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손정락(전북대학교) ; 김희영(전북대학교) pp.1-16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음주를 보이는 대학생의 음주행동변화를 위해 알코올 의존 및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성격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J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대학교의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음주문제 측정 질문지와 단축형 세 차원 성격질문지의 선발요건에 모두 충족하는 참여자를 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동공격형 성격집단 7명, 반사회형 성격집단 7명을 선발하여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에게 음주의 양과 빈도 질문지 및 음주통제에 대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반사회형 성격집단보다 수동공격형 성격집단에서 주간음주량과 음주빈도가 더 감소되었으며, 음주통제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더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제음주자를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집단의 성격 특성 및 유형에 따라 치료적 접근을 달리해야 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it is effective by selecting and administrating programs according to personality traits for alcohol dependence and addiction prevention in changing drink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atic drinking. Six-hundred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Jeon-ju, who were selected by Drinking Problem Questionnaire and Shorter Version of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n, the final participates for this study was selected. seven for the 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group and seven for the antisocial personality group. They conducted a stress management program. Also, they conducted Drinking Quantity an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Controlled Drinking Self Efficacy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rinking behaviors more significantly changed the 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group than the antisocial personality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ifferent therapeutic approach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personality traits and type of group when we conduct programs for problematic drinkers. Finally,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김아영(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pp.17-33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이 통년성 알레르기비염으로 고통 받는 성인 환자들의 삶의 질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참가자는 이비인후과 전문의에게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으로 진단을 받고,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ARIA) 진단 기준 가이드라인 상 현재 지속적인 비염 상태 및 경증 증상에 해당하는 여대생들로, 사전 조사에서 알레르기비염 환자의 삶의 질 질문지, 주의력 검사, 심리적 수용 질문지, 삶의 만족 질문지, 삶의 만족 예상 질문지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여대생 총 18명을 선발하여, 마음챙김명상 집단에 10명, 대기-통제 집단에 8명을 배정하였다.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은 총 9회기로, 1주 1회씩 9주에 걸쳐 실시되었고, 각 회기는 90분가량으로 진행하였으며, 중도에 탈락한 4명을 제외한 총 14명(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7명, 대기-통제집단 7명)에게서 수집된 모든 종속 측정치의 사전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음챙김명상 집단은 대기-통제 집단에 비해 증상으로 인한 신체적 불편감과 심리적 고통이 더 감소하면서 삶의 질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선택적 주의력과 지속성 주의력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나타내었으며, 삶의 만족 또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그러나 심리적 수용, 삶의 만족 예상, 자기 통제력 평가에서는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quality of life and attention in perennial allergic rhinitis pati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 who had been diagnosis with Perennial Allergic Rhinitis by a professional and who met the criteria for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s diagnostic criteria.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rhinoconjunctiviti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rankfurter Aufmerksamkeits-Inventar test, psychological acceptance questionnair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questionnaire,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questionnaire at pretreatment. Of the total participants, 18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use of these scales and test.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namely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the wait-control group. 4 participants dropped out of the program due to personal matters, which left 7 i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7 in the wait-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in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completed 9 weeks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ly larger improvements in the areas of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attention in those participants trained in mindfulness meditation compared with the non-meditato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rea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In Fi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이유경(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 윤병수(영남대학교) pp.35-52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K-MBSR)프로그램이 방어적 자기초점주의를 가진 대학생들의 자기몰입, 정서조절 곤란, 심리적 증상 및 마음챙김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727명을 대상으로 자기초점적주의 성향 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 심리적 증상 척도, 한국형 마음챙김 5요인 척도를 실시하였고, 그 중 자기초점적주의 성향 척도에서 방어적 자기초점주의에 속하는 학생 36명이 본 연구의 참가자로 선정되었다. 참가자들은 K-MBSR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 영상집단에 각각 12명씩 배정되었으며, K-MBSR 처치집단에서 3명, 대기통제집단에서 3명, 영상집단에서 4명의 중도 탈락자가 발생하여 총 26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K-MBSR 처치집단 12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 총 8회기로 K-MBSR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영상집단 12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 총 8회기로 정신병리와 관련된 영상을 시청하였다. 두 집단 모두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가 실시되었으며, 4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대기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았으며, K-MBSR 처치집단과 동일한 시기에 사후검사와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K-MBSR 처치집단이 대기통제집단과 영상집단에 비하여 자기몰입과 정서조절 곤란, 심리적 증상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마음챙김 수준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이는 K-MBSR 프로그램이 방어적 자기초점주의 성향 대학생들의 경직된 주의를 융통성 있게 변화시켜 자기몰입과 정서조절 곤란, 심리적 증상과 마음챙김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Korean versio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K-MBSR) Program on Self-absorption, Emotional Regulation, Psychological symptom and Mindfulness Level in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individuals. The SDSAS, K-DERS, K-FFMQ and SCL-47 were used for screening in pre-test. Twenty Six individuals who satisfied the defensive self-focused level in this study. These individuals were assigned to the K-MBSR program group (n=9), wait-control group (n=9) or non-treated group (n=8). The K-MBSR program group participated in the K-MBSR program for eight sessions, once a week. The non-treated group was watching a video during the same period. Self-absorption, emotional regulation, psychological symptom and mindfulness level were assessed at the pre-test, post-test and 4-week follow-up period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cores of self-absorp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symptom in the K-MBSR progra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indfulness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김주희(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pp.53-68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들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 및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서울소재 여자대학교 학생들 중 사전평가를 통해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을 2가지 이상 보고한 16명을 선발하여 마음챙김 명상 치료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 8명씩 배치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은 한 회기 당 60-70분씩 총 8회기가 실시되었다. 비교 집단에게는 스트레스 교육을 한 회기 당 60분씩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Nepean 소화불량증 설문지(NDI-K), 스트레스 반응 척도(SRI), 통합적 한국판 CES-D,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자각 척도(MAAS), 심리적 수용 척도(AAQ-16)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이 스트레스 관리 집단에 비해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의 빈도, 강도, 괴로운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반응, 우울, 상태 불안과 같은 심리적 특성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챙김 명상이 일반적인 스트레스 교육보다도 상복부 통증, 불편감, 쓰림, 팽만감 등의 상복부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주된 증상들을 완화시켜주는 치료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indfulness meditation can help individuals with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FD). The participants were 16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or a comparative group. The 8 participants in the meditation group received 8 sessions in mindfulness training, that lasted 60-70 minutes each. The 8 participants in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8 sessions of stress management education. that lasted 60 minutes each. Measures included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NDI-K), Stress Response Index (SR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MAAS), and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16 (AAQ-16).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comparative group on frequency, intensity and severity of abdominal symptom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any psychological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can be more effective treatment for FD symptoms than general stress management education.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김혜미(경북대학교) ; 김소연(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pp.69-85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의 하위 유형 중 인터넷 게임중독에 초점을 맞추어 게임중독자들의 의사결정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BAS/BIS)가 인터넷 게임중독자의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61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를 실시하여 ‘인터넷 게임중독 집단’에 해당하는 30명과 ‘정상 집단’에 해당하는 31명을 선별하였고, 실험실에서 전산화된 아이오와 도박 과제(IGT),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체계 척도(BAS/B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 게임중독 집단은 정상 집단보다 아이오와 도박과제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여 비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인터넷 중독 집단은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BAS/BIS)의 민감성과 관계없이 비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decision-making ability in the internet game addict.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on Iowa Gambling Task (IGT) performance was evaluated. We recruited 613 undergraduate students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concerned with the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elected 30 i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group' and 31 in 'control group'. The students performed the IGT and completed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AS/BIS)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et game addiction group performed poorly on the IGT. Internet game addiction group did not improve their chosen behaviors over time, whereas the control group showed a learning effect.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had no impact on the IGT performance on those determined to be internet addict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김경진(강원도박중독 예방치유센터) ; 김교헌(충남대학교)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pp.87-104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합리적 의사결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IGT(Iowa Gambling Task) 프로그램(Bechara, 2007)을 아동에게 적합한 형태로 변형하고 그 심리측정적 속성(신뢰도와 타당도)을 검토했다. 성인용 IGT의 카드선택 총 횟수와 보상 및 처벌 규칙들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아동이 도구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병원에서 ADHD 진단을 받은 초등학생 17명과 일반 초등학생 3학년-6학년 아동 184명에게 IGT를 실시하였다. IGT의 핵심지표인 총점을 기준으로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토한 결과, 총점과 최종잔액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735)를 보여 구성타당도를 일부 확인할 수 있었고, ADHD로 진단 받은 임상집단과 일반 아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어 준거타당도 또한 일부 관찰할 수 있었으며, 논리망타당화를 위해 ‘충동성이 의사결정을 매개로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모형을 설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정된 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의사결정과 비교적 독립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성격 특성과의 관계가 모두 유의하지 않아 변별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검사-재검사로 확인한 신뢰도(r=.396, p<.01) 역시 수용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용 IGT가 의사결정의 문제를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아동용 IGT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study tansformed IGT(Iowa Gambing Task, Bechara, 2007) to the proper shape for children in order to measure level of rational decision making of human and review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reliability and validity). Using the total number of card selection of IGT for adults and compensation and punishment rule as they are, the program was recomposed so that children could have interests in the instruments. To collect samples, IGT was fulfilled to 17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gnosed as ADHD in hospital and 184 3rd ~ 6th grade student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Based on total score which is the core index of IGT, in the result of reviewing psychometric properties, a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scores and total money, the composition validity was partially confirmed and 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inical group diagnosed as ADHD and general children was observ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also partially observed, and model for the logical validity also appeared proper. Meanwhile, relations of decision making and character trait expected to be comparatively independent were not significant and so discrimination validity can be confirmed and reliability(r=.396, p<.01) confirmed by examination and re-examination also appeared level to accept. It indicates that IGT for children can evaluate issue of decision making with trust and validity. At last, method of using IGT for children was discussed.

조아라(중앙대학교) ; 이장한(중앙대학교) pp.105-120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비교이론을 바탕으로 신체 불만족과 섭식행동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하는 중요한 변인인 ‘신체 비교’ 과정에서 나타나는 남녀 차이를 타인의 신체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자대학생 19명과 여자대학생 19명으로 이루어진 총 38명의 실험 참여자를 대상으로 비만, 근육질, 마른 체형으로 구성된 남성 신체의 사진과, 비만, 보통, 마른 체형으로 구성된 여성 신체의 사진을 각각 제시하고 이에 대한 사이즈, 매력도, 우월도에 대해 VAS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여성이 날씬한 여성에 대해서 더욱 매력적이고, 자신과 비교했을 때 우월하다고 평가한 반면, 남성은 여성보다 근육질 남성에 대해 더욱 매력적이라고 평가하였으나 더욱 우월하다고 평가하지는 않았다. 또한 실험 후 여성이 남성보다 신체사진에 노출하기 전과 비교했을 때 기분이 더욱 부정적으로 변화했으며, 노출 전과 후 모두 여성의 신체 만족도가 남성보다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타인 신체와의 비교과정에서 여성은 이상적인 신체를 자신보다 우월하다고 판단함으로서 신체 불만족에 영향을 받는 반면, 남성은 신체비교로 인한 영향을 적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Based on a social comparison theor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gender differences in a body comparison' process, which is an important variable, developing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 Fift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y were asked to assess the body shape, attractiveness, superiority of overweight, muscular, and thin male bodies and overweight, normal, thin female bodies with VA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s estimated normal and thin female bodies as more attractive and superior than males did, while males estimated muscular male bodies as more attractive and superior than females did. Further, females reported more negative mood at post-experiment than pre-experiment compared to males, and higher body dissatisfaction in both pre- and post-experiment than 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males were influenced on body dissatisfaction through estimating idealized body as superior than their own body, but males were less influenced from idealized body.

이영호(가톨릭대학교) ; 이경진(가톨릭대학교) pp.121-142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수면의 질을 구성하는 수면 잠재기, 지각된 수면의 질, 수면 중 방해 등 3가지 요인에 스트레스, 반추,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경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학의 대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피츠버그 수면의 질 척도(PSQI), 경계 질문지(Boundary Questionnaire) 단축형, 반추척도(RDQ), 주요사건 스트레스 질문지, 일상생활 스트레스 질문지,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인 사고 단축형(DBAS-10)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경계가 수면의 질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잠재기에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반추 및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인 사고가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수면의 질에는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인 사고와 경계가 영향을 미쳤으며, 수면 중 방해에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반추 및 경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면 문제에 대한 차별적인 치료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stress, rumination, dysfunctional beliefs about sleep and boundaries have a differential effect on sleep quality, which consists of sleep latency, perceived sleep quality, and sleep disturbance. In the study, 321 college students completed several measures: the Daily Stress Scale, the Major Life event Scale, the Responses to Depressed Mood Questionnaire,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the Boundary Questionnaire, and the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Scale. Results showed that daily stress, dysfunctional beliefs about sleep and boundaries predicted sleep quality. Sleep latency was influenced by daily stress,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beliefs about sleep. Perceived sleep quality was influenced by dysfunctional beliefs of sleep and boundary. Sleep disturbance was influenced by daily stress, rumination and boundar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김인구(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김완석(아주대학교) pp.143-161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입 수험생들이 주 스트레스원인 학업 스트레스를 어떻게 인지하고 대처해 나가고 있는지와 대처결과에 따라 어떤 정서반응을 보이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예비연구에서는 G대학 신입생 71명을 대상으로 대입 수험생들의 실제 행동을 묻는 4개의 문항에 응답을 받아 학업 스트레스-인지-대처-반응-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도식화하였다. 설문결과 스트레스원은 공부, 대인관계, 기타 외모 등의 3가지로 나타났고, 인지유형은 긍정ㆍ부적 자극으로 나뉘었다. 대처유형은 문제중심, 회피 외에 사회적 지지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집단활동과 개별활동을 추가하여 4가지로 분류하였다. 스트레스 대처 결과에 따른 정서반응은 최종 결과인 성과와 대처결과에 따른 성공체험 같은 단기적 정서상태를 구분한 후, 정서의 표출 및 상대 유무에 따라 짜증, 내부 수렴, 외부 발산으로 유형화하였다. 종합하면 정서반응 단계까지의 스트레스 대처 과정은 행동패턴 단위로서 이것이 환류하고 반복되어 최종성과에 도달하는 시스템이 완성된다. 본연구에서는 G대학의 자기소개서 첨삭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험생들이‘평소 스트레스를 어떻게 관리하는지’묻는 문항에 답한 159개의 내용을 각 단계별로 질적 분석한 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대처, 대처×정서, 인지×정서에서 강한 유의성을 나타냄으로써 인지방식이 대처유형 선정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 및 대처유형이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추가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제한점을 밝혔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regarding college candidates' cognitions, coping styles and reactions to academic stresses which they should conquer at that period. In the pre-study, a 4-item questionnaire, measuring the factors of process; stressor, cognition, coping and reaction was prepared. A total of 71 freshmen of G University in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d the practical stress coping process was hypothetically diagrammed. According to the result, stressors are categorized with the study, human relations, and the rest. Stressor recognition types are divided into positive stimulus(eustress) and negative stimulus (distress). Coping styles are categorized with problem-centered, avoidance, group and individual activities, which are useful to judge the presence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tatus as a result of coping is classified with success experience, irritation, internal and external-oriented reactions. This process diagram is completed with the feedback looping system and the final performance factor. In the main study, the answers of 159 students who attended the self-introduction letter revising program, which was held by G University, were analyze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how to manage common stress' were coded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cross tabulated. Chi-Square tests of the cognition-coping, coping-reaction, and cognition-reaction were very strongly significant as to verify the hypothetical relations. Lastly, while referring to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서민재(가톨릭대학교)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163-181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격을 유발한 대상에 대한 보복이 아닌 무고한 대상에게 공격성을 표출하는 전위 공격성의 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판 전위 공격성 질문지(Korean version of Displaced Aggression Questionnaire: K-DAQ)”를 사용하여,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신체화, 및 우울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대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뒤, K-DAQ 수준에 따라 상위 30%와 하위 30%로 두 집단을 나누고 사회적 바람직성을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전위 공격성이 높은 사람들은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이 낮고, 신체화와 우울경향은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K-DAQ의 세 가지 하위요인이 각 변인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Displaced Aggression Questionnaire(K-DAQ), the 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somatization, depres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were explored. Displaced aggression denotes the phenomenon that someone expresses his or her aggression to an innocent target rather than the original provoker. The survey data of 369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trait displaced aggression by a high-ranked 30% group and a low-ranked 30%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with social desirability as a covariance. As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e., the person with high displaced aggression showed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higher somatization and depressive tendency than the one with low displaced aggression. Additional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subscales of K-DAQ, which affect each variabl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이연수(경기대학교) ; 송민경(경기대학교) ; 김청송(경기대학교) pp.183-201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용서하기와 용서받기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중ㆍ고등학생 419명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용서를 할 수도 있고 받을 수도 있음을 감안하여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용서하기와 용서받기를 분석한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성차에 의한 용서행동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학생의 용서하기와 용서받기의 여부를 가장 잘 분류해주는 변인은 호의성(agreeableness)이었다. 중학생들의 경우 호의성이 높은데 피해경험이 적을 경우, 인지적-정서적 공감의 정도가 높으면 자기는 용서하지 않으면서 남에게 용서받는 경향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고등학생의 경우 용서행동을 가장 잘 분류해주는 변인은 성별이었다. 또한 피해경험이 많은 여학생들이 자존감이 낮을 경우 자신은 용서하지 않으면서 남에게는 용서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반면, 남자이면서 정서적인 안정성이 부족하고, 분노도 억제하지 못하며, 타인에게 의존적일 경우 정서통제의 역기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용서의 발달양상을 확인한 것이며, 성차에 의한 용서행동의 양상과 선택은 전략적 적응양식으로서 달라질 수 있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의미와 피해상황의 다양성, 가정변인이나 개인의 기타 특성, 특히 청소년 개인의 태도나 대처기제 등의 역할에 대한 관점에서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determinants of forgiving-experiences vs. the forgived-experiences of adolescent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of determinants of forgiveness experiences by gender and school grades.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419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youth activities in youth centers in Kyonggi area. This study performed the data mining decision tree method in order to compare the forgiveness experience determinants of adolescents, controlling for gender and school grades. The analysis outcomes indicated tha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forgiveness experience by school grades and gender. In addition, it could be said that forgiveness actions and experiences might be the long-term adaptations and coping skill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adaptive strategies between male vs.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조양선(삼육대학교 상담교육학과) ; 손솔(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서경현(삼육대학교) pp.203-217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과 부모화 그리고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부정적 부모양육방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262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28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리검사는 Parker의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 부모화 질문지 그리고 LaGreca의 사회불안 척도였다.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방식과 아버지의 부정적 양육방식 모두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부모양육방식은 사회불안 요인 중에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는 상관이 없었고, 타인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나 일반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은 부모화와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모화도 사회불안과 정적으로 관계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모화는 사회불안 요인 중에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는 상관이 없었다. 부모화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과 사회불안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사회성과 관련된 부모의 역할에 대한 Adler의 개인심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s, parentification,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researchers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negative parental rearing styles and social anxiety. The participants were 26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years to 28 years of age.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Parker’s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arentification Questionnaire, and LaGrea’s Social Anxiety Scale. The correlation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negative rearing styles of both par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However, parental rear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ear of others’ evaluation and fear of general social situation among factors of social anxiety. And, perceived negative parental rearing styles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fication, while parentif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fear of new social situation. It was found that parentification was partially mediating negative parental rearing styles and social anxiety.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rpret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Adler’s theory of individual psychology about roles of parents in sociability.

이성준(아주대학교) ; 유연재(아주대학교) ; 김완석(아주대학교) pp.219-238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기연민, 수용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연민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수용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완전매개 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여 부분매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22명(남자 110명, 여자 112명)을 대상으로 자기연민을 측정하는 한국판 자기연민척도, 수용을 측정하는 한국판 수용-행동 질문지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한국판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모았다. 분석 결과, 완전매개 모형보다 부분매개 모형의 적합도가 더 낫게 나타났고, 전체 모형의 직접경로와 간접경로 둘 다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자기연민은 수용의 향상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임을 시사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적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응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추가로 필요한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major goal of current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mpassion,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purpose,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accepta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ected full mediation model as a competition model, and estimated fit indices of partial mediation model.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thre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d to a sample of 222 university students(male=110, female=112), using K-SCS, K-AAQ-Ⅱ and K-PWBS. As a result, fit indices of research model was better than competition model, and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s in general model were significant. This results showed that self-compassion influences not only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increased acceptance indirectly but also does directly. Application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based on the model was suggest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조성현(삼육대학교) ; 서경현(삼육대학교) pp.239-250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과 SNS 중독 경향성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302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7세에서 41세 사이였다. SNS 중독경향성의 구성요인은 집착 및 금단증상, 과잉소통과 몰입 그리고 과도한 시간투자였다. 상관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으로 관계하고 있었는데, 특히 과민 취약성, 소심함과 자신감 부족 뿐 아니라 착취 및 자기중심성이 관계가 있었다. 중다회귀분석 모형에서 다른 내현적 자기애 요인들로 보정되었을 때는 인정욕구와 거대자기 환상이 SNS 중독경향성과 부적으로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외감도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으로 관계하고 있었다. 상관분석에서는 소외감 하위요인 모두 SNS 중독경향성과 상관이 있었지만, 네 가지 하위요인을 투입한 중다회귀분석 모형에서는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설명력이 15.8% 이었으며, 무력감과 규범 상실감만이 유의한 예언변인이었다. 한편 자기제시 동기는 SNS 중독경향성과 상관이 없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overt narciss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are related to SNS addiction proneness. The participants were 30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41. SNS addiction proneness is structured as attachment/withdrawal symptom, excessive communication/absorption, and excessive time consumption. Correlation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overt narciss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SNS addiction proneness, especially vulnerability of hypersensitivity and timidity/lack of confidence, as well as exploitation/self-centeredness were correlated to.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desire for self-acknowledgement or fantasy of self-grandeur was negatively related to SNS addiction proneness as being adjusted by other factors of covert narcissism. Feeling of sense of alienation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to SNS addiction proneness. Whereas, each four factors were independently significantly related to SNS addiction proneness, only helplessness and sense of loss in norm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with four sub-factors of sense of alienation. In addition, their accountability was about 15.8%. Besides,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NS addiction proneness. Based on these results, researchers suggested the discussion and information for further studi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