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경미(연세대학교) ; 양윤정(연세대학교) ; 정승민(연세대학교) ; 이경숙(한신대학교) ; 박진아(경기대학교) pp.785-807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2년 개정된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 단축형(Parenting Stress Index Fourth Edition Short Form: PSI-4-SF)을 번역하고 표준화하여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 단축형(Korean-Parenting Stress Index 4th Edition Short Form: K-PSI-4-SF)을 제작하였다. 먼저 이전 판(K-PSI-SF)의 번역상 어색함을 해결하고 각 문항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PSI-4의 모든 문항을 3단계 번역 절차에 따라 전면 재번역하고, 단축형에 해당하는 문항을 발췌하여 최종 문항을 완성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만 1세-12세 자녀를 둔 부모로, 전국의 20개 도시에서 1,333명을 모집하여 K-PSI-4-SF와 유아용 혹은 아동용 양육효능감 척도, 건강 관련 삶의 질 척도(SF-36), 건강관련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약 2주 후 사전 동의한 일부 참가자에게는 K-PSI- 4-SF 재검사 또는 한국판 영유아 행동평가 척도(K-CBCL 1.5-5) 또는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6-18),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HQ-9), 범불안장애 선별도구(GAD-7)를실시하였다. 우선, K-PSI-4-SF의 요인구조가 타당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 일치도 계수와 검사-재검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각 하위척도 및 총 스트레스 점수 간 상관관계를 산출해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는 K-PSI-4-SF와 K-PSI-SF, 양육효능감 척도, K-CBCL, PHQ-9, GAD-7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변별타당도는 정신과적 진단을 받은 자녀의 부모와 정상발달 자녀를 둔 부모 간 양육스트레스 차이검증을 통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K-PSI-4 단축형이 국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데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따른 연구적 및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Korean-Parenting Stress Index 4th Edition Short Form (K-PSI-4-SF) was developed by translating and standardizing the Parenting Stress Index Fourth Edition Short Form (PSI-4-SF). To revise the translational issues of the previous version (K-PSI-SF) and clearly convey the meaning of each item, all the items of PSI-4 were re-translat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translation procedure. The final items were completed by excerpting the statements corresponding to the short for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33 parents of children age 1-12 recruited from 20 different cities across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K-PSI-4-SF, Parental Confidence Questionnaire for Preschoolers or Children, SF-36, and Health-related Questionnaire. Approximately two weeks later, some of the participants who had previously agreed responded to the K-PSI-4-SF a retest or the K-PSI-SF, K-CBCL 1.5-5 or K-CBCL 6-18, PHQ-9, and GAD-7. To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PSI-4-S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correlation were examined to verify reliability. Convergence validit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mong subscal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PSI-4-SF and K-PSI-SF, Parental Confidence Questionnaire, K-CBCL, PHQ-9, and GAD-7 was examined to verify concurrent validity. The difference of parenting stress level was examined between parents of children diagnosed with mental illness and of those not diagnosed to verify discrimination validity.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K-PSI-4 Short Form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in measuring the stress of par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정수진(경북대학교) ; 임종민(경북대학교) ; 곽호완(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 이종환(육군사관학교 심리경영학과) pp.809-828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배척 경험이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군의 도구적 동기로 유발된 대인관계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 그에 따른 경계선 성격장애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PAI-BOR 척도를 실시한 후, 경계선 경향군 집단(50명)과 통제집단(50명)을 선발하여 실험 참가자 간 공을 주고 받는 게임인 Cyberball(Ball tossing game)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참가자에게는 공이 가지 않도록 설계하여 사회적 상황에서 참가자의 소외감을 유발하였고 실험 전후로 정서경험척도를 사용하여 게임시행에 따른 정서변화를 측정하였다. 이후 같은 게임에서 총 4명의 참가자를 두 명씩 짝지어 팀을 나누고 참가자의 파트너가 공을 받아내는 정도에 따라 자신에게 금전적인 이익이 주어지는 상황을 부여하였으며, 이 상황에서 파트너에게 의도적으로 유발하고 싶은 각 정서(부정, 중립)의 강도와 정서의 유용성을 측정하여 도구적 정서조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다른 집단에 비해 배척상황에서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군의 유발된 소외감 정도가 더 높았으며, 파트너에게 제시하는 부정정서의 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수용 상황의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군과 통제집단은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군 내에서도 상황에 따라 수용상황에 비해 배척상황에서 부정정서의 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정서 유용성에서는 배척상황의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군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평가를 하였다. 이는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군이 사회적 배척상황에서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겪으며, 상황적 맥락에 맞는 정서를 활용하지 못하고 타인에게도 부정정서를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상황에서 대인관계 문제가 유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social exclusion situation influence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induced by instrumental motiva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and to confirm their characteristics.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group(n=50) and the control group(n=50) were selected among 520 students based on scores on the PAI-BOR scale. Two groups played the game called Cyberball(Virtual Ball Tossing Game), a game in which a ball is passed between four people in the experiment. The game is designed so that participants cannot receive a ball, so as to arouse their sense of isolation. We asked them to evaluate their emotions by using the Emotional Experience Scale before and after the game and measured their emotional changes. Then, when people were teamed with two individuals each and given the opportunity to receive a monetary benefit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imes their partner received the ball, the participant evaluated interpersonal instrumental emotion regulation by selecting the intensity of each emotion(negative, neutral) and value of the emotion they wanted to induce to their partner.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groups,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group in the exclusion situation experienced more of a sense of isolation, and selected significantly higher intensity of the negative emotion presented to their partn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control) in the inclusion situation. In terms of value of the emotions,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group in the exclusion situation evaluated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se findings suggest interpersonal instrumental emotion dysregulation of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group in a social exclusion situation, which can lead to interpersonal dysfunctions by using inappropriate emotion.

하현주(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권석만(서울대학교) pp.829-852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타인의 기쁨과 고통에 관심을 지니고 공감하며 지지를 제공하는 자비(慈悲, compassion)의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자비와 정서전염의 관계에 마음챙김과 자기몰입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0명의 남녀 성인에게서 정서전염, 자기몰입, 자비, 마음챙김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서전염과 자비,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자기몰입과 다른 변인들 간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자기몰입은 부정 정서전염과 정적 상관을, 자비, 마음챙김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마음챙김이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몰입은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매개하여 정서전염에서 자비로 가는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전염을 긍정 정서전염과 부정 정서전염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긍정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하며, 부정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자기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서전염이라는 현상 속에서 자기몰입이 자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부정적 정서전염 상태에서는 마음챙김과 자비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으므로 자기몰입에 대한 개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근거로 향후 자비와 마음챙김을 활용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자기몰입을 줄이기 위한 체험적 탈자기참조적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indfulness and self-absorption through emotional contagion on compassion,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mpassion that cares, empathizes, and provides support for other’s joy and distress. The level of emotional contagion, self-absorption, compassion, and mindfulness was measured in 300 adults, and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es were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contagion, mindfulness, and compassion.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absorption and the others. Convers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absorption and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mpassion and mindfulness. Second, mindfulness was found to mediate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Additionally, self-absorption sup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The results of dividing emotional contagion in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was mediated by mindful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was mediated by self-absor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elf-absorption is a factor that suppresses compassion amid the phenomenon of emotional contagion. It also revealed that intervention in self-absorption needs to precede to facilitate compassion, otherwise it is not easy to lead to mindfulness and compassion in a state of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 reducing self-absorption through the experiential selfless proces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최가연(동신대학교) ; 송연주(동신대학교) pp.853-870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 남녀가 지각한 아동기 외상이 관계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성향 간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도시 및 J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465명에게 아동기 외상, 관계중독 및 거절민감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2.0을 이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기 외상, 거절민감성, 관계중독성향 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 외상이 관계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절민감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아동기 외상은 거절민감성을 통해 관계중독성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중독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중독적인 관계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내담자에게 도움이 되는 상담개입방법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on the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To this end, 465 adults older than age 18 living in G city and J area were administered the childhood trauma, Relationship Addic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scal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for correlational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for the mediating effect validation was performed using AMOS 22.0.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hildhood trauma,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Also,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This suggests that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may lead to Relationship Addiction tendency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this study, a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 valuable to clients with addictive relationship problems is presented. Based on this study,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류경하(서울여자대학교) ; 김종남(서울여자대학교) pp.871-889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성향과 특성불안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 및 속박감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속박감을 내적, 외적 속박감으로 나누어 각각이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과 함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초년생 370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 척도, 속박감 척도, 특성불안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 불성실한 응답자의 자료를 제외하고 324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 속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속박감, 특성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속박감은 특성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가졌다. 또한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특성불안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과 내적, 외적 속박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평가염려 완벽주의자의 특성불안에 대한 치료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긍정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으로 바꾸고 내적, 외적 속박감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더불어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ntrap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Also,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with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ntrapment categoriz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entrapment.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Entrapement Scale(E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ere used as measurements. The data from 324 new employe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ntrapment. Also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ntrapment and trait anxiety. Additionally,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rait anxiety. Seco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had a direct effect on trait anxiety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trait anxiety via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internal, external entrapment. So,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internal, external entrapment had a dual mediating effect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이경호(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남종호(가톨릭대학교) ; 양재원(가톨릭대학교) pp.891-908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체중관련 자극에 주의를 두는 것이 신체불만족을 촉발시키며 체중과 관련없는 자극에 주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신체불만족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61명의 여자 대학생을 모집하여 과체중 관련 단어 주의유도집단, 저체중 관련 단어 주의유도집단, 그리고 비체중 관련 단어 주의유도집단에 무선할당하였다. 이후 시각탐사과제를 응용한 주의편향수정 프로그램을 약 1주일 간격으로 총 2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또한 실험 전, 후에 연구 참여자의 신체불만족 수준, 정서 상태, 섭식 패턴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비체중 관련 자극 주의유도집단에서만 신체불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들의 정서 상태와 섭식패턴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반면 다른 집단들에서는 어느 측정치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는 체중 관련 단서에 주의를 두는 것은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비체중 관련 자극에 주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신체불만족을 낮추었음을 의미한다. 즉, 체중 관련 자극은 그 속성에 관계없이 신체불만족을 유지시키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weight-related stimuli had a negative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levels, and if attentional modification to non-weight-related stimuli could attenuate body dissatisfaction levels. Sixty-one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fat word attention-inducing group, a thin word attention-inducing group, and a non-weight word attention-inducing group. We provided a modified visual search task (ie., 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programs) for two sessions at one-week intervals. We also assessed body dissatisfaction levels, affective states, and dietary patterns at pre- and post- session times during the ABM procedure. Only the non-weight word attention-inducing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body dissatisfaction but they did not show any changes in affective states and dietary patterns. Participants in the other groups did not show any changes. Results suggest that the non-weight word stimuli could be a non-threatening factor and that inducing attention toward the non-weight words could reduce body dissatisfaction.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신재은(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현명호(중앙대학교) pp.909-925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서접근적 대처의 하위 요인인 정서 처리, 정서 표현이 정서 표현 유관 변인인 정서표현양가성의 수준에 따라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는지 탐색하였다. 그리고 각 잠재계층의 특성을 정의하고 심리적 적응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총 223명의 연구대상자가 완성한 설문지를 최종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첫째, 연구대상자는 ‘평균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 ‘적극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 ‘소극적 정서 표현 대처 사용 집단’, ‘회피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으로 명명된 총 네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정서 처리와 정서 표현 수준이 가장 높고 정서표현양가성 수준이 가장 낮은 ‘적극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집단’에서 우울, 불안 수준이 낮고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수용 수준이 높아 심리적 적응이 가장 양호한 반면 정서 처리와 정서 표현 수준이 가장 낮고 정서표현양가성 수준이 가장 높은 ‘회피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이 가장 적응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극적 정서 표현 대처 사용 집단’의 경우 정서 처리는 평균 수준과 유사하게 가능하더라도 정서표현양가성이 높고 정서 표현의 수준이 낮아 심리적 부적응의 정도가 ‘회피적 정서접근적 대처 사용 집단’ 수준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정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지니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하는 정서 처리와 정서 경험을 소통하고자 하는 정서 표현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이 심리적 적응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based on emotional processing, emotion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 also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aptation according to latent classes. A total of 223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l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four latent classes: “average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active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coping group”, and “avoidant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Second, psychological adaptation was the best in the “active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with low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e “avoidant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which had the lowest level of emotional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level and the highest lev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the most psychologically maladaptive condition. Conversely, in the case of the “passive emotional expressive coping group”, emotional processing was similar to the average level, but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high and the level of emotional expression was low so that the degree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at the level of the “avoidant emotional approach cop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couraging emotional approach coping in psychotherapeutic practices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최경희(가톨릭대학교)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927-945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지향성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신체수치심, 섭식절제가 매개하는지와 그 경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40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성격 양식 질문지(PSI-Ⅱ),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SATAQ), 한국판 객관화된 신체의식 척도(K-OBCS), 섭식장애 척도-2(EDI-2), 한국판 섭식태도 척도-26(KEAT-2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지향성, 폭식행동,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신체수치심, 섭식절제는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지향성은 세 가지 경로를 통해서 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 번째 경로에서 사회지향성은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섭식절제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경로에서 사회지향성은 신체수치심, 섭식절제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경로에서 사회지향성은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신체수치심, 섭식절제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지향성이 높을수록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신체수치심을 증가시키고, 이는 순차적으로 섭식절제를 증가시킴으로써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 and binge eating, mediated by the thin-ideal internalization, body shame, and dieting among young femal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06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instruct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Revised Personal Style Inventory (PSI-II),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rie (SATAQ), The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K-OBCS), 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EDI-2) and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ociotropy, binge eating, thin-ideal internalization, body shame, and dieting. The resul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dicated that sociotrop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binge eating through three different pathways. In the first pathway, sociotropy influenced binge eating by mediating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dieting sequentially. In the second pathway, sociotropy influenced binge eating by mediating body shame and dieting sequentially. In the third pathway, sociotropy influenced binge eating by mediating thin-ideal internalization, body shame, and dieting sequentiall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정은정(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정남운(가톨릭대학교) pp.947-968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관계중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거절민감성과 자기침묵이 갖는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모형검증을 위하여, 전국 20대에서 60대 성인남녀 700명(남 330, 여 370)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관계중독, 거절민감성, 자기침묵, 우울을 측정하였고, 분석과 검증에는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관계중독이 우울에 이르는 과정에서 거절민감성, 자기침묵이 각각 유의한 매개변인임이 나타났으며, 관계중독이 거절민감성과 자기침묵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의 효과도 나타났다. 이는 관계중독과 우울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자기침묵의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치료장면에서 관계중독과 우울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거절민감성과 자기침묵을 다루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위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between relationship addiction and depression. To achieve this goal,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700 adults as subjects(330 males and 370 females). Aspects of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examined by using the 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RAQ),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RSQ), Silencing-The-Self Scale(STSS), and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CES-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addiction and depression. Additionally, the fully-mediated model seems to be the best model to account for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김계양(아주대학교) ; 김완석(아주대학교) pp.969-992 https://doi.org/10.17315/kjhp.2019.24.4.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자비심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사회적 연결감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대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은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정서조절과 사회적 연결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음챙김이 대인관계를 직접적으로 향상시키기도 하지만 정서조절 능력을 증가시키거나 혹은 사회적 연결감을 증가시켜 대인관계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런가 하면, 자비심은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 사회적 연결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비심이 사회적 세계에 대한 개인의 관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mindfulness and compass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ediating roles of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volving 382 under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Findings suggest that mindfulness contribu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via its impacts on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That is, mindfulness was shown to directly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it was also shown to increase emotion regulation capacity and social connectedness, which enhan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for compassion, the results support a full mediation by social connectedness, indicating that compassion alters a person’s perspective on the social world for the better, positively affec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