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강혜자(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1-17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건강심리학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의 변화를 예측해보려는 의도로 시도되었다. 첫째, 1994년에 발족된 한국건강심리학회의 그간의 노력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즉 학회의 역사와 발전, 회원들의 활동 영역, 건강심리학 세미나 및 월례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학술대회 및 워크숍, 연구회 및 지부학회, 소식지, 한국 건강심리전문가들의 ‘한국 건강심리학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구상’, 그리고 회원현황을 알아보았다. 둘째, 건강 증진에 대한 견해에 관해서는, 한국의 건강 증진 정책의 이해(한국보건복지부)를 알아보고, 미국의 건강한 국민 2020(USDHHS, 2010)에서 중요한 건강 지표들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미래의 건강심리학 분야의 변화를 예측해 보았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the past and present timeframe in regard to an identified Korean health psychology and works to predict future changes within that paradigm. First, we tried to explore the efforts of the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94: its history and development; the fields of its activities, seminars and monthly meetings on health psychology; the Korean Journals of Health Psychology;conferences and workshops; News Letters; "Plan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Health Psychology Association" of the experts in the clinical health psychology; as well as a review of the status of its members. Second, we looked at understanding Korea's health promotion policy (Korea'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important health indicators in Healthy People 2020(USDHHS, 2010). Finally, we predicted a change in the future issues related to health psychology.

신유주(충남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19-36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2
초록보기
초록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결과들 사이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다. 많은 이들이 비록 미래의 보상이 더 큰 것이라 할지라도 즉각적인 보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자기조절과 해석수준이 지연할인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 4년제 대학교 재학생 및 휴학생인 20대 남녀 54명을 대상으로 ‘생활양식이 돈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영향’ 이라는 커버스토리를 설정 후 자기조절 척도(Self-Control Scale: SCS)를 실시하였다. 실험 참여에 동의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보고된 전체 점수의 상위 25%에 해당하는 27명과 하위 25%에 해당하는 27명을 선발하였으며 실험설계는 2(자기조절 고, 자기조절 저) × 2(상위해석수준, 하위해석수준)로 피험자 간 설계를 하였다. 지연할인율 측정을 위하여 컴퓨터를 통해 행동과제인 Delay Discounting Task(DDT)를 활용하였으며 참여자가 선택한 응답으로 참여자 개인의 지연할인율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자기조절과 해석수준에 따른 지연할인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조절이 낮은 집단에서 상위해석수준을 조작하였을 때 지연할인율이 낮아졌으며 하위해석수준을 조작하였을 때 지연할인율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인 반면, 자기조절이 높은 집단에서는 해석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조절의 결핍과 높은 지연할인율이 연관되어 있음과 상위해석수준으로 유도하는 것이 지연할인율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 연구를 통해 자기조절의 실패로 간주되어지는 임상장면에서 해석수준 조작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시간선호 유도가 예방 메시지 전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People are stand at the crossroads of choice between the consequences that can occur in everyday inter temporal. A lot of people tend to prefer the immediate rewards, even if the rewards are lager for the future. Each of individuals has different delay discount rates, people who take count of the higher discount rates for future rewards undervalue present value of the future rewards and judge it has a less influence that the effects of future reward due to the current choice. They select the problematic behavior, such as smoking, addiction, eating problem and impulse buying because of excessive discounts for future rewards.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elf-regulatory strength and construal level on delay discounting. First, targeting 54 individuals who are male or female in university students and students on a leave of absence in the age of 20s. We set the cover story "Influence of the preference for money" after that, we make them write down a self control scale(SCS) and selected each 27 individuals in the top 25% and 27 individuals in the bottom 25% of full score, among people who decided to participate in this experiment. For this, the researcher planned a design between subjects 2(high self-regulatory strength, low self-regulatory strength) × 2(high construal level, low construal level), and used behavior task Delay discounting task(DDT) to measure delay discount rates and presumed individual's delay discount, accepting responses (which have been) selected by participants. As the analysis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the discount rates of self-regulatory strength and construal level. Also, delay discount was lower when high construal level has been manipulated and was higher when low constual level has been manipulated, in group of low self-regulatory strength, whereas there were no relev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nstrual level, in group of high self-regulatory strength. These results propose self-regulatory strength's correlation between deficiency and high delay discount, and impress the importance of induction to high construal level is helpful for reducing delay discount. According to the study, we could expect that induction to futuristic temporal preference may be prevent effect to message delivery in clinical setting regarded as self control failure.

김장섭(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pp.37-5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이 자살 성향이 있는 여고생의 자살생각, 우울,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여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들 중 학생행동특성검사에서 자살생각과 우울을 보고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했다. 지원자 중 무망감척도가 10점 이상이거나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학생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인원을 각각 처치집단 10명, 대기-통제집단 7명으로 무선 할당하였고, 처치집단에만 6주 동안 한주 1∼2회 60분씩 8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에게는 프로그램 전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프로그램 종결 4주 후에 추수검사를 실시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수용행동척도-Ⅱ, 자살생각척도, 통합적 한국판 CES-D, 삶의 만족 척도, 삶의 만족예상 척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자살생각과 부정정서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에 우울, 삶의 만족, 삶의 만족예상, 긍정정서는 집단 간 사전-사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추수검사에서는 처치집단의 자살생각과 부정정서의 치료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마음챙김 명상이 자살 성향이 있는 여고생의 자살생각과 부정정서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the identified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noted suicidal tendencies. The participants to the study were freshmen from a girls’ high school in Seoul, South Korea and were recruited based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cores on the AMPQ-Ⅱ. Among the volunteers, there were 17 students with BHS scores above 10 or with a reported past suicidal attempt who were selected.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group (n=10) or a waiting-list control group (n=7).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a 60-minute mindfulness program once to twice per week, over a 6-week period of time. All participants to the study completed the following scales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follow-up.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showed noted decreases in suicidal ideation and negative emotions compared to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at post treatment on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 of life satisfaction, or positive emotion. At the 4-week follow-up analysis, the decreases in suicidal ideation and negative emotions were maintained in the treatmen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mindfulness meditation can help to decrease suicidal ideation and negative emotions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exhibited or identified suicidal tendenci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설정훈(연세대학교) pp.57-79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군인이 군 복무 중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강인성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해군 장병 300명을 대상으로 군내 스트레스 진단 척도, 정신건강 척도, 심리적 강인성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Muller, Judd와 Yzerbyt(2005)가 제시한 매개된 조절모형 검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스트레스, 정신건강 문제, 심리적 강인성, 사회적 지지 간의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문제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다. 셋째, 스트레스와 심리적 강인성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SPSS Macro PROCESS Model 8(Hayes, 2012)을 이용하여 심리적 강인성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신건강 문제를 예측하는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항이 심리적 강인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고, 군인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강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the associated psychological hard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were a total of 300 Korean military personnel chosen to complete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Stress Diagnostic Scale for Korean Military Personnel, Psychological Hardiness Scal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psychological hardiness,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results show notabl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as ident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is found to be related in this study. Thir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hardiness is found. Finall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psychological hardiness i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ed stress and mental health. Overall, the noted implications for positive improvement of the mental health of military personnel member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안혜진(고려대학교) ; 김은정(아주대학교) pp.81-97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의분산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몰입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즉,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주의분산이 우울 증상의 감소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6명을 대상으로 반응양식 질문지(RSQ)와 몰입 추구 질문지(TAS), 그리고 한국판 CES-D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의분산과 몰입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주의분산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몰입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 수준이 높을 때에는 주의분산이 높을수록 우울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이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몰입 수준이 낮을 때에는 주의분산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가 갖는 임상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low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ual elements of distraction and depression. The study clarified that the effect of distraction on depression would be increased when the flow level is higher in an individual. There were three hundred and twenty-six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ho completed the following testing questionnaire: the Response Style Questionnaire(RSQ), Tellegen Absorption Scale(TAS),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examinations. Afterward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as reviewed and studied, which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distraction and flow on depression is significant in an individual experiencing these components. Our study revealed that in the case where the flow level was considered high, the effect of distraction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while when the flow level was identified as low,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Finally, we conclude with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our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arameters.

김미희(대구가톨릭대학교) ; 허창구(대구가톨릭대학교) pp.99-12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해 나가는 능력과 과정을 의미하는 자아탄력성(Newman, 2005)의 순기능이 스트레스의 지각 단계에서 작용하는 것인지 아니면 스트레스 지각 이후 회복 단계에서 작용하는 것인지를 구분하여 확인함으로써 자아탄력성의 작용기제를 보다 명확화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실험참가자 350명 중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12명)과 낮은 집단(12명)을 선별하고 이들에게 스트레스 피드백(스트레스 단계)과 회복기간(회복 단계)을 3차례 반복하여 제공하였다. 그 과정에서 스트레스 변화양상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피드백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정신생리적 반응(심장박동수, 혈류량, 근전도, 피부전도)을 종속변인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 자기보고 스트레스 지각수준과 정신생리적 반응 기저선 수준에서 자아탄력성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낮은 스트레스 지각수준을 보여주었다. 둘째, 심장박동수는 스트레스 단계와 회복 단계에서 전체적으로 자아탄력성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낮은 심장박동수를 보여주었다. 셋째, 혈류량은 기저선 단계와 스트레스 단계에서 자아탄력성 고집단과 저집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회복 단계에서는 저집단의 혈류량이 기저선보다 높아진데 반해 고집단의 혈류량은 기저선보다 낮아져 차이를 보여주었다. 넷째, 근전도는 기저선 단계에서 자아탄력성 고집단과 저집단 모두 높은 근육 긴장도를 보여주었으나 스트레스 단계와 회복 단계가 진행될수록 근전도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고집단과 저집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피부전도는 자아탄력성 고집단과 저집단 모두 스트레스 단계에서 증가하고 회복과정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었으나 이러한 변화는 자아탄력성 고집단의 경우에만 유의했다. 결과적으로 4가지 정신생리적 지표 중 심장박동과 혈류량에서 나타난 차이를 바탕으로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단계 및 회복 단계에서 모두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echanism of the ego-resilience that was known as the competency and process for determining an adaptation under the stressful situation, and the study therefore verified whether the positive function of ego-resilience was activated in the perception phase of the experience of stress or in the recovery phase after the perception phase had passed. For this purpose, we chose and identified a high ego-resilience group (of 12 persons) and a low ego-resilience group (of 12 persons), and then provided the participants stress feedbacks (in the form of a stress phase) and noted a recovery period (recovery phase) during three timeframes. In this processes we therefore measured the changes of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heart rate, blood flow rate, muscle conductance, and skin conduct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measured heart rate, the high ego-resilience group showed a lower heart rate than the identified and measured low ego-resilience group, as noted in the stress phase and the recovery phase. Second, in regard to the measured and identified blood flow measurements of the participant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ego-resilience groups were not as significant in the baseline phase and stress phase, but it was revealed that in the recovery phase, the blood flow of the low ego-resilience groups became higher than the baseline, while the blood flow of high ego-resilience groups became lower than the established baseline. Third, in regard to the muscle conductance, the high and the low ego-resilience groups showed high muscle tension level in the baseline phase, but it was determined that both of the group’s tension levels were gradually decreas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of the groups. Fourth, in regard to the measured skin conductance of the participants, both of the high and the low ego-resilience groups showed increasing levels in the stress phase and decreasing level in the recovery phase, but these changes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high ego-resilience group.

허수진(아주대학교) ; 홍정순(아주대학교) pp.127-14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구득 및 이식코디네이터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감정노동척도, 조직지원인식척도, 자기위로능력척도, 직무소진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에 등록되어 실제로 장기구득 및 이식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장기구득 및 이식코디네이터 중 본 연구에 동의한 9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응답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직무요구-자원 모델에 근거하여 연구모형,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최종모형을 선정하였다. 최종모형에 의하면, 감정노동은 직무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 procurement and transplantation coordinators’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To this end, emotional labor scal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cale, self-soothing ability scale, and job burnout scale were used, and among organ procurement and transplant coordinators registered on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KONOS), 94 participated in a survey for the analysis. Considering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a research model and a competition model were set, and then a final model was selected based on their comparison. According to the final model, emotional labor not only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it by mediating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soothing ability.

황지연(단국대학교) ; 연규진(서강대학교) pp.147-166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위 공격성의 심리적 기제를 파악하기 위해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분노 억제, 분노 표출)의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참가자 327명(남자 128명, 여자 198명)의 설문지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 검증한 결과, 경쟁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이를 토대로 결과를 살펴보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 표출의 관계에서 분노 억제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했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분노 억제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분노 억제와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분노 표출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고, 결과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을 이중으로 매개하여 전위 공격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위 공격성이 높은 개인에게 문제시되는 정서와 정서 처리 방식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치료 접근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displaced aggression, investigating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i.e., anger-in, anger-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isplaced aggression. A total of 327 adults (128 males, 198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no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We compared the model fit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and found that the competition model was the best model for the present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relationships between noted anger-in fully mediated as no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out, and anger-in partially mediated as s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and displaced aggression. Also, the incident of anger-ou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in and displaced agg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cident of internalized shame influenced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anger-in and anger-out with dual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are going to be useful for clinicians to understand and assist clients who have problems of managing their displaced aggression with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Furthermo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조은실(중앙대학교) ; 신미연(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167-18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몰입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를 정서변별 어려움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확인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 중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초점주의 성향 척도, 한국판 청소년 정서인식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 한국형 대인관계 문제검사 단축형을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참여자를 제외한 231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에서 대인관계 문제로 이르는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또한 정서변별 어려움은 자기몰입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자기몰입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서변별 능력의 부족은 정서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저해하여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동원하게 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정서와 욕구를 추론하는 것을 방해하여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서 처리에 있어 정서변별은 핵심적인 요소로서, 그 기능과 역할 및 정서변별 증대를 위한 개입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다루고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ai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y in emotional differenti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noted and identified in relationship between self-absorp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were 300 middle school students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completed the testing which was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Korean Version of Emotional Awareness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short form of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Circumplex Scales. Accordingly,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report questionnaire faithfully excluded from the analyses, and thus th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with the 231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every path was noted to have been significant, except for one which was noted in relation to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Chief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iculty in emotional differentiation is partially mediated not only through the relation of self-absorp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ut also is seen in the relation of self-absorp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posed.

김은지(중앙대학교) ; 이은샘(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187-207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거절민감성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반추와 사회적 회피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2명(여자 172명, 남자 110명)을 대상으로 거절민감성 척도(RSQ), 반추적 반응 척도(RRS), 인지-행동 회피 척도(CBAS), 우울 척도(CES-D)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거절민감성이 부적응적 반추 유형인 몰두 및 우울 반추를 통해 인지, 행동적 사회 회피에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거절민감성이 높은 대학생이 대인관계 상황에 대한 반추 및 사회적 회피를 하여 우울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거절민감성과 특정적으로 연관된 사회적 회피에 초점을 두고,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정리하여 단일한 통합 모델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거절민감성향이 우울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부적응적인 반추 및 사회적 회피에 개입할 수 있는 치료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and social avoidance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elf-reported versions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Scale(RSQ), Rumination Response Scale(RRS), Cognitive-Behavior Avoidance Scale(CBAS) and Depression Scale(CES-D) in 282 undergraduate students(female 172, male 110).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by the use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rejection sensitivity affected the types of maladaptive ruminations, brooding and depressive rumination. And the rumination affected the cognitive and behavior social avoidance in sequence, after these variables affected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indicated a high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ruminate and avoi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y are going to experience depressive symptoms as a result of this experience. This study was meaningful for focusing on the phenomenon of social avoidance, which is specifically related to rejection sensitivity, and suggesting one integrative model about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as a discussion was provided regarding possible therapeutic methods that can useful to intervene in maladaptive rumination and social avoidance of the students, which is useful for preventing rejection sensitivity which is likely linked to depression.

성소영(가톨릭대학교)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209-230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분노억제와 우울이 이중매개효과를 지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42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상태-특성 분노 척도(STAXI-K), 한국판 CES-D, 자살사고 질문지(SIQ)가 사용되었다. 내면화된 수치심→분노억제→우울→자살사고로 이어지는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우울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분노억제와 자살사고 간의 관계에서 우울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억제와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이중매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분노를 억제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높은 수준의 분노억제는 우울 수준을 높이며, 우울은 자살사고를 유발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ual mediating effects that are characteristic of anger suppression and the associated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22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located in Gyeonggi and Busa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therefore completed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Korean CES-D, and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 for purposes of this study. Chiefly, in order to analyze the dual mediating effec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by the use of the AMOS 18.0 program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ssociated anger suppression as noted in the participant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the incidence of depression. Second, it was noted that the depression experienced in the participant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ird, the incidence of dep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as associated between anger sup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Finally,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s experienced by the student participants surveyed had both note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via the incidence of anger suppression and depression. That is, we are confident to note that a partial du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well in this case.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ger suppression and depression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 of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conclusion, the no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변서영(가톨릭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231-24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Gray(1991)의 강화민감성이론과 Higgins의 조절초점이론(1998) 및 조절부합도이론(2000)을 바탕으로 도박성 게임에서 손실을 경험하였을 때 개인의 접근 및 회피동기 민감성과 상황의 조절 프레임이 추격 도박행동에 미치는 상호작용적 영향을 카지노 모사게임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에 접근과 회피 동기 민감성의 개인차를 측정한 남자 대학생 63명이 향상 혹은 예방 프레임 유발조건에 무선 배정되었으며, 추격 도박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모사 슬롯머신 게임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향상프레임이 제시된 조건에서 접근동기 민감성이 높을수록 도박성 게임에서 손실을 경험한 후 더 높은 베팅금액, 베팅횟수, 손실금액이 나타나는 추격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예방프레임이 제시된 조건에서는 접근이나 회피 동기의 민감성 차이에 따른 추격 행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못했다. 본 연구 결과의 의의를 선행연구와 도박 현장의 적용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based on Gray's (1991) Reinforcement Sensitivity Theory, Higgins' s Regulatory Focus Theory (1998) and Regulatory Fit Theory(2000), aimed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s of personal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sensitivity and situational regulatory framing on chasing behaviors after experiencing loss in casino simulation game. 63 male college students who measured individual differences in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sensitiv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a promotion or prevention frame induction condition and used simulated slot machine game to measure their chasing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approach motivation sensitivity, the higher the betting amount, the betting frequency, and the loss amount, after experiencing the loss in the gambling game. However, in the condition that the prevention frame was presented, the difference of the 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difference of approach or avoidance motivation was not significant. 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gambling field.

강혜림(가톨릭대학교) ; 정남운(가톨릭대학교) pp.247-270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의도적 반추, 스트레스 대처가 실연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실연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 및 소극적 대처가 매개하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실연 경험이 있는 20∼40대 미혼남녀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안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부적 영향을 끼치지만 회피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는 증가하는 반면,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는 감소되었다. 셋째,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 모두 증가하는데 그 중에서도 소극적 대처가 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회피애착의 경우 적극적 대처만 부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불안애착이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를 부분 매개, 의도적 반추와 소극적 대처 역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를 완전 매개, 의도적 반추와 소극적 대처 역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30∼40대 집단은 20대 집단에 비해 불안애착이 높아질수록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의 실제 및 추후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dentified adult attachment, intentional rumination, and stress coping on growth following the event of romantic breakups for adults in their 20s~40s. The path model in which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the two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as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re were participants consisting of 399 un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40s with experiences of romantic breakups, who completed the offered survey to find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mediating effect through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nxiety negatively affecte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hile attachment avoida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growth. Second, intentional rumination increased with the effect of increasing attachment anxiety, whereas intentional rumination decreased with the incidence of increasing attachment avoidance. Third, both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also was noted to have increased as attachment anxiety increased, and passive stress coping was shown to have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attachment avoidance, only the incidence of active stress coping showed a negative effect. Fourth, attachment anxiety partially mediated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in the path to reach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ntional rumination and passive stress coping were also partially mediated. In the path to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ttachment avoidance fully mediated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intentional rumination and passive stress coping were also fully mediated. Fifth, the group of those participants in their 30s or 40s showed a mo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f intentional rumination and of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in the path to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ith increasing attachment anxiety those in their 20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on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s to the study.

김보라(한신대학교) ; 오현숙(한신대학교) ; 조문한(한신대학교) pp.271-292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대를 대상으로 기질,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기질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으로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대 300명에게 성인 스마트폰 중독 척도, 기질 및 성격검사(TCI)-성인용,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2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기질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극추구, 위험회피, 인내력이 스마트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자극추구 기질이 가장 높은 설명량을 보였다. 둘째, 선행연구와 통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질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병렬적으로 매개하는 연구모형과 두 변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쟁모형을 설정하였고,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이 경쟁모형에 비해 더 양호한 모형으로서 모형 적합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모형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극추구 기질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가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인내력 기질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와 문제 중심적 대처가 각각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해와 개입에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와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how Temperamen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tress coping style affect Smartphone addiction in people who are in their 20s in that age group demographic populations. There were a total of three hundred participants to the study who reported on addiction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nd the Stress coping Checklist. There were a total of 297 reports that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re were three reports that were excluded as having been not fully completely. As a result, the study showed that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and Persistence from temperament were measured in the study experiment as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prior studies and statistical analysis, we constructed the model that was used in the study. The suggested model was tha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tress coping style were mediated in a row, and a competing model was useful as a double mediation model, which had two variables that were mediated in a stepwise configuration. As a result, the suggested model was better than the competing model, and suggested the model's fitness of purpos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noted in the study. After confirming a significance of path in this model, Problem-solving coping was a partial mediator in a process of Novelty seeking that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while both Social support coping and Problem-solving coping were full mediators in a process of Persistence that also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discussed several point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nd limitations are as follow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