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교헌(충남대학교)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김세진(충남대학교) pp.187-202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1
초록보기
초록

본고를 통해 한국사회의 당면 과제 중 하나로 등장한 인터넷 도박의 실상과 심리학적 과제 및 쟁점에 대해 논의해보려 했다. 본격적인 논의를 돕기 위해, 인터넷 도박이란 무엇이며, 어떤 역사를거쳐 왔고, 현재 국내외의 상황은 어떠한가를 먼저 소개했다. 다음으로 일반 도박에 비해 사이버공간에서 벌어지는 인터넷 도박의 특징은 무엇이며 사람들이 인터넷 도박을 할 때 보이는 동기나게임 양상 및 도박 문제 등의 심리적 특성은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도박문제를 건설적으로 다루기 위한 심리학의 과제는 무엇이고 이와 관련된 쟁점은 무엇인가를 논의했으며, 끝으로 한국에서의 인터넷 도박의 미래와 과제를 전망해 보았다.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Internet gambling and discusses its psychological tasks and issues. First of all, the definition, history, and domestic and overseas situations of Internet gambling are introduced. Next, the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gambling in cyberspace, which are different from general land-based gambling. And the motive for gambling on the Internet, game pattern, and psychological features of the internet gambling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per suggests the challenges that psychology should address so as to constructively deal with the problems of Internet gambling, and discusses related issues. Finally, the future tasks of Internet gambling in Korea are suggested.

이충기(경희대학교)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이태경(국립서울병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203-214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opulation trends in legalized internet gambling based on the study of LaPlante, Schumann, LaBrie, and Shaffer(2008). This study attempted to gain an elaborate understanding of maladaptive gambling behavior based on actual behavior patterns observed directly from the population of Internet gamblers. Data was collected from 28,971 members who had first registered on a legal Internet gambling(sports betting) site between August and December, 2007. The number of bets and betting amounts until November, 2009 (total 23∼28 months) were collected. This study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number of participating days, number of bets, and betting amounts after computing individual days of gambling participation from activation of each initial memb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und consistent with those reported by LaPlante et al.(2008)in that the number of bets and betting amounts of gambler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ing patterns of adaptive behavior and the patterns were similar regardless of gender and age(r=-.628~-.797, all ps<.001). Finally, we discussed the findings from the results associated with future direction on the study of Internet gambling.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이충기(경희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 김석원(Univ. of Minnesota) pp.215-225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합법 인터넷 도박 이용자들의 병적 도박 위험성과 불법 도박 확산 가능성을탐색하여, 머지않은 시점에 증가하게 될 인터넷 도박의 역기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먼저 병적 도박 위험성 탐색을 위해, 온라인 조사 업체의 패널을 대상으로, 다른 도박은 비정기적으로 하면서 합법 및 불법 인터넷 도박 각각을 ‘1개월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하는 177명(합법 108명, 불법 69명)을 선별하여 도박행동 빈도와 병적 도박 관련 증상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합법 인터넷 도박행동 빈도와 DSM-Ⅳ(APA, 1994) 기준의 병적 도박 수준 간의 용량-반응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r=.061, p>.05), 불법 도박행동에서는 그 관계가 유의했고(r=.326, p<.01), 도박에대한 갈망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지표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합법 r=.234,p<.05/ 불법 r=.339, p<.01). 다음으로 불법 도박 확산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인터넷 도박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815명을 대상으로 합법 및 불법 인터넷 도박행동 빈도 간의 관계와 해당 도박의 시작 연령 차이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합법 및 불법 인터넷 도박행동 빈도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고(r=-.004, p>.05), 시작 연령 간 차이도 유의하지 않아(t=-.257, p>.05) 두 종류의 도박행동은 상호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인터넷 도박의 위험 관리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isk of pathological gambling of legalized Internet gamblers and their possibilities of spread to illegal gambling. In addition, we hoped to shed light on understanding the dysfunction of increasing Internet gambling. To explore the risk of pathological gambling,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y of gambling behavior and level of problem gambling using a sample of 177 panel members who were selected from an online Internet survey firm. The sample consisted of 108 panel members who participated in legalized Internet gambling and 69 panel members who participated in illegal gamb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y of gambling behavior of the legalized Internet gambling group and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based on DSM-Ⅳ(APA, 1994) were insignificant(r=.061, p>.05), but these relationships in the illegal gambling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r=.326, p<.01). Furthermore, the index representing symptoms of urge to gamble indicate that both Internet gambling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egalized gambling: r=.234, p<.05; illegalized gambling: r=.339, p<.01). In addi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amblers’ spread to illegal gambling,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ies of both legal and illegal Internet gambling behavior by both types of Internet gambling groups and the results indicated insignificance(r=-.004, p>.05). Differences in starting age of gambling between legal and illegal Internet gambling groups were also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lso indicated insignificance(t=-.257, p>.05).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two types of gambling behavior(legal and illegal) were independent of each other. Finally, we discussed the findings from the results associated with risk management of Internet gambling.

이기원(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이수진(중앙대학교) pp.227-242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4
초록보기
초록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는 자살을 생각했지만 자살 실행을 하지 않았던 이유를 측정하기 위해Linehan이 개발한 척도이다. 이 척도는 자살을 방지하는 긍정적 요소(생존과 대처 신념, 가족에대한 책임, 자녀에 대한 걱정)와 자살행동에 대한 부정적 요소(죽음에 대한 공포, 사회적 비난, 도덕적 금기)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남녀 301명(남자 143명, 여자 158명)을 대상으로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의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의 하위요인 즉 생존과 대처 신념, 죽음 공포와 사회적 비난, 가족 책임과 자녀 걱정 및 미래 기대가 추출되었다. 자살하지 않는 이유의 요인 중 죽음공포 및 사회적 비난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은 자살을 생각해보지 않은 집단과 자살 생각을 가진 집단, 그리고 자살 시도를 한 집단을 변별해 주었다. 특히 가족 책임과 자녀 걱정 요인은 자살 시도를 포함한 자살 생각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을 구분해주었고 미래 기대 요인은 자살 시도자와 비시도자 집단을 분명히 구분해 주었다. 또한 낙관주의성향을 가진 사람은 자살하지 않는 이유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살 예방을위한 개입과 프로그램에 대한 제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is a scale developed by Linehan and is made up of the reasons why people do not actually practice suicide when they thought about committing suicide. This scale consists of positive factors that prevent suicide(Survival and Coping Beliefs, Responsibility to Family, and Child-related Concerns) and negative factors about suicidal action(Fear of Death, Fear of Social Disapproval, and Moral Objec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for 301 adults(143 males and 158females). As a result, it was factorized into 4 sub-scales (Survival and Coping Beliefs, Fear of Death and Social Disapproval, Family Responsibility and Child-related Concerns, and Future Expectation). The scores of all factors except Fear of Death and Social Disapproval could differentiate the group of people who never thought about suicide, the group of people who had suicidal thoughts, and the group of people who tried to commit suicide. Especially, Family Responsibility and Child-related Concerns classified whether people are thinking of suicidal thoughts including suicidal action and Future Expectation could separate attempters and non-attempters clearly. Moreover, people who had a tendency toward optimism had significantly high scores on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Based on these results,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n the prevention of suicide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re discussed.

유정헌(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243-259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5
초록보기
초록

추론양식 척도(Cognitive Style Questionnaire)는 절망감 이론에서 우울증에 대한 인지취약성 요인으로 제안한 우울생성적 추론양식을 측정한다. 아직까지 국내에는 추론양식 척도가 타당화되지않아 대학생을 대상으로 2번의 연구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우선 2주에걸친 추론양식 척도의 반복 측정을 통해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신뢰로운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6주에 걸친 전향적 종단연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론양식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절망감 이론에서 제안한 대로원인, 결과 및 자아가치 추론양식이라는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인지취약성 요인인 우울생성적 추론양식과 부정적 생활사건의 상호작용 효과가 6주 후의 절망감 우울증 변화를 유의하게 예측하여 추론양식 척도의 예언타당도가 지지되었다. 그러나 우울증과 공존이환율이 높은 불안에 대한 인지취약성-스트레스 모델의 예측력을 검증한 결과, 불안을 유의하게예측하여 판별타당도는 기각되었다. 결론적으로, 추론양식 척도는 부정적 생활사건에 대한 개인의추론양식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이 입증되었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ognitive Style Questionnaire(CSQ) measures the cognitive vulnerability factor featured in the hopelessness theory of depression. The CSQ has been used in some published studies since its inception, however, validity properties of a Korean version of this instrument have yet to be tested. In the study,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SQ were evaluated for use with college students. The CSQ demonstrated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good test-retest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re were 3 latent factors to the CSQ. Moreover, to evaluate a predictive validity of the CSQ, a vulnerability-stress interaction of hopelessness theory was tested. In line with the hypothesis, the interaction of the CSQ with negative events significantly predicted hopelessness depression symptoms.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CSQ is a highly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of cognitive vulnerability to hopelessness depress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conceptualizing and operationalizing cognitive vulnerability are discussed.

신혜린(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261-279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44명의 서울시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의 하위 군집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실제 현상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상황의 특성에 따라 사회불안을 구분해야 한다는 Leary와 Kowalsky(1995)의 주장과 발표불안을 독립적인 하위유형으로 구분해야 한다는Kessler, Stein, & Berglund(1998)의 의견을 보완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수행불안’, ‘발표불안’의 수준에 따라 군집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각 군집별로 심리적 안정감인 부정적 정서, 자아 존중감, 안정애착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3개의 군집(‘전반적으로 낮은 사회불안’,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 ‘전반적으로 낮은 사회불안’ 군집 순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자아 존중감은 ‘전반적으로낮은 사회불안’,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군집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안정 애착은 ‘높은 발표불안을 동반한 중간의 사회불안’과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불안’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사회불안’에 비해 앞의 두 군집의 안정 애착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일반인들의 사회불안 하위 그룹의 구분에 대한 이해의 토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 사회불안의 군집의특성을 밝힘으로써 개인의 독특한 차이를 고려할 수 있기에 사회불안을 겪는 이들을 치료하고 연구하는 데 좀 더 효과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used cluster analysis procedures to identify natural subgroups of 244 Korean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their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and ̔presentation anxiety'.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groups were explored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scores on psychological stability (negative affect, self-esteem, and stable attach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ree subgroups were identified. These groups were labelled: (1) low level social anxiety (2) pervasive social anxiety (3) middle level social anxiety with high presentation anxiety. Additionally, results from a MANOVA analysis revealed that each clus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negative affect(η2 =.18),self-esteem(η2 =.20), and stable attachment(η2=.10).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subgroup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in exploring social anxiety, individual differences on the levels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performance anxiety', and ̔presentation anxiety' should be fully considered. The current study offers usefu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sychologists who work with the clients with social anxiety in terms of research and practice.

이태선(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pp.281-294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7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의 많은 고등학생들이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크고 작은 만성통증을 경험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명상이라는 비교적 용이하고 단순한 접근법으로 고등학생들의 통증과 스트레스관리를 도울 수 있을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평가를 통하여 근골격계 증상이 만성적으로 심한 여고생 10명을 선발한 뒤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각 5명 씩 할당하였고 연구자가 무선적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그런 뒤 학생들의 겨울방학 동안 마음챙김 명상 집단프로그램을 총 8회, 각 80-90분씩 처치집단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료 후에 주요 변인인 통증 및 스트레스와 아울러 치료과정 변인인 심리적 수용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처치집단이대기-통제집단에 비해 근골격계 통증에 있어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는 마음챙김 명상의 통증경감 효과를 시사한다. 그러나 학업스트레스, 심리적 수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Abstract

Many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report some kind of musculoskeletal pain which possibly is associated with academic str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 easily obtainable method, on the musculoskeletal pain and academic stress. The participants were 1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uffering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nd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Randomly selected 5 among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a group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 other half were assigned to waitlist-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8 sessions (1~2 sessions per week) of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for 5 weeks during winter break.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major dependent variables, that are pain and academic stress, and a process variable- psychological accept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more relief in musculoskeletal pain for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than the wait-control group, suggesting the effect of relieving pain through mindfulness meditation.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Concerning these result,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원두리(충북대학교) pp.295-308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가 청소년이 일상 활동에서 경험하는 의미, 자율적 행동조절 및 정서적웰빙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 고등학교 학생258명을 대상으로 일상재구성법(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Kahneman, Krueger, Schkada,Schwarz, & Stone, 2004)을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를높게 지각한 청소년들은 일상에서의 의미경험 또한 높은 경향이 있었고 일상이 의미 있다고 지각할수록 기꺼이 하고 싶어서 자율적으로 행동했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런 청소년들이 긍정적 정서경험이 높고 부정적 정서경험이 낮았다. 즉, 청소년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일상에서의 의미경험과 자율적 행동조절을 매개로 정적정서와 부적정서로 이루어진 정서적 웰빙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청소년의 정서적 웰빙에 기여하는 몇몇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xperience of meaning, the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and emotional well-being, using transformed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DRM; Kahneman, Krueger, Schkada, Schwarz, & Stone, 2004)for the analysis of the adolescents' specific daily life experiences. It is found that social support affects the emotional well-being in daily life of adolescents through the experience of meaning and the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In this study, the process that social support affects the emotional well-being is specified b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meaning and the autonomous regulation of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서경현(삼육대학교) ; 최인(가은노인전문병원) pp.309-326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09
초록보기
초록

급속하게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자들은 노인 병원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원, 강인성 및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반응과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노인전문병원에서 요양보호사로 종사하고 있는 204명의 여성이었으며, 이들의 연령 분포는 만 35세에서 65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Karasek의 직무만족검사, Batone 의 단축형 강인성척도, CPI의 자아탄력성 문항 및 스트레스반응척도이다. 분석 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로는 직무의 단조로움이나 직무결정 부재 대신에 직무의 복잡함과 직무결정 부담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 스트레스원 하위변인 중 직무의 복잡함만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강인성은 스트레스 반응과 관계가 있었으나 직무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조절변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강인성에 비해스트레스 반응과 더 많은 부분을 공변하고 있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직무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는 직무 스트레스원과 개인적 변인으로서의 강인성과 자아탄력성의 역할에관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Abstract

As becoming an ageing society promptly,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job stressors,hardiness, and self-resilience are related to stress responses of professional geriatric caregivers. The participants were 204 geriatric caregivers who were employed at a geriatric hospital, whose ages ranged from 35 to 65.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Bartone's Hardiness Scale:Short-Form, ego resilience items from CPI,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job complexity and burden of decision latitude rather than job simplicity and lack of decision latitude were included as the factor of job stressors for geriatric caregivers. Only job complexity among the job stressor sub-variables was related to stress responses. Hardiness of caregivers was related with stress, but competence, its sub-variable, did not show this kind relationship. And, moderating effect of hardiness on job stressors and stress responses was not found. Compared with hardiness, ego-resilience accounted more variance of stress responses, it plays the role of moderator in the relation of the job stressor and stress i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discussed the role of job stressors, hardiness, and ego-resilience in stress responses with previous studies.

서경현(삼육대학교) ; 이경순(삼육대학교) pp.327-343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사회비교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주관적 웰빙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비교의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256명(남: 151, 여: 133)의 대학생들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1.56(SD=2.59)세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 스트레스, 사회비교, 사회비교 동기, 부정 및 긍정 정서,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삶의 동기 및삶의 기대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비교를 더 많이 하고 있었으며, 대학생들은 자기고양 동기보다 자기평가나 자기향상 동기를 가지고 사회비교를 하고 있었다.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사회비교나 사회비교 동기와 정적 상관이 있었고, 주관적 웰빙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사회비교는 부정 정서나 삶의 동기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자기고양 사회비교 동기는 대다수의 주관적 웰빙과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에 자기향상 동기는 부정 정서는 물론 삶의기대와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한편,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에 대한 사회비교의 조절효과가발견되었다. 사회비교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생활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고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사회비교는 생활 스트레스에 추가적으로 긍정 정서와 삶의 동기및 삶의 기대를 유의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사회비교가 현재 삶에 대한 만족에미치는 생활 스트레스의 영향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미래의 삶에 대한 동기나 기대와도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es, social comparison, social comparison motive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the interaction of the life stresses and social comparison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were 284college students (151 males and 133 females), whose average of age was 21.56 (SD=2.59). Life stresses, negative/positive emotion,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were measured for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did more social comparison than male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did social comparison with self-evaluation motive and self-development motive rather than self-enhancement motive. Their life stress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comparison motives, and negatively to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comparison was positively related to negative emotion and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Self-enhancement motive for social comparison was negatively related to most of subjective well-being variables, whereas self-development motive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s well as negative emotion. On the other hand, moderate effect of the social comparison on the relation of the life stress to life satisfaction was found. Social comparison buffered the negative effect of life stresses o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comparison showed additional accountability with adjusting life stresses for positive emotion,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This study suggested that social comparison is a determinant for effect of life stresses on satisfaction for present life, and its roles in motivation and expectancy for future life could not be underrated for college students.

임수진(나눔클리닉) ; 이영호(나눔클리닉) ; 허시영(나눔클리닉) ; 이민규(경상대학교) ; 최영민(인제대학교) ; 김민숙(인제대학교) ; 김율리(인제대학교) pp.345-355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식사장애 검사-자기보고형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루어졌다. 식사장애 환자들과 연령, 성별, 교육상태 등이 유사한 집단인 여대생 3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EDE의 자기보고식 검사인 EDE-Q를 실제 식사장애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최종적으로번안한 KEDE-Q를 연구 참여자들에게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특정 개인이 받은 KEDE-Q 점수를 T점수화하여 규준표를 작성하였다. 요인분석 결과,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4개의 요인으로는 체중과 체형에 대한 관심(shape and weight concern),식사제한(restraint), 식사관심(eating concern), 체형과 체중 관련 신체상(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이었다. 내적 일관성 계수 Cronbach's 로 신뢰도 검증을 한 결과 또한 높은수준이었다. 이런 결과는 KEDE-Q가 한국 사람이 겪고 있는 식사문제에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기본적이고 타당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식사장애를 진단하고 분류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진단군을 대상으로 한 신뢰도 연구가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KEDE-Q의 표준화 작업을 위해 다른 타당화 전략을 이용한 타당도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norms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KEDE-Q). The KEDE-Q was administered to 306 female college students. Construct validity was test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was tested by Cronbach's α . The author also tried to make T score norms of the KEDE-Q using T score 70 as a cutoff point. By a factor analysis, 4 factors were extracted. Factor 1 was ‘weight and shape concern' which consisted of 11 items and explained 26.15% of variance, factor 2 was ‘restraint' which consisted of 5 items and explained 14.04% of variance,factor 3 was ‘eating concern’ which consisted of 5 items and explained 12.02% of variance and factor 4 was ‘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 which consisted of 2 items and explained 7.27% of variance.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was .92 for 'weight and shape concern’, .83 for ‘restraint’, .79 for ‘eating concern’, and .88 for ‘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 T score norms as a cutoff score were 53 for ‘weight and shape concern’, 16 for ‘restraint’, 10 for ‘eating concern’, and 9 for 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KEDE-Q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evaluating th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 and related eating problems for the various purposes. The author also demonstrates T score norms of the KEDE-Q as a cutoff score of each subscale.

임수진(나눔클리닉) ; 이영호(나눔클리닉) ; 허시영(나눔클리닉) ; 이민규(경상대학교 심리학과) ; 최영민(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 ; 김민숙(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 ; 김율리(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pp.345-3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식사장애 검사-자기보고형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루어졌다. 식사장애 환자들과 연령, 성별, 교육상태 등이 유사한 집단인 여대생 3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EDE의 자기보고식 검사인 EDE-Q를 실제 식사장애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최종적으로번안한 KEDE-Q를 연구 참여자들에게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특정 개인이 받은 KEDE-Q 점수를 T점수화하여 규준표를 작성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4개의 요인으로는 체중과 체형에 대한 관심(shape and weight concern),식사제한(restraint), 식사관심(eating concern), 체형과 체중 관련 신체상(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이었다. 내적 일관성 계수 Cronbach's &#x03B1;로 신뢰도 검증을 한 결과 또한 높은수준이었다. 이런 결과는 KEDE-Q가 한국 사람이 겪고 있는 식사문제에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기본적이고 타당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식사장애를 진단하고 분류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진단군을 대상으로 한 신뢰도 연구가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KEDE-Q의 표준화 작업을 위해 다른 타당화 전략을 이용한 타당도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norms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KEDE-Q). The KEDE-Q was administered to 306 female college students. Construct validity was test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was tested by Cronbach's &#x03B1; . The author also tried to make T score norms of the KEDE-Q using T score 70 as a cutoff point. By a factor analysis, 4 factors were extracted. Factor 1 was 'weight and shape concern' which consisted of 11 items and explained 26.15% of variance, factor 2 was 'restraint' which consisted of 5 items and explained 14.04% of variance,factor 3 was 'eating concern' which consisted of 5 items and explained 12.02% of variance and factor 4 was '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 which consisted of 2 items and explained 7.27% of variance.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was .92 for 'weight and shape concern', .83 for 'restraint', .79 for 'eating concern', and .88 for '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 T score norms as a cutoff score were 53 for 'weight and shape concern', 16 for 'restraint', 10 for 'eating concern', and 9 for shape and weight related body image'.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KEDE-Q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evaluating th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 and related eating problems for the various purposes. The author also demonstrates T score norms of the KEDE-Q as a cutoff score of each subscale.

박지선(건국대학교병원) pp.357-367 https://doi.org/10.17315/kjhp.2010.15.2.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비교적 다른 어느 연령대보다 인터넷 접근이 용이한 대학생(N=396)을 대상으로 하여인터넷 사용과 사회 적응 및 대인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적불편감척도, 사회적 문제해결척도, 대인관계문제검사를 실시한 후 최종 38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사용 점수는 사회적 문제해결을 제외한 사회적 불편감척도와 대인관계문제 검사의 모든 하위 척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인터넷 사용 점수가 높은 사람일수록 사회적 상황에서 적응력이 떨어지며 대인간 문제도 더 많음을 시사하였다. 다음으로 인터넷 사용 척도 점수 중 상위 20%에 해당하는 사람과 하위 20%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나누어 각각 인터넷 일반 사용군과 인터넷 문제 사용군으로 분류한 후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인터넷 문제 사용군에 속하는 학생들은 일반 사용군에 속하는 학생들에 비해 사회적 불편감 수준이 더 높고 사회적 문제해결력도 더 낮았으며 다양한 대인관계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터넷의 과도한 사용은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비롯한 social skill의 부족으로 사회 및 대인 관계 부적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절한 사회기술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N=396) that have better access to the Internet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social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subjects were tested for social discomfort, social problem-solv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the responses of the final 380subjects were proces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In result, Internet use scores have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all sub-indexes of social discomf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anifesting that people with higher Internet use scores lack adaptation to social situations and have more interpersonal problems. Next, people with 20% highest Internet addiction scores and 20% lowest Internet addiction scores were divided into general Internet user group and problematic Internet user group and processed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In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in problematic Internet user group had higher social discomfort level, lowe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various interpersonal problems compared to students in general Internet user group.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excess use of the Internet can cause people to experience difficulties adjusting to social and interpersonal life as they can lack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training for social skil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 and future study topic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박지선(건국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pp.357-3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비교적 다른 어느 연령대보다 인터넷 접근이 용이한 대학생(N=396)을 대상으로 하여인터넷 사용과 사회 적응 및 대인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적불편감척도, 사회적 문제해결척도, 대인관계문제검사를 실시한 후 최종 38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사용 점수는 사회적 문제해결을 제외한 사회적 불편감척도와 대인관계문제 검사의 모든 하위 척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인터넷 사용 점수가 높은 사람일수록 사회적 상황에서 적응력이 떨어지며 대인간 문제도 더 많음을 시사하였다. 다음으로 인터넷 사용 척도 점수 중 상위 20%에 해당하는 사람과 하위 20%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나누어 각각 인터넷 일반 사용군과 인터넷 문제 사용군으로 분류한 후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인터넷 문제 사용군에 속하는 학생들은 일반 사용군에 속하는 학생들에 비해 사회적 불편감 수준이 더 높고 사회적 문제해결력도 더 낮았으며 다양한 대인관계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터넷의 과도한 사용은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비롯한 social skill의 부족으로 사회 및 대인 관계 부적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절한 사회기술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N=396) that have better access to the Internet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social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subjects were tested for social discomfort, social problem-solv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the responses of the final 380subjects were proces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In result, Internet use scores have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all sub-indexes of social discomf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anifesting that people with higher Internet use scores lack adaptation to social situations and have more interpersonal problems. Next, people with 20% highest Internet addiction scores and 20% lowest Internet addiction scores were divided into general Internet user group and problematic Internet user group and processed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In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in problematic Internet user group had higher social discomfort level, lowe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various interpersonal problems compared to students in general Internet user group.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excess use of the Internet can cause people to experience difficulties adjusting to social and interpersonal life as they can lack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training for social skil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 and future study topic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