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이승민(전남대학교) ; 이혜진(전남대학교) pp.835-858 https://doi.org/10.17315/kjhp.2021.26.5.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신체자비를 연구하기 위해 Altman, Linfield, Salmon와 Beacham(2017)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신체자비 척도(Body Compassion Scale: BCS)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36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차 부하된 한 문항을 제외하고 총 22문항으로 구성된 3요인(보편적 인간성, 탈융합, 수용)이 원척도와 동일하게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237명의 새로운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준화 회귀계수가 낮은 한 문항을 제외하고 총 21문항으로 구성된 3요인 구조를 확인하였고, 최종 모형의 적합도와 척도의 신뢰도는 양호하였다. 수렴 타당도는 신체자비와 개념적으로 관련된 신체상, 자기자비 등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아울러, 증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체불만족과 섭식장애를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자비를 통제하고도 신체자비가 유의한 추가 설명량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Body Compassion Scale (BCS; Altman, Linfield, Salmon, & Beacham, 2017).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236 adults. After removing one item that was cross-loaded a three-factor model (common humanity, defusion, acceptance) were drawn,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using the data of another 237 adults. One item with a low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 was discarded, and the three-factor model was confirmed with an acceptable fit and good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of the Korean BCS was established by correlational analyses with body compassion and related constructs such as body image and self-compassion. Moreover, the Korean BCS provided incremental validity over Self-Compassion Scale in predicting eating disorder and body dissatisfaction. Last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박경우(성균관대학교) ; 장혜인(성균관대학교) pp.859-879 https://doi.org/10.17315/kjhp.2021.26.5.002
초록보기
초록

강박적 성행동 장애(CSBD)는 국제질병분류 제11차 개정안(ICD-11)에서 충동조절장애군의 하나로 포함되었다. CSBD 관련 문제는 특정 민족이나 문화권에 국한되지 않으며 범국가적 관심을 요구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 대다수는 서구권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국내 CSBD 관련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본 연구는 ICD-11 진단지침을 토대로 개발된 CSBD 선별척도인 CSBD-19를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하였다. 참여자는 온라인으로 표집된 성인 404명(남 179, 여 225)이었으며 연령 범위는 19∼69세였다(M=45.01, SD=13.54).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5요인(통제, 현저성, 재발, 불만족, 부정적 결과) 모형은 본 연구의 한국인 참여자들에게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CSBD-19 전체 척도 및 하위요인들의 내적 합치도 또한 양호한 수준이었고(전체 척도=.938, 하위요인=.712∼.898), 기존에 개발된 유관 척도와의 공인 타당도 역시 확보되었다. 다음으로 CSBD 고위험군 식별을 위한 절단점을 탐색하고자 잠재프로파일분석 및 ROC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표본의 3.7%가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이들을 식별하는 최적 절단점은 48.5점으로 제안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Abstract

Compulsive sexual behavior disorder (CSBD) is now included as an impulse control disorder i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1th Revision (ICD-11). CSBD-related problems require global attention as they ar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ethnic group or culture. The majority of prio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western societies. As a first step towards stimulating CSBD research in Korea, we translated and validated CSBD-19, a recently developed screening measure of CSBD, into Korean. The subjects were 404 adults (179 men and 225 women) ranging in age from 19 to 69 years old (mean age=45.01, standard deviation=13.54).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a five-factor (control, salience, relapse, dissatisfaction, negative consequences) model proposed in a previous study was fit for the current data.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Korean version of CSBD-19 (K-CSBD-19) were also good (total items=.938, sub-domains=.712~.898). The results of concurrent validity analysis showed that K-CSBD-19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xisting scales of related variables. Next, latent profile analysis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were conducted to calculate cut-off points for classifying individuals at high risk of CSBD. We identified a high-risk group of 3.7 percent of the total samples, and a score of 48.5 was proposed as an optimal cut-off point. Last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정순욱(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 최해연(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pp.881-899 https://doi.org/10.17315/kjhp.2021.26.5.003
초록보기
초록

공감은 순기능과 함께 정서적 고통과 소진 등의 심리적 부적응과도 관계를 보여왔다. 본 연구는 한 개인의 인지적공감과 정서적공감의 상대적 수준에 따라 개인의 심리적응이 달라질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함으로, 공감과 심리적응 간의 비일관성 일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성인 481명(남 44.7%, 평균 33.7세)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대인관계반응성지수 척도의 하위 요인을 투입하여 군집분석한 결과 3개 공감유형이 나타났다. 인지적공감이 평균보다 높으며 정서적공감 요소인 개인적 고통은 평균보다 낮은 ‘적극적 공감집단’, 인지적 공감은 평균보다 낮으며 정서적 공감은 평균보다 높은 ‘정서반응 공감집단’,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모두 낮은 ‘저하된 공감집단’이 나타났다. ‘적극적 공감집단’은 적응적 대처를 사용하고 회피는 적게 보고하였고, 가장 양호한 심리적응을 나타냈다. ‘정서반응 공감집단’은 적응적 대처를 적게 사용하고 회피를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였고 가장 취약한 심리적응을 보였다. ‘저하된 공감집단’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모두 적게 보고하지만 양호한 심리적응을 보고하였다.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고유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음과, 정서적 공감 하위요인인 개인적 고통과 공감적 관심을 구분하는 특성으로 타인지향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lassified empathy types as follows: Perspective taking, Fantasy,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and examined the coping styles and psychological adaptations of the empathy types. Three clusters were drawn from 481 adults(44.7% male, average age 33.7). The ‘active empathy’ group with high perspective taking, fantasy, empathic concern but low personal distress; The ‘emotional empathy’ group with low cognitive empathy but high emotional empathy while the ‘inactive empathy’ group with both low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were affirmed. The ‘active empathy group used adaptive coping styles with little avoidant coping, showing low psychiatric symptoms and high self-esteem. The ’emotional empathy’ group used less adaptive coping style but with frequent avoidant coping, style, and they were the most vulnerable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inactive empathy’ group used low frequency of both adaptive and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but showed relatively goo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distress and empathic concern were discussed.

CHOI YOO RHEE((사) 좋은정책포럼) ; 이자영(한양사이버대학교) pp.901-921 https://doi.org/10.17315/kjhp.2021.26.5.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직장 내 괴롭힘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역기능적 분노표현(분노억제, 분노표출)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 사무직 직장인 33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직장 내 괴롭힘과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분노억제, 분노표출은 각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 내 괴롭힘과 소진 사이에서 자기자비와 분노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직장 내 괴롭힘과 소진 사이에서 자기자비와 분노표출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자기자비를 통해 분노를 억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소진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current research was conducted on 339 office workers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 serial-multiple mediation of self-compass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in, anger-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burnout. Results revealed that self-compassion, anger-in, and anger-out was each found to be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burnout. Also, the serial-multiple mediation of self-compassion and anger-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burnou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self-compassion and anger-out did not successively mediate this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or officeworkers who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sequentially intervening to prevent anger-in after improving self-compass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burnout.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managerial practices were discussed.

서경현(삼육대학교) pp.923-941 https://doi.org/10.17315/kjhp.2021.26.5.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학생들의 성격과 자기개념이 복약순응, 건강행동 처방준수 및 실천과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각각 성격과 자기개념이 복약순응, 건강행동 처방준수 및 실천을 예언하는 회귀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369명의 남녀 초등학생과 중학생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으로 5요인 성격을, 자기개념으로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자신감을, 처방준수로 건강행동 준수와 복약순응을, 그리고 일반적인 건강행동을 실천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청소년의 성격 중에는 신경증적 경향, 성실성 및 개방성이 복약순응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성격 5요인 모두가 건강행동 준수나 실천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청소년의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자신감이 복약순응, 건강행동 준수 및 실천 모두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중다회귀모형에서는 5요인 성격과 자기개념이 각각 복약순응의 변량을 11.0%와 11.7% 가량 설명하고 있었다. 한편 5요인 성격과 자기개념이 각각 건강행동 준수의 변량을 19.6%와 14.2% 가량 설명하고, 건강행동 실천의 변량을 30.5%와 25.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복약순응에는 자신감이, 건강행동 준수에는 성실성이, 건강행동 실천에는 자기효능감이 가장 결정적인 변인이었다. 이런 결과는 아동이나 청소년의 처방준수와 건강행동에 대한 성격과 자기개념의 영향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correlations of personality and self-concept with medication compliance, adherence and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among students in early adolescence. Additionally, the regression models for medication compliance, practice and adherence of health behaviors with personality and self-concept were examined. Participants were 369 male and female stud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Personality was measured by Big-5 personality traits, self-concept was measured by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and adherence was measured by adherence of health behaviors and medication compliance.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in daily life was also measured.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neuroticism,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edication compliance, whereas all factors of Big-5 personality trai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dherence and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of adolesc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dication compliance, practice and adherence of health behaviors.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Big-5 personality traits and three self-concepts accounted for 11.0% and 11.7% of variation in medication compliance by , respectively. In addition, Big-5 personality traits and self-concepts accounted for the variance of adherence of health behaviors by 19.6% and 14.2%, respectively while Big-5 personality traits and self-concepts accounted for the variance of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by 30.5% and 25.4%, respectively.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elf-confidence was a determinant for medication compliance, conscientiousness for adherence of health behaviors, and self-efficacy for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formation about accountability of personality and self-concept for adherence and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조현섭(총신대학교) ; 한영주(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원성두(아주대학교) ; 김희선(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유지혜(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최재원(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황유빈(Iowa State University) pp.943-959 https://doi.org/10.17315/kjhp.2021.26.5.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과 관련하여 학령기 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정신건강 및 부모자녀관계의 현황을 파악하고 대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역의 37개 어린이집 및 유치원, 21개 초등학교, 23개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학부모 524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부모자녀관계, 부모효능감,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등을 측정하는 척도로 주요 관심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학부모들의 우울과 불안 평균 점수는 정상범위였으나 코로나19 이후 정신건강 상에 부정적 변화를 경험하고 규준집단에 비하여 코로나19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학부모들이 지각하는 부모자녀관계는 부정적 변화와 긍정적 변화가 모두 보고되었고 자녀의 우울과 불안과 같은 정신건강이 부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스마트폰과 온라인게임 시간 또한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코로나19 시대에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의 정신건강과 부모자녀관계의 현황을 추후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s Covid-19 pandemic prolongs, rapid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such as restrictions in schools and group gatherings are impacting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guideline for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to prepare for their alternative parenting in the Covid-19 pandemic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ir mental health and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524 parents from 37 kindergartens and daycares, 21 elementary schools, and 23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using individual mental health-related scales, parent-child relationship-related scales, parental efficacy, and scale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hanges after Covid-19. Results showed that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of parents were with in their normal ranges. However, participants experienced negative changes in their mental health after Covid-19. They had more worries and anxieties about the coronavirus. Both negative and positive changes were reported by recognitions of parents about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after Covid-19. Moreover,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ren represented an adverse change. Their smartphone and internet use showed increases. For realistic and practical intervention in advance, ways to utilize the current status of mental health in parents who are rearing children in Covid-19 and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as elemental data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