 피드백이 섭식억제자의 자존감과 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89명의 여대생을 섭식억제 수준(억제, 비억제)과 처치조건(통제, 몸매평가, 몸매평가 후 긍정피드백)에 따라 6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처치조건 전후에 자기보고식 척도와 암묵적 연합검사를 실시하여 명시적 및 암묵적 자존감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실제 초콜릿 섭취량을 측정하여 섭식행동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암묵적 연합검사에서는 섭식억제 수준과 처치조건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반면, 자기보고식 척도와 초콜릿 섭취량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섭식억제자는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에 몸매평가 조건에서는 암묵적 자존감이 저하된 반면, 몸매평가 후 긍정피드백 조건에서는 암묵적 자존감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비섭식억제자의 암묵적 자존감은 처치조건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체형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이 섭식억제자의 자존감을 고양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나아가 치료적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ositive feedback has an effect on a restrained eater's self-esteem and eating behavior. A total of 89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6 groups: restrained level (restrained, unrestrained) and treatment (control, shape evaluation, shape evaluation and positive feedback). All participants did self-report and the implicit self-esteem test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o show changes in their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Furthermore, we measured how participants consumed chocolate to examine eating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licit self-esteem test was significant in restrained level and treatment; however, there no significance was found in self-report and eating behavior. That is, restrained eaters reported lower self-esteem after shape evaluation, but they reported higher explicit self-esteem after treatment with shape evaluation and positive feedback. On the other hand, unrestrained showed no change in self-esteem and eating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positive feedback is effective in enhancing self-esteem in restrained eaters.

박준휘(동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성진(부산대학교) ; 홍창희(부산대학교) pp.479-497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화치료가 만성 조현병 환자의 정서인식과 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34명의 조현병 환자 중 치료집단 17명이 영화치료에 비교집단 17명은 운동 및 요리요법에 참여하였다. 영화치료는 8회기로 1주에 1회씩 진행되었다. 환자들은 영화치료 전과 후에 특질기분척도, Berkeley 표현질문지, 수정된 공감지표, 관계변화척도를 실시하였다. 또한, 정신보건 전문요원(정신보건사회복지사)이 정서행동척도로 정서인식과 표현, 타인에 대한 정서인식을 평정하였다. 그 결과, 영화치료에 참여한 환자들은 운동과 요리요법에 참여한 환자들 보다 정서인식과 표현 및 공감능력이 향상되었다. 논의에서는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inema therapy on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y for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A Total of 34 schizophrenia patients at a day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alf of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the cinema therapy group, whereas the other half were for the comparison group; each group took a physical and cook therapy. All patients took a total of 8-sessions for a 8-week period. The patient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cinema therapy with the following scales. The scales included the Trait Meta-Mood Scale (TMMS), the Berkeley Expressivity Questionnaire (BEQ), the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ECA), and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Also, clinical social workers rated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lf-emotion, emotion recognition towards othe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Emotional Behavior Scale (EB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tients in the cinema therapy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score in emotional recognition, expression, and empathy scale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have been discussed.

양슬기(연세대학교) ; 정경미(연세대학교) pp.499-516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행동 유형에 따라 자기관리 수업의 효과성이 달라지는가를 보기 위해, 첫째, 자기관리 수업의 개입효과를 목표 행동에 따라 나누어 직접적으로 비교하고, 둘째, 다수의 측정변인으로 개입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 대학교에서 자기관리 수업을 수강하면서 행동수정 프로젝트를 완료한 수강생들 중 제외기준에 해당하는 147명을 제외한 12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관리 수업은 기저선(2-3주), 자기관리 수업(3개월), 종결로 진행되었다. 수업의 첫 주와 마지막 주에 수강생들은 자기보고 설문을 작성하였다. 이에 더하여, 수강생들은 자신의 목표행동을 매일 기록하였다. 연구자는 이렇게 수집된 행동자료를 PEM, 개입 전-후의 신뢰구간 비교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목표 행동에는 학습, 운동, 수면, 긴장 습관, 식습관이 있었는데, 연구 결과, 자기관리 수업의 개입효과는 목표 행동의 유형에 따라 유의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긴장습관에는 수면과 운동 행동보다 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결과는 측정변인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a self-management (SM) course differed depending on the target behavior typ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taught behavioral principles relevant to self-management and were asked to modify their own problem behaviors using those principles. In the present study, we (a) directl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he SM course across target behavior types and (b) measured behavior change outcomes based on three variables. A total of 268 university students took the SM course and participated in the self-modification project, and 121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udy timeline was as follows: baseline (2-3 weeks), SM course (3 months), and final week. During the baseline and final weeks, students filled out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addition, they recorded their daily behavior during the SM course regarding their target problem behavior.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SM cour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behavior type, which were study habits, exercise behaviors, sleeping habits, nervous habits, and eating habits. More specifically, nervous habits were more amenable to change through the SM course than sleep habits and exercise behavior. These findings were similar across the three different outcomes measur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김원자(삼육대학교) ; 서경현(삼육대학교) pp.517-533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이 경계선 성격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고, 거부적 부모양육태도와 경계선 성격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78명(남: 111, 여: 167)의 대학생들이고, 평균 연령은 19.92(SD=1.77)세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및 경계선 성격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부적 관계가 있었다.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대학생의 경계선 성격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는데, 그런 관계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의 거부적 양육태도에서 나타났다.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정서적 불안정을 제외한 모든 경계선 성격 하위요인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한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경계선 성격과 부적으로 관계하고 있었으며, 자아탄력성은 경계선 성격의 변량을 43.6%나 설명하고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경계선 성격을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경계선 성격에 대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의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역할에 관해 대상관계이론과 Adler의 개인심리학 그리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하고, 추후연구의 방향과 임상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jective rearing attitude and ego-resiliency and borderline personality, and to examine the roles of ego-resil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jective rearing attitude and borderline personality. Participants were 278 (111 males and 167 females)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age was 19.92(SD=1.77). Perceived parents’ rejective rearing attitude, ego-resiliency, and level of borderline personality were measu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perceived parents’ rejective rearing attitud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y of college students. Parents’ rejective rearing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rderline personality; its relation was shown in rejective rearing attitudes of both father and mother. Parents’ rejective rearing attitud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sub-factors of borderline personality except for emotional instability. Moreover, ego-resiliency of college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rderline personality, and ego-resiliency accounted for around 43.6% variance of borderline personali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ego-resiliency partially mediates parents’ rejective rearing attitud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he influences of parents’ rejective rearing attitude and the roles of ego-resiliency in borderline personality were discussed with object relations theory,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nd previous studies,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ies and the clinical meaning of this study were recommended.

이인혜(강원대학교) pp.535-556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10-2011년 한국의 구제역 사태 때 가축매몰 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의 인지적 특성과 심리적 외상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긍정적/부정적 인지정서조절전략과 개념적/자료중심적 기억처리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모두 성인 남자들로, 강원도의 구제역 발생지역(철원, 횡성, 홍천, 원주)에서 가축매몰 작업에 직접 참여했거나 참여하지 않았던 주민과 지자체 공무원 총 167명이었다. 이들을 학력과 나이를 매칭하고, 무작위 표본 추출을 통해서 매몰(22명)과 비매몰(22명) 집단으로 구분했고, 또 매몰 작업자들의 PTSD 점수를 근거로 PTSD 위험군(28명)과 비위험군(28명)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PTSD 점수에 대한 인지적 특성들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매몰 작업자 141명을 대상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IES-R-K), 간이정신상태진단검사(SCL-90-R), 인지정서조절전략 질문지(CERQ), 그리고 한국판 캘리포니아 언어학습검사(K-CVLT)였다. 연구 결과, 매몰집단은 비매몰집단보다 사건충격척도의 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매몰 집단은 가축 살 처분 작업으로 인한 외상으로 PTSD 증상을 더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PTSD 위험군은 비위험군보다 모든 SCL-9()-R의 하위 척도 점수가 높았다. 이는 PTSD 위험군은 일반 정신적인 문제들도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PTSD 증상을 잘 예측해주는 인지적 변인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이었다. 기억처리전략의 설명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구제역 재난은 가축매몰 작업자에게 상당한 심리적 손상을 입혔고, 이 외상에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이 관여한다는 것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향후 재난 지역의 주민들의 개입 매뉴얼에 심리학적 개입이 필요하고, 특히 인지적 취약성이 포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In 2010-2011, South Korea experienced an epidemic of foot and mouth disease among livestock, during which 3,390,000 animals were culled. Burying farm animals resulted in substantial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Korean farmers and rural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vulnerabilit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memory strategy) of a rural population exposed to the burying of farm animals. A total of 167 individuals from 4 rural communities (Chulwon, Wonju, Hongchon, Heongsung) in Gangwon Province in South Korea including those who had buried and those who had not buried animals completed SCL-90-R, IES-R-K(Impact of Event Scale–Revised-the Korean version), CERQ-K(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the Korean version), and K-CVLT(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Serious psychological disturbances were found in those who had engaged in burying animals compared to those who had not.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predicts PTSD severity. Finally, memory strategy(i.e. data-driven processing and conceptual processing) differentiated neither the risk nor the severity of PTSD. From these results, I conclude that such agricultural crises can have a substantial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김덕용(중앙대학교) ; 이장한(중앙대학교) pp.557-566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08
초록보기
초록

도박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신념은 도박 중독자가 도박 행동을 유지하고 지속하게 하는 주요한 변인으로 주로 자기보고식 측정법을 이용하여 외현적으로 측정된다. 하지만 외현적 방법으로 도박에 대한 태도와 신념을 측정하면 의식적으로 축소하거나 왜곡하여 보고할 수 있으므로 자동적이고 암묵적 태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박 문제가 있고 없는 비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도박에 대한 외현적 또는 암묵적 태도의 차이를 설문지와 도박 암묵적 연합검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332명의 남자 대학생들에게 한국형 사우스-오크 병적 도박검사를 실시하여 도박 경험이 있으면서 도박문제가 있는 집단 23명과 도박 경험은 있으나 도박 문제가 없는 집단 1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별하였다. 도박에 대한 외현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도박 태도 및 신념척도와 비합리적 도박신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암묵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도박 암묵적 연합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박 문제가 있는 집단은 도박 문제가 없는 집단보다 도박에 대해 더 긍정적인 암묵적 태도를 보였지만, 외현적 태도를 묻는 도박 태도 및 신념척도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도박 문제에 따라 도박관련 외현적 및 암묵적 태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도박 중독자의 도박에 대한 태도를 측정할 때 사회적 바람직성으로 인해 외현적 보고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암묵적이고 자동적인 태도 측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Abstract

Hav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s gambling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gambling addiction continues to relapses. A person’s attitude toward gambling can be explicitly evaluated using self-report scales. However, explicit attitudes can be automatically manipulated in conscious awareness. Implicit attitudes, on the other hand, are automatically activated and can influence behavior outside the boundaries of consciousness. Thus, the aim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toward gambling in accordance to the severity of gambling using the Gambling-Implicit Association Test (G-IAT) and self-report scales. Participants consisted of 42 male undergraduates from 332 undergraduates who have experienced gambling at least onc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high severity gambling group (N=23) and a low severity gambling group (N=19). Their explicit attitudes towards gambling was assessed using the Gambling Attitudes and Beliefs Scale. The participants' implicit attitudes toward gambling were evaluated using the G-IA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mplicit attitudes, the high severity gambling group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gambling than the low severity gambling group.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explicit attitudes toward gambling between the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severity of gambling show differences in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assess implicit and automatic attitudes independently of social desirability when evaluating the severity of gambling.

서경현(삼육대학교) ; 서정열(삼육대학교) pp.567-578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흡연하는 청소년들을 흡연 유형과 흡연의존 경향성과 관련된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흡연하는 고등학생들의 성별, 연령, 낮은 학업성적, 충동성, 또래 일탈동조, 자존감 및 부모와의 갈등과 흡연 유형 및 니코틴 의존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흡연하는 고등학생 201명(남성 113명, 여성 88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4세에서 18세 사이였다. 상관분석 결과, 연령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흡연을 제외한 모든 흡연 유형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낮은 학업성적은 자극추구를 위한 흡연이나 충동적 흡연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존감은 충동적 흡연이나 습관성 흡연을 제외한 다른 흡연 유형들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래 일탈동조는 흡연 유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또래 일탈동조는 물론 충동성과 부모와의 갈등은 모든 흡연 유형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낮은 학업성적을 제외한 성별, 즉 남성, 연령, 충동성, 또래 일탈동조, 자존감 및 부모와의 갈등 모두 니코틴 의존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니코틴 의존을 준거변인으로 하는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낮은 학업성적, 충동성, 자존감 및 부모와의 갈등은 모형에서 제외되었으며, 또래 일탈동조, 성별 및 연령이 유의한 예언변인이었다. 또래 일탈동조가 청소년의 니코틴 의존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설명력이 약 21.9%이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with smoking styles and proneness of tobacco dependence among adolescent cigarette smok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researchers analyzed the relations of gender, age, low academic achievement, impulsiveness, peer deviant conformity, self-esteem, and conflicts with parents to smoking styles and nicotine depend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moking cigarettes. The participants were 201 high school students (118 males and 88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4 to 18.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moking styles except smoking for stress release, while low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oking for sensation seeking and impulsive smoking. Moreover,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moking styles except impulsive smoking and habitual smoking. Peer deviant conformity was closely correlated with smoking styles. Impulsiveness and conflicts with parents, as well as peer deviant conform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moking styles. Gender, impulsiveness, peer deviant conformity, self-esteem, and conflicts with parents, except low academic achieve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icotine dependenc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for nicotine dependence revealed that peer deviant conformity, gender, and ag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however, low academic achievement, impulsiveness, self-esteem, and conflicts with parents were eliminated form this model. Peer deviant conformity was a determinant factor for nicotine dependence of adolescents; its accountability was around 21.9%.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discussion and information for further studies.

최성진(부산대학교) pp.579-588 https://doi.org/10.17315/kjhp.2013.18.3.010
초록보기
초록

타인의 얼굴 정서 인식은 대인관계 의사소통과 의미 있는 사회행동에 중요하다. 치매 환자의 경우 얼굴 정서 인식에 선택적 손상이 있다는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 그렇지 않다는 결과도 있어 논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 노인과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얼굴 정서 인식 손상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실험참가자들은 정서차원평정과제와 정서구별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차원 평정점수에서 정상 노인과 치매 환자 모두 혐오, 분노, 공포, 슬픔, 놀람, 중립 순으로 정서를 부정 평정하였고, 행복은 긍정 평정하였다. 한편, 치매 환자는 정상 노인에 비해 공포, 분노, 슬픔을 더 부정적으로 평정하였고, 행복은 덜 긍정적으로 평정하였다. 정서구별과제에서는 정상 노인과 치매 환자 모두 행복, 놀람, 중립, 분노, 슬픔, 혐오, 공포 순으로 정확반응률이 높았다. 그리고 치매 환자는 정상 노인보다 공포, 슬픔, 혐오, 중립의 정확반응률이 저조하였다. 즉, 인지 기능 저하에 따라 얼굴 정서 인식의 정확도에 선택적인 감소가 있었다. 얼굴 정서 인식에 대한 이해는 치매 환자가 남아 있는 능력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고, 필요한 치료재활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Abstract

Recognizing facial emotion from others is important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control for meaningful social behaviors.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dementia, most studies found that they had selective impairments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whereas other studies disagre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irment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by declined cognitive function for the normal elderly and patients with dementia. Participants took two rating tasks of emotion-dimension and emotion-distinction. For the rating task of emotion-dimension, both the normal elderly and patients with dementia rated disgust, anger, fear, sadness, surprise; and neutral negatively in order, and rated happiness positively. Patients with dementia rated fear, anger, and sadness more negatively and happiness less positively compared to the normal elderly. For the rating task of emotion-distinction, both the normal elderly and patients with dementia showed a high rate of accuracy of happiness, surprise, neutral, anger, sadness, disgust, and fear in order. However, patients with dementia demonstrated a lower rate of accuracy of fear, sadness, disgust, and neutral compared to the normal elderly. The results imply that selective impairments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were caused by declined cognitive function. A better understanding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for patients with dementia will help design a therapeutic rehabilitation program that is necessary for social interaction with their remaining abilit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