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방은별(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 김제중(덕성여자대학교) pp.293-309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점진적 가상현실 노출치료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발표불안 및 자기초점적 주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여자 대학교 재학생 중 높은 발표불안을 보고한 학생 65명을 처치집단(n=31)과 대기통제집단(n=34)에 무선 할당하였다. 처치집단에는 총 4회기의 점진적 가상현실 노출치료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한국판 발표불안 척도, 한국판 발표불안 사고 검사,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 수행불안에 대한 행동 목록, 심박 측정기, 주관적 불안 척도이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발표불안, 발표불안 사고, 자기초점적 주의, 수행불안에 대한 행동목록, 주관적 불안 및 심박수에서 측정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사후개별비교 결과 처치집단의 치료효과는 3주 후에 실시된 추후 검사에서도 지속되었다. 각 참여자에게 나타난 처치효과가 신뢰로운 수준인지 검증하기 위해 추가로 신뢰변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산출된 모든 종속 측정치에서 처치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처치 반응률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graded exposure therapy on public speaking anxiety and self-focused atten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Sixty-fiv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scored more than 71 on Speech Anxiety Scal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31) or a wait-list control group (n=34).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4 sessions of virtual reality graded exposure therapy over a period of 2 weeks (30 minutes each, twice a week). The two groups completed questionnaires during the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at three-weeks after the treatment period. Some of the measurement version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Speech Anxiety Scale (K-SAS), the Korean version of the Speech Anxiety Thoughts Inventory (K-SATI),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SDSAS), Subjective Anxiety Ratings, Timed Behavior Checklist for Performance Anxiety (TBCL) and a Fingertip pulse oximet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peech anxiety, speech anxiety thoughts, self-focused attention, subjective anxiety, observer evaluation of anxiety behaviors, and heart rat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wait-list control group.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at the three-week follow-up period. In the RCI, the treatment response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o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윤석인(아주대학교) ; 김완석(아주대학교) pp.311-329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한 사람들의 위협에 대한 주의-시간과정에 미치는 짧은 마음챙김 유도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을 두 개의 집단(마음챙김, 통제) 중 한 집단에 무선할당 하였으며, 각 집단에 배정된 참가자들은 간단한 처치를 마치고 난 후에 탐침탐사과제를 실시하였다. 주의의 시간과정을 고려하여 탐침탐사과제의 자극제시시간을 450ms와 1250ms로 조정하였으며, 각 집단 별로 특질불안 수준이 높은 상위 50퍼센트 참가자들의 수행을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집단 간 비교 결과, 자극제시시간에 관계없이 통제집단은 마음챙김 집단보다 위협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집단 별 주의편향의 질적인 변화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통제집단은 자극이 짧게 제시되는 경우에는(450ms) 위협에 대한 경계편향을 보인 반면, 자극이 길게 제시되는 경우에는(1250ms) 주의편향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마음챙김 집단은 자극제시시간에 관계없이 주의편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기존의 경계-회피가설을 지지하는 동시에, 짧은 마음챙김 유도가 주의편향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ief mindfulness induction on time-course of attention to threat seen by anxious people. To do thi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mindfulness, control), and performed dot-probe task after completing a brief treatment session. Considering the time-course of attention, the stimulus-presentation time of dot-probe task was adjusted to 450ms and 1250ms, and the performance of the top 50 percent participants with high level of trait anxiety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results. As a result of between-group comparison, control group was foun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threat than mindfulness group regardless of the stimulus-presentation time. Examining the qualitative change patterns of attention bias in groups showed that control group had an attentional bias toward the threat when the stimulus was presented shortly (450 ms), but had no bias when the stimulus was long (1250 ms). On the other hand, mindfulness group showed no bias of attention regardless of the stimulus-presentation time. These results verified vigilance-avoidance hypothesis and brief mindfulness induction reduced attentional bia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혜원(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pp.331-344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마음챙김명상이 ADHD 아동의 주 증상과 정서 정서인식능력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근교에 위치한 건강증진센터에 내방 경험이 있는 아동 중 ADHD 진단을 받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었다. 놀이마음챙김명상 집단에 11명, 대기-통제 집단에 10명을 무선 할당하였고 놀이마음챙김명상 집단은 한 회기 당 60분씩 4주 동안 8회기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측정 도구는 한국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평가척도(K-ARS)와 정서인식능력 검사(ERT)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마음챙김명상 집단이 대기-통제 집단에 비해 주 증상[F(1,18)=20.49, p<.001]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정서인식능력[F(1,18)= 5.46, p<.0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놀이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 증상을 개선시키고, 정서인식능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play-mindfulness meditation on main symptoms and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ADHD. The subjects were 21 elementary lower grade students who were previously diagnose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visited at health promotion center located near Seoul. The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play-mindfulness meditation application group (n=11) or a waiting-control group (n=10). Play-mindfulness meditation group participated and completed 8 treatment sessions with 4 weeks. Each session was 60 minutes long.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e study were Korean ADHD Rating Scale(K-ARS) and Emotional Recognition Test(ERT).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 play-mindfulness meditation applic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symptoms by[F(1,18)=20.49, p<.001] and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by[F(1,18)=5.46, p<.05] compared to waiting-control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play-meditation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to improve symptoms and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for children with ADH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정민경(서울여자대학교) ; 송미경(서울여자대학교) pp.346-369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 개인의 자존감 안정성의 변화 양상을 다각적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는 성인 자존감 안정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 단일요인으로 설명하였던 자존감 안정성을 주변 환경에 대한 통제력, 타인의 평가에 대한 안정성, 자기-가치 안정성 3가지 구성개념으로 확장하였고 문헌 연구·기존 척도 분석, 전문가 면담을 통해 예비문항을 개발, 성인(만 20세-만 64세) 222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26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한 표본 집단 A(260명)와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위한 표본 집단 B(250명)로 나누어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 3요인 구조의 14문항이 도출되었으며 개발된 척도의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 준거타당도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개발된 성인 자존감 안정성 척도 14문항에 대한 점수분포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sting tools that explore an individual’s stability of self-esteem in multilateral aspects. To effectively pursue this purpose, the paper investigated three structural elements- environmental mastery, stability for evaluation of others, stability of self-worth- rather than limited to just one element. The study preliminary items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survey of 222 adults (aging from 20 to 64). Afterwards, the resulting data was analyzed through item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a preliminary scale- 3 elements with 26 items- was constructed. The main part was conducted with group A of 250 people for EFA and group B of 246 people for confirmatory factor (CFA)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item analysis, EFA, CFA and reliability analysis. After the analysis, the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 for Adult- having 3 elements with 14 items- was developed. After checking the scale’s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scores distribution for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 for Adult with 14 items was confirmed.

김시형(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신지영(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이동훈(성균관대학교) pp.371-391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668명의 사별을 경험한 성인의 지속비애 증상의 패턴과 지속비애 증상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사별 관련 변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로 지속비애 증상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지속비애 증상의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 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여 어떠한 집단이 형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사별 관련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속비애 증상의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는 지속비애 증상의 적응 집단과 고위험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두 집단은 모두 ‘분리 디스트레스’보다 ‘외상성 디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적응집단과 고위험 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인구사회학적 변인에서는 종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별 관련 변인에서는 사별 이후 기간과 사망 당시 고인의 연령, 고인과의 관계, 사별 원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odemographic and bereavement-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the patterns of prolonged grief symptoms of Korean adults who had lost their loved ones. A Prolonged Grief Disorder Scale (PG-13) was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performed to identify pattern of prolonged grief symptoms. Also,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bereavement-related variables that influence group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wo different classes were found: a resilient class and, a prolonged grief symptoms class. These groups showed that traumatic stress was higher than separation stress. Significant class differences were found in religion, time since the event, the deceased's age at death, relationship with deceased, and cause of dea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한초롱(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pp.393-411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서 마음챙김 기반 폭식 개선 프로그램이 폭식경향 여대생의 부정정서, 고통 감내력, 정서적 섭식 및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권에 거주하는 여대생 중 폭식경향을 보고한 학생 32명을 처치집단(n=16)과 대기통제집단(n=16)에 무선할당 하였다. 처치집단은 주 2회, 50분 내외로 총 6회기의 정서 마음챙김 기반 폭식 개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전, 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3주 후 추수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BULIT-R), 식사장애 검사(EDI), 식이 행동 질문지(DEBQ), 정신건강 척도(SCL-90-R), 한국판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CAMS-R), 고통 감내력 척도(DTS), 거울 보고 별 모양 따라 그리기 검사(MTPT-C)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부정정서, 정서적 섭식 및 폭식행동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통 감내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 효과는 추수검사 시기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처치집단의 거울 보고 별 모양 따라 그리기 검사(MTPT-C) 지속시간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참가자들에게 나타난 처치효과가 신뢰로운 수준인지 검증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처치집단에서 평균 63.8%, 대기통제집단에서 평균 17.01%의 처치 반응률을 나타냈다. 두 집단 간 신뢰변화 지수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mindfulness based binge improvement program on binge eating behavior and its associated psychological factor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prone to binge eating disorders. The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scores on the BULIT-R (Bulimia Test Revised). 16 od the students randomly assigned to the emotion-mindfulness group and 16 in the wait-control group. The emotion-mindfulness based binge improvement program were administered for 6 sessions (50 minutes each, twice a week). All participants of the emotion-mindfulness group and wait-control group completed pre-test, post-test, 3 weeks follow-up test. Some of the measurements tools employed by the researcher include Bulimia Test Revised(BULIT-R), Eating Disorder Inventory(EDI),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DEBQ), Symptom Check List(SCL-90-R), Distress Tolerance Scale(DTS), The Computerized Mirror-tracing Persistence Task(MTPT-C), and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cale Revised(CAMS-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provided that the scores of anxiety, depression, distress tolerance, emotional eating and binge eating behavior in the emotion-mindfulness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and the effects were maintained within a three-week follow-up period. However, on the Computerized Mirror-Tracing Persistence Task (MTPT-C)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emotion-mindfulne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RCI test, the treatment response rate was approximately 69.78% in the emotion-mindfulness group and 17.01% in the wait-control group. The RCI is appeared to be significant between group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마정이(아주대학교 라이프미디어협동과정(IT심리전공) 박사과정) ; 김완석(아주대학교) pp.413-428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자비심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자비심과 개인의 웰빙을 연결하는 하나의 경로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지지원이 사회적 지지 지각을 통해 스트레스에 부적으로 미치는 매개 효과를 자비심이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원, 사회적 지지 지각, 자비심,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절된 매개 모형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원이 사회적 지지 지각을 통해 스트레스에 부적으로 미치는 매개효과를 자비심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자비심은 사회적 지지를 더 크게 지각하게 하여 스트레스 반응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타인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키우는 것이 타인 뿐 만 아니라 자신에게 유익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개인의 심리적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개입 방법으로서 자비심을 확장하고 배양시키는 훈련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one path that links compassion and individual well-being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role of 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ss response. With this purpose, the aim was oriented towards the analysis of moderated mediation of compassion among the social resource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tress response. In this study, 252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to measure social resources, perceived social support, compassion, and stress response. The result indicated that compassion moderated the level of mediation between social resources and stress response through perceived social support, thus producing a mediation effect. In other words, com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tress response reduction through the perception of more social support. These results implied that raising love and interest for others is beneficial not only for others but also for oneself.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raining to expand and cultivate compassion for others as an intervention method can be effective in the alleviation of individual psychological distress. Fin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김은자(진안군 정신건강복지센터) ; 이민규(경상대학교) pp.429-449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가해염려형 사회공포증, 외모거부민감성, 신체변형걱정이 성형수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선행연구 결과와 개념적 의미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만 18-29세의 한국 남녀 405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링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변인들 중 신체변형걱정만이 성형수술수용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외모거부민감성과 가해염려형 사회공포증은 각각 성형수술수용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신체변형걱정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가해염려형 사회공포증과 성형수술수용의 관계에서는 외모거부민감성과 신체변형걱정의 이중매개효과도 유의미하였다. 한편, 대안모형을 세 가지로 설정하여 연구모형과 비교하였으며, 외모거부민감성에서 성형수술수용에 이르는 직접 경로가 삭제된 대안모형 1이 연구모형보다 더 우수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에 대한 성별에 따른 구조모형의 동일성을 검증하였으며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는 남녀집단에서 동일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신체변형걱정을 비롯한 다른 연구 변인들에 초점을 맞춘 심리치료적 개입이 성형수술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jin kyofusho,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and body dysmorphic concerns on the acceptance of cosmetic surgery. Based on previous study results and conceptual meanings,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and verified to be fit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05 Koreans, aged 18-29,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the result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only body dysmorphic concerns had a direct effect on the acceptance of cosmetic surgery. The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and tajin kyofusho had a indirect effect on the acceptance of cosmetic surgery, mediated by body dysmorphic concerns. Moreover the dual mediation of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and body dysmorphic concerns was significant between tajin kyofusho and the acceptance of cosmetic surgery. In the comparison of three alternative models and the study model, the alternative model 1 was deemed to be better than other alternative models and the study model. Finally, we verified that the research model could be apply to both male and female group, through the use of multiple group analysis. The structural relations of the variables were confirmed to be similar in both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cused on body dysmorphic concerns and other variable could be beneficial to improve the satisfaction in cosmetic surgery. Moreov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y were discussed.

김에스더() ; 김정규(게슈탈트 하일렌) pp.451-468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람들이 충격적인 사건을 겪은 뒤 외상 후 성장을 할 때, 감사성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과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구조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감사성향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하고,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각각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랐다. 전국의 20-30대 408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외상관련 질문지,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완성하게 하였고, 총 33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를 사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고, Mplu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두 매개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Bootstraping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감사성향,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외상 후 성장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감사성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감사성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성향,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을 변인으로 선택하여 외상 후 성장을 설명한 본 연구의 모형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또한, 감사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외상 후 성장을 이끄는 치료적 개입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과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relationships among grateful disposition, posttraumatic growth(PTG) and mediating variables such as social support and ego resilience. The subjects were 408 participa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Most of them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Korean age.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uch as demographic information, Questions about traumatic events, Gratitude Questionnaire- 6(K-CQ-6), Ego-Resiliency Scale(ER), Social support Scale and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Only 333 cases were chosen for data analysis. SPSS and Mplus program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dditionally, Bootstraping analysis was used to verify significance.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 among grateful disposition, social support, ego resilience and PTG were positively significant. Seco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TG was observed.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between grateful disposition and PTG was observed.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model of study was appropriate. Also, the results offer the suggestion about remedial intervention by revealing that grateful disposition affect PTG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ocial support and ego resilience.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md suggestions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신성경(중앙대학교) ; 이장한(중앙대학교) pp.469-486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독행동 유발과 관련이 있는 위험감수 성향이 폭식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고열량 음식 섭취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총 465명의 대학생을 폭식 척도의 절단점을 기준으로 심각한 폭식경향(40명)과 중간 수준의 폭식경향(40명)으로 분류한 뒤, 모든 참여자에게 풍선 위험 과제로 위험감수 성향을 측정하고 보거스 맛 테스트로 고열량 음식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풍선 위험 과제는 풍선이 터지기 전까지 팽창시켜 금전적 보상을 획득하는 과제로, 각 개인이 풍선이 터지는 위험을 언제까지 감수하는지 확인하여 위험감수 성향을 측정한다. 실험 결과, 위험감수 성향이 폭식경향자의 고열량 음식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감수 성향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여 폭식경향자의 고열량 음식 섭취량을 위험감수 성향이 변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폭식경향과 위험감수 성향이 모두 높은 경우 고열량 음식 섭취량이 가장 많은 반면, 폭식경향과 위험감수 성향이 모두 낮은 경우에 고열량 음식 섭취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위험감수 성향이 폭식경향자의 고열량 음식 섭취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두 요인이 결합된 위험감수 성향이 높은 심각한 폭식경향자는 고열량 음식의 위험을 감수하고 자극적인 맛의 고열량 음식을 추구하는데 비해, 위험감수 성향이 낮은 중간 폭식경향자는 고열량 음식의 맛과 위험을 추구하지 않으므로 고열량 음식 섭취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sk-taking which causes addictive behaviors on high-calorie food intake in University students with binge eating tendency. For this purpose, 465 undergraduates were divided into severe-binge group (n=40) and moderate-binge group (n=40) using binge eating scale. All participants did the Balloon Analogue Risk Task (BART) to assess risk-taking and the bogus taste test to measure the high-calorie food intake. BART is a computerized task pumping a balloon to get monetary compensation until it pops up, participants can decide either to keep pumping a balloon with risk or stop pumping to save money.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signifying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binge eating tendency and higher risk-taking level consumed the most high-calorie food while individuals with lower binge eating tendency and lower risk-taking level consumed the least high-calorie food. This suggests that risk-taking is a factor moderating the high-calorie food intake of binge eaters, severe-binge eaters with high risk-taking pursue the palatable taste and take the risk of high-calorie food, whereas moderate-binge eaters with low risk-taking do not pursue the taste and risk of the high-calorie food and show the least intake.

김지선(서대문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황성훈(한양사이버대학교) pp.487-509 https://doi.org/10.17315/kjhp.2019.24.2.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애적 성격이 SNS 중독 경향성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이해하고자 실시되었다. 자기애가 높으면 인정과 보상을 추구하는 행동활성화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가 작용하므로 이에 적합한 환경인 SNS의 과사용으로 이어진다는 BAS 매개 가설을 검증하고, 더 나아가 BAS를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처벌을 피하려는 행동억제체계(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조절된 매개 가설을 입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사이버대학교 재학생 중 여성 292명에게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 처벌 및 보상 민감성 질문지(SPSRQ), 그리고 SNS 중독 경향성 척도를 실시했다. Process Macro 2.16(Hayes, 2013)을 이용해 Preacher, Rucker 및 Hayes(2007)에 따라 매개, 조절, 그리고 조절된 매개분석으로 구성되는 3단계의 순차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1단계에서 자기애와 SNS 중독의 관계를 BAS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 BAS가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BIS의 수준에 따라 달라져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3단계 분석에서는 가정했던 조절된 매개모형이 최종적으로 지지되었다. 여성에서 자기애가 BAS를 중간 기제로 SNS 중독으로 이어지되, BAS를 거치는 간접효과의 강도는 BIS의 수준이 높을 때 커지는 양상이었다. 이는 자기애적인 사람은 BAS가 높고, 동시에 BIS도 높을 때 SNS 중독이라는 증상을 발현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와 이를 보완하기 위한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ath of narcissistic personality toward SNS addiction proneness in women. The study intended to test the hypotheses that narcissistic personality would lead to the abuse of SNS through reward-seeking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and that the indirect effect via BAS can depend on the level of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to avoid punishment. In order to measure the variables,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PNI), Sensitivity to Punishment and Sensitivity to Reward Questionnaire(SPSRQ), and SNS Addictive Tenden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292 women cyber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the hypotheses, Process Macro 2.16(Hayes, 2013) was used to analyze in three steps: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ccording to Preacher, Rucker & Hayes(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AS was found to mediate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moderation effect of B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observed. Third, BIS also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SNS addiction proneness via BAS. Narcissism leads to SNS addiction through BAS and the intensity of the indirect effect via BAS increases with increasing BIS level. This finding suggests that narcissistic people are more likely to develop symptoms of SNS addiction when both BAS and BIS levels are high.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as well as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