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Tara M. Neavins(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Wisconsin) ; Vincent J. Adesso(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Wisconsin) ; 서경현(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Wisconsin) pp.1-9
초록보기
초록

성별, 긴장완화에 대한 기대, 강인성이 음주수준의 예측변인이 될 수 있는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15문항 강인성척도(15-item Hardiness Scale), 알코올 기대 설문지-3판(Alcohol Expectancy Questionnaire-III), Cahalan 음주습관 설문지(Cahalan Drinking Practices Questionnaire)를 603명(여성 = 454)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였다. 희귀분석을 행한 결과, 세 가지 변인들 모두 음주에 대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긴장완화에 대한 기대가 가장 많은 변량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주에 대한 긴장완화 기대와 성별의 역할을 재차 확인하여 볼 수 있는 기회와, 특히 강인성의 역할에 대해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Abstract

To investigate whether gender, tension-reduction expectancies, and hardiness would be predictors of alcohol consumption level, the I5-item Hardiness Scale, the Alcohol Expectancy Questionnaire-III, and the Cahalan Drinking Practices Questionnaire were given to 603 college students (female = 454). A forwar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ll three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alcohol consumption yet tension-reduction expectancies accounted for the most variance. These findings reiterate the role of tension-reduction expectancies and gender in alcohol consumption and suggest a role for hardiness.

안형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0-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처전략들과 인지유형, 및 성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대처전략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검사지(Ways of Coping Questionnaire: WC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 바, WCQ는 문제 지향적 대처방식, 정서 지향적 대처방식, 그리고 사회적지지 추구를 측정하는 척도들로 구성되어 있다. 인지유형은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에서 사용하는 4가지 선호성 조합 가운데 ST(Sensing and Thinking)와 NF(Intuition and Feeling)의 조합들을 각각의 상이한 인지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대처전략, 인지유형과 성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전체 396명(남성: 139, 여성: 257)의 대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MBTI 검사 결과틀 통해 216명의 피험자들이 ST집단(123명: ISTJ, ISTP, ESTP, ESTJ)과 NF집단(93명: INFJ, INFP, ENFP, ENFJ)으로 분류되어 이들 집단들의 대처전략들이 검증되었다. 전체 피험자들에 대한 자료는 대처전략과 사회적지지 추구의 정도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에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ST집단은 문제 지향적 대처전략을 사용하는 반면, NF 집단은 정서 지향적 대처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 개의 하위척도(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일정 거리 유지: 남성들이 여성들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함)를 제외하고는 문제 지향성을 측정하는 척도들과 정서 지향성을 측정하는 나머지 척도들에 있어서 성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사회적지지 추구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에 있어서는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Coping strategies were assessed using the Ways of Coping Questionnaire (WCQ), which includes problem-focused, emotion-focused, and social support seeking scales. Sensing and thinking (ST), and intuition and feeling (NF) preferences measured by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were considered as cognitive styles. In addition, gender and social support were also examined. A total of 396 college students (139 males and 257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wo-hundred and sixteen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the MBTI results, They were divided into the ST group (123 subjects) and the NF group (93 subjects). The data from 396 subjects were use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T group tended to use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while the NF group preferred to us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except one subscale of emotion-focused coping, the distancing scale; males revealed higher scores than femal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females and social support.

한덕웅(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pp.24-42
초록보기
초록

한국인들이 신체 질병에 관해서 공유하고 있는 사회적 표상의 특징을 중산층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통해서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 목적에서 한국에서 중산층인 전국 6개 지역 대학생(710명)과 이 학생들의 학부모(631명)를 포함하여 총 134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한국인들이 건강의 증진, 질병의 발생 및 치료를 설명하는 서구의 최근 심리·사회 모형과 조화되는 관점과 함께 전통 한의학 사상과 연결되는 심신관, 기론 및 토속적 질병관을 우세하게 지니고 있음을 알아냈다. 또한 한방과 민간요법에 동의하는 반응도 높아서 건강심리학의 관점에서 대체의학의 일부로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산층이 지니는 전반적 질병의 표상은 물론 연령에 따라서 청년과 장년, 그리고 건강한 사람들과 질병을 지닌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지니거나 각각 차별적으로 지니는 질병 표상의 특징도 보고하였다. 이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논의하였고, 장래 연구의 과제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urve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illness representation shared by the middle class of Koreans. In order to understand social representation of physical illness about illness and/or health adapted by the middle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710 college students located at six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and 631 of their parent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Koreans predominantly adapted a psychosocial model developed recently as well as traditional medicine model (e.g. ki) as a useful explanation for health and/or treatment. The majority of people also endorsed oriental medicine and folk medicine, suggesting the need for alternative medicine as a viable approach even in health psychology. The present study reported the general pattern of illness representation shared by the middle class of Koreans. It also repor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age (young adult vs. middle age) and by health status (health vs. unhealthy).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previous studies and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이경숙(덕성여자고등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43-59
초록보기
초록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청소년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특히 우리 나라의 청소년들은 학업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다. 청소년들의 학업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훈련은 원호택의 공부스트레스 대처훈련 모형과 김영진의 학습상담법을 기초로 한 것이다. 상호작용의 의미에서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하며, 구체적인 학습방법의 훈련을 통해 학업 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도록 지도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스트레스 대처훈련모형의 이해, 비합리적 사고의 수정, 시간관리훈련, PQRST 독서법, 핵심파악 훈련, 집중력 훈련 등이 실시되었다. 학업스트레스 훈련 결과, 학업스트레스원과 학업스트레스반응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학업스트레스원의 하위척도에서는 성적과 공부의 척도에서, 그리고 학업스트레스반응의 하위척도에서는 심리적, 행동적 척도에서 유의한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로는 국사와 영어 과목에서 유의한 수준의 성적 향상이 나타났고, 다른 과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effects of the 'Study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on the reduction of study stres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in high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is mainly based on Won, Ho Taek's 'Study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and Kim, Young Jin's counseling method for study. This program is aimed at enhancing the student's abilities to understand and manage study stress. The content of this program covers 'understanding of the stress as a transactional model; the correction of irrational thought; time management', etc. The instruction of study skill can be a way of reducing the study stress. That's why we dealt with the study skill program such as PQRST reading skill, concentration and memory, taking notes and preparing for exams, etc. A total of 20 students from the 2nd grade of a girls' high school in Seoul joined this program voluntarily and they were assigned to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10 students in each group. Each group consists of the students having similar academic achievemen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20 hours' training for 5 weeks.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 didn't get any treatment during those period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NCOVA was applied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re as follows: 1) After the training, there was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the level of stressor (F(1,17)=0.03, p<.0l) and stress response (F(1,17)=8.53, p<.001). 2) Among the 6 subscales of stressor (Grade, Test, Lesson, Study, Course, and Outer Environment) there was significant reduction in Grade and Study. Among the three subscales of stress response (Physic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 3) This program was efficient for improving the grades of Korean History and English for the experimental group.

이경순(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김교헌(충남대학교 심리학과) pp.60-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분노가 유발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특성적 분노억제경향성이 높고 낮음과 문제해결 유&#x00B7;무가 분노 정서 경험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판 Spielberger의 상태-특성분노 표현척도증 분노억제 하위척도의 점수에 근거하여 평소의 분노억제경향성이 높거나 낮은 52명의 여대생들을, 실험배역인물의 무례한 행동으로 인해서 야기된 부당성이 실험자의 지적을 통해 적절하게 규정되거나 그렇지 못한 조건에 무선배당 했다. 피험자들은 실험의 각 단계를 통해 자신의 분노 정서 경험을 보고하고 혈압을 측정 받았다. 연구결과 첫째, 평소 분노억제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분노가 유발되고 해소되어 가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저선, 분노유발 및 문제해결 단계 모두에서 더 많은 분노 정서를 경험했다. 둘째, 문제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조건의 피험자들은 문제해결이 이루어진 조건의 피험자들에 비해 문제해결 단계동안 혈압이 더 높았고, 회복기 단계에서의 회복도 느렸다. 분노억제경향성과 문제해결의 상호작용 경향성도 나타났는데, 문제해결 단계 후 문제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조건에서만 분노억제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분노 정서를 더 많이 경험했고, 혈압도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선행연구 및 관련 연구분야의 쟁점 사항들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anger-in tendency and problem-solving on anger experiences and blood pressure within the anger-arousing social interactional context. Fifty two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either a high or a low level of anger-in tendency were randomly assigned in either problem-solving condition or no problem-solving condition. Blood pressure and anger experiences were repeatedly measured during baseline, anger-arousing, problem-solving and recovery phas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s who had a high level of anger-in tendency experienced higher anger than subjects who had a low level of anger-in tendency during baseline, anger-arousing, problem-solving and recovery phase. Second, subjects in a non-problem-solving condition exhibited higher blood pressure than subjects in a problem-solving condition during a problem-solving period and subjects of a problem-solving condition showed slower pace in blood pressure recovery than subjects in a non-problem-solving condition. Third, in a non-problem-solving condition, subjects who had a high level of anger-in tendency exhibited higher anger and blood pressure than subjects who had a low level of anger-in tendency after a problem-solving perio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roblem-solving condition can moderate the effects of anger-in tendency on the anger experience and blood pressure. It also suggests that it is useful to distinguish between anger-in tendency as a trait compared to state anger-in behavior for dissolving the problem of anger-in (Spielberger) and anger-out (Siegman) controversy in CHD and high blood pressure.

탁진국(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73-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특성과 생활사건이 음주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성격특성은 A유형성격과 5요인(big five) 성격요인(외향성, 정서적 안정성, 호감성, 성실성, 이지성)으로 측정하였고, 생활사건은 대학생활을 하면서 갈등을 겪을 수 있는 17개의 생활사건을 측정하였다. 음주동기는 사교, 사고의 확장, 정서적 대처, 기분의 고양, 습관 및 동조의 6개 요인으로 측정하였다. 400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먼저 상관분석한 결과, 성격특성에 따라 술을 마시는 이유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사건 변인 가운데 음주동기 요인과 관련이 깊게 나타난 변인은 학과적응, 부모관계, 이성문제, 그리고 흡연문제였다. 특히 흡연문제는 음주동기 전체 및 각 요인과의 상관 정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성격특성과 생활사건을 예언변인으로 두고 단계적 희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성격특성과 생활사건 변인 모두 음주동기 요인을 설명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예언 변인 가운데 흡연문제가 음주동기 요인을 설명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성격특성이 음주동기를 설명하는 부분 이상의 의미있는 추가변량을 생활사건이 설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희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6개 음주동기 요인에서 생활사건이 음주동기 요인의 추가 변량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생활사건이 음주동기를 설명함에 있어서 성격특성 변인 못지않게 중요함을 말해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미래의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study the effects of individuals' personality traits and life events on drinking motives. Personality traits were measured using Type A personality and big-five personality factors (extroversion, emotional stability,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intellect) and life events were measured using 17 conflict life events. Correlational analyses, based on the data from 400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personality traits and life events were related to drinking motives.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ith personality traits and life events as predictors, showed that personality traits and life events predicted drinking motives. Among all the predictors, a smoking problem had the largest effect on explaining drinking motiv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if life events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of incremental variance to the prediction of drinking motives after entering personality traits first. Results showed that life events added a significant amount of incremental variance to the prediction of all six factors of drinking motiv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김청송(경기대학교 교양교직학부) ; 유제민(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84-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만성 동통의 발달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민감성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만성 동통환자들 212명을 대상으로 불안민감성, 동통심각도, 동통의 부적 기대, 그리고 동통 관련 도피 및 회피를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 결과, 불안민감성은 동통 관련 도피 및 회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은 물론 동통의 부적 기대를 통해서도 동통 관련 도피 및 회피를 간접적으로 촉진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통심각도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같아서 불안민감성이 만성 동통환자의 동통 관련 도피 및 회피를 이끌고 동통의 만성화에 기여하는 하나의 위험요인임이 시사되었다.

Abstract

Anxiety Sensitivity (AS) is typically defined as the fear of anxiety symptoms (including thoughts and somatic sensations) arising from beliefs that they have harmful social, physical, or psychological consequences. Catastrophizing over the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s of pain appears to be common, as does fear and escape/avoidances.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S on pain-related fear and catastrophic thoughts (negative expectancies) and escape/avoidance. Patients with chronic pain (N=212) completed measures of AS, pain severity, pain-related fear and catastrophic thoughts, and escape/avoid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ported the prediction that AS exacerbates negative expectancies and promotes pain related escape/avoidance. Also it was found that AS directly promoted pain related escape/avoidanc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This effect was significant when controlling the influence on pain seve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 plays an important role in negative expectancies of pain and escape/avoidance and in the maintenance of pain behavior and related disability in people with chronic pai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박영신(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김의철(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정갑순(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이상미(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권혁호(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양계민(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94-118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 차이와 형성 및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초, 중, 고등학생 집단간에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지원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박영신, 김의철, 김영희, 및 민병기(1999)의 연구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초, 중, 고등학생 집단 각각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생활만족도와 관련인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3,095명(초 961명, 중 898명, 고 1,236명)이었다. 공변량분석 결과, 초, 중, 고등학생 집단간에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지원 및 자기효능감에서 매우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초등학생이 가장 생활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부모나 교사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원은 초등학생에서 고등학생이 됨에 따라 감소하지만, 친구로부터의 지원은 증가하는 차이가 있었다. LISREL 8을 활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한 결과, 사화적 지원이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이 있고,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이 있으며,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가 학업성취에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지원 제공자별로 볼 때, 초등학생에서 고등학생으로 됨에 따라 교사의 영향력은 약화되고 아버지의 지원이 더욱 중요해졌다. 특별히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를 결정하는 매우 영향력있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life-satisfaction and academic grade among primar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3,095 students (961 primary, 898 junior high, and 1,236 senior high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first two authors and the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Bandura (1995). Results of analysis of co-variance indicat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Specifically, primary school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life-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parents. Although the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parents and teachers decreased with age,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friends increased. LISREL analyses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influences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Secondly, self-efficacy influences life-satisfaction and academic grade. When we examined differences among the providers of social support, the influence of teachers decreases with age and the importance of paternal social support increases with age. Finally, self-efficacy had strong influence on life-satisfaction and academic grades.

김의철(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박영신(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김명언(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건우(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유호식(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119-14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성인, 노인의 세대차 인식과 심리 행동특성의 차이와 유사점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이들 각 집단의 생활만족도 형성에 세대차 인식과 심리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청소년과 성인은 집단으로, 노인은 개인 면접방식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총 2,789명이었다(청소년 981명, 성인 1,661명, 노인 147명). 세대차 인식에 있어, 노인이 청소년이나 성인보다 세대차이와 세대갈등을 많이 지각하였다. 청소년, 성인, 노인 모두 생활목표로서 가정화목을 가장 중요하게 의식했으며, 사회봉사는 노인이, 자아실현은 청소년이 목표로 하는 정도가 높았다. 진보지향가치는 청소년이 높았으며, 보수지향가치는 노인이 가장 높고 성인 청소년의 순서였는데, 청소년은 남자가, 노인은 여자가 더욱 보수적이었다. 청소년, 성인, 노인 모두 효능감의 하위변인 중에서 관계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세대집단별로는 노인이 가장 관계효능감과 스트레스대처효능감이 높았는데, 남자는 세대집단별로 효능감의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에, 여자는 청소년에서 성인을 거쳐 노인이 될수록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였다. 생활만족도는 노인이 가장 높았으며, 남자는 청소년보다 성인에서 만족도가 감소하였다. 안정된 직업을 선호하는 정도는 노인이 가장 높고, 청소년은 상대적으로 인기직업을 부러워하는 정도가 높았다. 세대갈등에 대한 대처양식으로 세 집단 모두 자기조절대처를 가장 많이 하였는데, 청소년은 남자가, 성인과 노인은 여자가 더욱 자기조절의 대처양식을 많이 활용하였다. 세대집단별로는 노인이 자기조절 및 사회적 지원 추구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노인이 가장 전통지향 역할행동을 많이 하고 성인 청소년의 순서였는데, 청소년과 성인은 남자가, 노인은 여자가 더욱 전통지향 역할행동을 하였다. 일상행동에서도 세대차이가 있었으며, 청소년이 가장 컴퓨터나 통신기기틀 많이 활용하며, 랩 힙합음악을 선호하고 쇼프로를 많이 보는 반면, 성인과 노인은 트로트 음악이나 뉴스프로를 선호하였다. 생활만족도의 형성과 관련하여, 세 집단 모두 관계효능감과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가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어, 효능감이 높고 사회경제적지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이외에도 극복 효능감이 높을수록, 자아실현과 관련된 생활목표의식이 강할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노인은 핵가족보다 대가족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만족도가 높고, 진보지향가치를 가질수록 만족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life-satisfaction among a sample of adolescents. adults, and elderly. A total of 2,789 participants (1,298 male, 1,489 female participants, and 2 missing) of which 981 were adolescents, 1,661 were adults, and 147 were elderly, completed a survey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in addition to the self-efficacy subscales developed by Bandura (1997).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 and gender. First, intergenerational conflict was greatest for female adolescents and elderly males. Second, male adolescents and elderly females were more likely to hold conservative values. Third, male adolescents scored higher than females adolescents on self-efficacy to control distressing rumination and resiliency, while such differences were not found for elderly. Fourth, for self-regulatory efficacy, males adolescents scored higher than female adolescents, while the opposite was true for the elderly. Fifth, female adolescents and elderly males were more likely to use mobile phones than their counterpart. For main effects, first, elderly perceived greatest intergenerational conflicts. Second, adolescents were most likely to hold progressive values. For life goals, social service was the highest mean for the elderly, while self-actualization was the highest for adolescents. Third, elderly preferred professional careers (e.g., doctors, professors), while adolescents preferred occupation in the entertainment sector (e.g., musicians, atheletes). Fourth, elderly were more likely to adopt coping strategies that emphasize avoidance or seeking social support. Fifth, the elderly preferred traditional sex-role differentiation, while adolescents preferred more egalitarian role obligations. For TV programs, adolescents preferred variety shows, and the elderly preferred drama. For music, adolescents preferred Hip-Hop and Rock 'n Roll, while the elderly preferred traditional and nostalgic music. For life-satisfaction, those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elf-efficacy beliefs, conservative values, and low intergenerational conflict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Finally, those elderly who live in the extended family, rather than nuclear family, and those who had progressive values had higher life-satisfaction score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