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박수정(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335-3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간의 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신체상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인지행동치료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J대학교에서 심리학 강의를 수강 중인 여대생 244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신체상 만족도 검사, 신체 각 부위와 기능에 대한 신체상 만족도 검사, 자아존중감 척도, 및 한국판 Beck우울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신체상에 대한 불만족 수준이 각각 상위 20%내에 있는 피험자 25명 가운데 17명을 선발하였는데, 이들을 실험집단에 8명, 대기통제 집단에 9명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 8회기의 인지 행동치료를 실시하였다. 인지 행동치료 실시한 후에 신체상 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체상 만족도 검사, 자아존중감 척도 및 한국판 Beck우울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사이에는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신체상 만족도와 우울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신체상 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인지 행동치료에 참가한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들은 대기통제 집단에 비해 신체상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우울 수준이 낮아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purposes. Firs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body image esteem,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college women. Second, it was to explore that the self-esteem had influence on the body image esteem and depression. Third, it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on body image esteem,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college women with negative body imag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44 college women using Body Esteem Test, Body Cathexis Scale, Rogenberge`s Self-Esteem,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body image esteem and self-esteem. And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body image esteem and depression of college women. Second, the self-esteem had influence on the body image esteem and the depressi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ody image esteem and the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de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sugges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서경현(삼육대학교) ; 이경순(삼육대학교) pp.353-36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 폭력 경험과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데이트 경험이 있는 440명(남=173, 여=267)의 대학생이었고 연령 분포는 17세에서 33세(M=20.89, SD=2.27) 사이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갈등책략척도, Eysenck 성격검사이고, 결과분석을 위해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2(성별)× 4(데이트 경험 유형) 이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및 피해 경험이 있는 사람이 데이트 폭력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특성 분노, 분노 억제 및 분노 표출 수준이 높았다. 데이트 폭력 피해만 경험한 사람은 데이트 폭력 가해만 경험한 사람이나 데이트 폭력 가해 및 피해 모두를 경험한 사람보다 분노 통제 수준이 높았다. 정신병적 경향성에는 2(성별)× 4(데이트 경험 유형) 이원상호작용이 있었다.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및 피해 경험이 있는 사람 중에서는 남성이 데이트 폭력 경험이 없는 남성보다 정신병적 경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및 피해 경험이 있는 사람이 데이트 폭력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중독성이 높았다.

Abstract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ating violence and anger, psychoticism, and addiction. The participants were 440 Korean college students (173 males and 267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33 (M=20.89, SD=2.27). The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Straus' Conflict Tactics Scale, Spielberger'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d Eysenck's Personality Inventory. Research design was a 2 (sex) × 4 (types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2-way MANOVA. Results indicated that people who had inflicted and received violence in their dating relationship had significantly higher trait anger, anger-in, and anger-out than people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while people who received dating violence showed higher anger control than people who had inflicted dating violence or who had inflicted and received dating violence. There was a 2-way interaction in psychoticism by sex and types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Males who had inflicted and received dating violence had significantly higher psychoticism than males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And it was found that people who had inflicted and received dating violence were likely to show higher addiction than people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한덕웅(성균관대학교) ; 이상욱(성균관대학교) pp.369-389
초록보기
초록

정보통신산업에서 직무스트레스 및 신체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수준의 설명 요인들을 가려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신체질병 수준 각각을 예언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한다고 가정한 요인들은 24개 요인이었다. 정보통신산업의 조직에서 종사하는 사무직 근로자 214명의 자료를 중다회귀분석과 전향적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두 분석에서 일관되는 결과를 논의하였다. 또한 신체질병 유무를 준거로 정준판별분석과 단계별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를 보면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설명하는 중요 요인들은 신체질병, 형평, 직무성질, 수행압력, 회사만족, 애사심이었다. 신체질병을 설명하는 중요 요인들은 직무스트레스, 인지욕구충족, 동료와 인간관계, 수행압력, 역할갈등, 이직의도였다. 신체질병 유무에 대한 정준판별분석 결과에서는 수행결과 환류, 자율 및 권한위임, 의사소통, 직무성질, 인지욕구충족, 리더계획성, 리더와 인간관계, 동료와 인간관계, 이직의도 등 9개 요인들이 유의하게 판별하는 요인들이었다. 이 가운데 자율 및 권한위임, 형평, 리더계획성, 이직의도 등 4개 예언변인을 사용하여 질병유무를 예언했을 때, 질병유무 판별의 적중률은 83.2%로서 기저선 예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공변량구조모형분석을 통해서 정보통신산업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신체질병 수준을 설명하는 인과모형을 가꾸어서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organization-level determinants in predicting job stress and physical illness. Based upon the study of Hahn, Hahn, Kim & Sung(1988) and Hahn(1995), 24 constructs were used as the predictors of job stress and physical illness. Data obtained from 214 white-colored workers in an information technology(IT) company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 showed as follows: (1) the common predictors of job stress were perceived physical illness, equity, job itself, performance pressure from the one's superior, satisfaction with the company, and loyalty to the organization. (2) the common predictors of perceived physical illness were job stress, fulfillment of cognitive need, relationship with coworkers, performance pressure from the one's superior,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Predictors discriminating between groups who perceived physical illness and groups who did not were 9 factors; feedback, autonomy, communication, job characteristics, fulfillment of cognitive need, leaders' ability to plan, relationships with one's superior,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turnover intention. 83.2% of total cases were significantly correctly classified by 4 major discriminant variables. Finally, based upo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a tentative causal model about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factors with job stress and physical illness was explained good-fit and parsimoniously.

박은혜(New York University) ; 김종우(경희대학교) ; 황의완(경희대학교) ; 이영혁(고려대학교) ; 임재환(경희대학교) ; 김현택(경희대학교) pp.391-402
초록보기
초록

초기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경미한 인지적 결함이 사상관련전위(event related- potential: ERP)에 어떤 형태로 반영되는지 알아보았다. 초기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11명, 동일 연령대의 건강한 정상노인 12명, 그리고, 정상성인 5명에서 oddball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청각 ERP를 측정하였다. 청각자극은 85dB의 1000Hz의 표준자극과 1500Hz의 목표자극으로 구성되었으며, 1.2초 간격으로 무선적으로 제시되었다. 목표자극은 전체 시행의 25%이며 피험자로 하여금 주의를 두고 목표 자극의 개수를 세도록 하였다. 목표자극에 대한 ERP요소들의 잠재기와 진폭을 측정하였다. 초기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집단에서 P300의 잠재기가 유의미하게 지연되었으며, 치매 진행 정도와 비례하여 지연시간이 증가하였다. 또한, P300 잠재기는 동일 환자들에게 실시한 K-DRS 점수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P300 요소는 기억 개정과 주의집중 과정에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환자 집단에서 관찰되는 P300 요소 잠재기의 증가는 환자들이 나타내는 주의 및 기억과 관련된 인지적 결손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ERP측정의 임상적 적용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P300 요소가 초기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구분해낼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roperty of ERP P300 component in mild Alzheimer's disease(AD).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were measured in 11 patients with mild AD, 12 healthy elderly subjects and 5 healthy young subjects. Auditory Oddball stimuli, the standard stimuli(1000Hz) and the target stimuli(1500Hz) at 85 dB, were presented with 1.2 seconds interval. The target stimuli were 25 % of total trials. The subjects were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and count the number of target stimuli. Latency and amplitude of ERP P300 component to target stimulus were extracted. Latencies of P300 were delayed in AD patients and the delay in laten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AD was developing. P300 component latency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K-DRS scores. P300 component was typically shown in memory-updating and allocation of attention. These results present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ERP measure and P300 component is useful indices of the cognitive dysfunction of AD patients

한덕웅(성균관대학교) ; 표승연(성균관대학교) pp.403-427
초록보기
초록

정서경험이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을 예측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하는지 조사연구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정서경험을 정적 및 부적 차원으로 분류한 차원모형과 아울러 정서의 성질에 따라서 범주로 구분한 범주모형 가운데 설명력이 높은 모형을 탐색하고자 전국 3개 지역에서 고등학생과 대학생 130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사용빈도와 적절성이 높은 정적/부적정서 각 100문항으로 차원모형을 검증한 결과에서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을 모두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사용빈도와 적절성이 비교적 높지 않은 정적/부적정서 각 60문항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신체질병의 설명변량이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정적정서를 5범주로 구분하고 부적정서를 7범주로 구분하여 범주모형을 검증한 결과를 보면 12개 정서가 세 준거변인들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정서들 가운데 전체주관안녕과 주관안녕인지를 유의하게 예측한 정서는 우울, 자부심, 기쁨이었고, 주관안녕정서를 유의하게 예측한 정서는 우울, 기쁨, 자부심, 적개심이었다. 또한 건강지각을 유의하게 예측한 정서는 우울, 자부심, 우애, 공포였고, 신체질병을 유의하게 예측한 정서는 유쾌감과 공포였다. 한편, 질병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판별하는데 기여하는 정서는 분노, 적개심, 우울, 공포, 유쾌감이었다. 특정 질병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구분해 주는 정서를 판별분석한 결과, 감기는 우울, 유쾌감, 애정, 소화계통에는 유쾌감, 심혈관계질병에는 자부심과 유쾌감, 피부병과 비염에는 기쁨이 유의한 단일판별 기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정서 범주들에 속하는 용어들의 적절성이 높으면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이 예측되며, 여러 신체질병마다 관련되는 정서들이 서로 다르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 연구의 방향도 논의하였다.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connections of the emotion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to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illness through a survey research. We also examined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emotion dimension approach(ie,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category approach(discrete emotions) to those relationships. Participants in this survey were 1309 students(344 male college students, 324 female college students, 304 male high school students, 346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regional area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showed that both of the dimension model and the discrete category model were validated to predict subjective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physical illness, provided appropriate and frequently used emotion terms were chose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lso showed that different discrete emotions were connected to cardiovascular, respiratory, skin and digestive diseas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ed.

김사리(충남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429-4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을 대상으로 행동억제훈련을 실시하고, 이 훈련이 아동의 실행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12명의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을 행동억제훈련 조건과 위약통제훈련 조건에 무선배당 하였다. 행동억제훈련 조건의 연구참여자들은 총 8회기에 걸친 행동억제훈련에 참여하여 언어를 중재로 한 인지적 과제를 수행했고, 위약통제집단 조건의 연구참여자들은 총 8회기에 걸쳐 언어중재 지시가 없는 인지적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행동억제훈련은 위약통제집단에 비해 아동의 실행기능을 의미 있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기능 중, 계획력, 즉각적 반응통제력, 정서조절력은 의미 있는 개선을 보였으나, 작업기억 처리용량과 목표 지향적 창의성에서는 행동억제훈련이 의미 있는 차이를 만들지 못했다. 이와 같은 개선효과는 행동억제훈련 직후와 훈련 후 4주가 지난 시점에서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행동억제훈련이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의 계획력, 즉각적 반응통제력 및 정서조절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연구결과들이 시사하는 바를 선행연구 및 ADHD행동의 관리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ehavior inhibition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of ADHD children. 12 participants, who had high scores in commission error scale of ADHD Diagnosis System,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behavior inhibition training group or placebo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raining groups were trained by cognitive test with verbal mediation(used 4 problem solving questions) for 8 sessions and the subjects of control group were trained by cognitive test without verbal mediation.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behavior inhibition training significantly enhance executive function than control group. Among executive functions, planning, ability of response-control, and self-regulation of affect were enhanced, but working memory and goal-directed behavioral creativity were not enhanced. Training effects maintained until 4 weeks after the end of the training.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ed with Barkley's Model.

송선희(국민건강보험공단) ; 하은혜(국민건강보험공단) ; 송동호(국민건강보험공단) pp.447-4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흡연 및 금연 행위를 사회 학습 모형과 스트레스-취약성 모형에 적용시켜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타에 내원한 성인 남성 120명으로 흡연 여부와 금연 여부에 따라 흡연 집단 70명, 금연 집단 30명과 비흡연 집단 20명으로 나뉘었다. 이들에게 흡연 및 금연에 대한 질문, 생활 사건 척도, 대처 방식 척도, 자기 효능감 척도와 SCL-90-R을 실시한 후 세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군과 금연군이 비흡연군에 비해 적극적-인지적 대처를 적게 하였다. 2. 흡연군이 금연군과 비흡연군에 비해 회피적 대처를 많이 하였다. 3. 금연군이 흡연군에 비해 일반적 자기 효능감이 높았다. 4. 흡연군과 금연군이 비흡연군에 비해 우울 증상을 더욱 많이 보고했다. 이 결과는 성인 남성의 흡연 및 금연에 있어 대처 방식, 자기 효능감과 우울 증상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하며, 이는 실제 금연 프로그램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plore the utility of social learning theory-based model and stress-vulnerability model of smoking behaviors. We distributed self-questionnaire to people who visited health promotion center at National Health Corporation Ilsan Hospital.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Life Stress Assessment Scale, Symptom Check List-90 Revised(SCL-90-R), coping methods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was used with 128 men. Finally Subjects were 70 current smokers, 30 experimenters and 20 never-smok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urrent smokers and experimenters used significantly less active-cognitive coping method than never-smokers. 2. Current smokers used significantly more avoidance coping method than experimenters and never-smokers. 3. Level of general self-efficacy of current smok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experimenters. 4. Current smokers and experimenters complained significantly more depressed mood than never-smokers. This study explored psychosocial variables which have much relation with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and it suggested that coping method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were very important factors in effective smoking cessation program.

이형초(호연 심리상담센터) ; 안창일(고려대학교) pp.463-48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게임 과 사용 청소년을 선별하여 이들에게 적합한 인지행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인터넷게임 중독 진단 척도 상에서 상위 10%에 해당되는 72점 이상이면서 하루 게임 이용시간이 2시간 30분 이상인 중학생(치료집단: 42명, 통제집단: 30명)들 이었다. 게임중독 인지행동 치료프로그램 내용으로는 (1) 게임 행동에 대한 인식 및 인지적 왜곡 수정하기 (2) 적절한 대안활동 찾기 (3) 자기 통제력 증진하기 (4) 게임과 관련된 대인갈등 해소하기 (5) 재발방지 - 위험상황에 대처하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치료프로그램은 9회의 치료회기와 부모교육 2회로 총 11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1회 1시간 30분씩 시행되었다. 치료효과 검증을 위하여 치료 전, 치료 후, 그리고 8주의 간격을 두고 추후평가를 실시하여 통제집단의 측정치와 사전 측정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치료효과는 첫째, 게임이용시간이 치료 전 347분에서 추후 평가 시 89분으로 대폭 감소했으며, 인터넷 게임 중독 진단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한 중독 경향성도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관련된 심리적인 변인에서 충동성과 우울감이 추후평가 시까지 감소현상이 유지되었다. 셋째, 치료집단의 집단내 변화에서는 가족관계, 자기통제감, 불안감, 외로움과 같은 변인에서 긍정적인 변화 경향성을 보였다. 넷째, 보호자와 담임교사가 평가한 치료효과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다섯째, 치료효과에 관련이 있는 변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지속적인 게임 이용시간의 변화, 게임 조절 의사, 치료에 대한 평가의 변화가 31% 설명 량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인터넷 게임중독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논의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에 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high risk students of internet game addiction. Seventy-seve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cores of internet game addiction diagnostic scale and game time. Among 72 students, 42 students agreed to participate in our program and 30 students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his program consisted of 9 therapy sessions and 2 parents education session. Each session was held for an hour and half per week. It consists of (1) recognizing game behavior and revising cognitive distortion (2) discovering appropriate alternative behavior (3) uplifting self-control (4) resolving game-related relational conflicts (5) preventing relapse - managing crisis situation. The measurements of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game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in Daily game tim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diagnostic scal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was generally maintained at the 8 weeks follow-up test. 2)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impulsiveness and depression.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was also maintained. 3) There were positive tendencies in family relationships, self-control, anxiety and loneliness within therapy group. 4) There were positive results in parents and home room teacher's evaluation. 5)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explanation variable at the range of 31%. On the basis of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for high risk students of internet game addiction was effective in protecting internet game addiction. Finally, implic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이옥주(철도경영연수원) pp.487-5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 양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남녀 352명을 대상으로 아이젱크 성격검사와 스트레스 대처 양식 질문지의 응답을 얻었다.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성격특성이 스트레스 대처 양식(지원추구, 문제해결, 현실인정, 부인/외면)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외향성은 문제해결 및 현실인정과 정적으로 관련되었으며, 신경증적 경향성은 지원추구 및 부인(외면)과는 정적으로, 문제해결 및 현실인정과는 부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신병적 경향성은 문제해결과 부적으로 관련되었다. 이 밖에도 성별에 따라 성격특성과 대처양식 사이의 관계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성격과 대처 양식의 관계에 관한 쟁점들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stress coping styles in the adolesc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52 high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Eysenck's EPQ and Carver's brief COP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Personality traits were important in predicting stress copying styles, extraversion had 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nd accepting reality coping styles positively, on the hand neuroticism had negative relation with solving problem and accepting reality and positive relation with seeking support and denial, and psychoticism had negative relation with problem solving cop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supports coping would be stable styles related to personalit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